인텔 랜카드 PCIE 1x 의 최고봉은 어떤 건가요...?

   조회 8874   추천 0    

인텔 랜카드는 종류가 여러가지라서 헛깔리네요...

정보도 별로 없구요...

4x는 i350 인가 그건 알겠더라구요...다만 슬롯이 1x 밖에 없어서...-_-;...

인텔 랜카드 아니더라도 브로드컴이나 이런것들도 안정적으로 잘 돌아가나요?

발열이라던지 그런거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5-09
데스크탑용이면 CT일 것입니다.

다나와에 있는데..

http://prod.danawa.com/list/?cate=1131639&15main_11_03
     
프리다이버 2015-09
데스크탑 서버용 모두 포함해서 어떤건지 궁금합니다...
국내에서 살께 아니고 이베이나 아마존에서 구매하려구요...
국내는 너무 비싸요...
박문형 2015-09
워낙 많기는 합니다.

CT가 그래도 신형인지라 열도 적게 나고 그럴 것입니다.

서버용은 보통 1X는 없고 최소 4X부터 시작합니다.
     
프리다이버 2015-09
9301CT가 출시된지 오래된거 같은데 그게 마지막인거죠?
2015-09
i350-T2나 i340-T2 구해서 슬롯 자르면 됩니다. 브로드컴은 5720이라는 1x로 설계된 듀얼포트 제품이 있습니다만 현재는 i340이 가성비 최고입니다. 많이 필요하시면 개당 $15정도에 구할 수 있을겁니다. 발열은 비슷하고 서버에 들어가는 대표적인 두 NIC 칩셋이 인텔과 브로드컴입니다.국내 신품은 비싸지만 이곳 장터에 풀리는 제품은 이베이 가격과 비슷하죠. 환율/배송비 따지면 당근 더 싸고요. 하하~~

i340-T2와 pro1000ET 듀얼포트 제품이 원래는 4x 슬롯입니다만 두종류 다 제가 슬롯을 잘라서 현재는 1x로 만들었습니다. ET는 82576 칩셋이고 i340은 82580칩셋인데 이전 모델들보다 전력사용량이 확! 줄었습니다. 가끔 oem 제품 중 호환이 안되는 제품이 있을 수 도 있어서 사용하려는 PC에서 인식이 안될 수 도 있습니다만 이건 복불복인지라...
     
프리다이버 2015-09
답은 인텔 밖에 없다는 말씀이시죠?

자르는건 생각도 못했네요...어떠한 방법으로 있나요?
자르면 1x로 줄어 드는데 2포트까지는 커버가 되나봐요...?

i340 이랑 i350은 어떠한 차이가 있나요?
숫자가 더 높아서 i350이 더 좋아 뵈는데...
전력 사용량이 어디 데이터시트 같은게 있는건가요?

자작NAS에 쓸꺼라서 oem을 쓰면 안되겠죠?
          
2015-09
브로드컴 듀얼랜인 5720도 2.0 1x 슬롯으로 나옵니다. 대역폭이 안되면 그렇게 나올리가 없겠죠?
아래 희섭님이 말씀하셨지만 2.0 1x 대역은 500MB/s 정도입니다. 2개의 기가포트가 풀듀플렉스로 움직여도 충분한 대역이죠. 간혹 2.0이지만 2.5GT/s 인 제품들이 있습니다. 이런건 1.0슬롯이나 마찬가지라 1x슬롯에선 250MB/s정도밖에 안나옵니다. 단방향이라면 2개 포트 모두 풀스피드로 땡길 수 있지만 송수신이 동시에 발생하는 상황이라면 1/2 성능이 최대겠지요. 어쨋든 최소 200MB/s 정도는 확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랜카드 입장에선 메인보드가 어떤 버전의 pci-e슬롯을 지원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최악의 경우라도 모든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보통은 4x 이상으로 설계하는 편입니다. pci-e 1.0으로 동작하더라도 쿼드포트 기가랜의 모든 성능을 발휘할 수 있죠. 물론 디스크 성능이 나와줄 때 얘기지만요.

oem 제품이라고 특별한 거 없습니다. 대부분은 인텔이나 브로드컴에서 만들어서 납품합니다. 간혹 내장된 바이오스가 좀 다른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보통 리테일 제품처럼 동작합니다.

가상화가 아닌 상황이라면 성능은 i340이나 350이나 같습니다. 가상화라면 i350이 좀 유리한데 SR-IOV라든가 가상화에서 지원하는 기능이 좀 더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도 모든 환경이 갖추어진 상황에서나 쓸 수 있어서 자작NAS에선 거의 쓸모없는 차이입니다. 따라서 그냥 저렴한게 장땡이죠.

브로드컴 제품도 서버에 기본으로 탑재되는 제품입니다. 각 벤더들도 인텔/브로드컴 제품을 골고루 탑재하곤 하죠. 다만 브로드컴의 경우는 드라이버의 완성도가 떨어지고 가끔 링크가 다운된다거나 티밍이 풀린다거나 하는 보고가 있긴 한데 이건 인텔쪽도 가끔 있는 일이라 딱히 인텔이 진리라고 말하긴 어렵겠습니다.
다만 사용하려는 NAS OS에서 문제가 없는 것을 고르는게 관건이죠.
               
프리다이버 2015-09
오우~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앞에 얘기하신 전력 사용량은 어떻게 찾아볼 수 있는지요?
그리고 자르는 노하우가 있나요?
NAS OS는 엑스피놀로지 사용하고 있습니다...
정희섭 2015-09
PCI Express 2.0 규격이 레인당 5GT/s 입니다 8b10b 인코딩 하므로 500MB/s.

이론적인 속도지만 80% 성능만 나온다고 쳐도 듀얼 기가비트 정도는 널널하거 같네요.
프리다이버 2015-09
알려주신 분들께 우선 감사드립니다...
제품이 여러종류라 개념 잡기가 어려웠는데 쭈 님의 자세한 설명으로 개념을 잡았고 인텔 사이트에서 조금 더 알아봤습니다...
i340과 i350의 차이를 알아봤더니 가상화 이외에도 한가지 더 이점이 Intel® Ethernet Power Management 기술이 들어가서 전력 사용량 관리가 되는 점이었습니다...

그리고 싱글포트만 있는 새로운 제품도 알았습니다...i210-T1...
이 제품도  Intel® Ethernet Power Management 기술이 들어가 있네요...

선택이 싱글포트는 i210-T1 / 듀얼포트는 i350-T2 / 쿼드포트는 i350-T4 이렇게 선택을 하면 되겠네요...
i350-T2 단종이 되고 i350-T2V2 로 바뀌었는데 뭔차이 인지는 모르겠네요...
이베이에서는 가격이 기존 T2에 비해 2배 이구요...
2015-09
i340과 350에는 모두 듀얼과 쿼드 모델이 있습니다. 기판은 같고 2포트에 해당하는 회로가 제거되어 있죠.


QnA
제목Page 2702/5729
2014-05   5264943   정은준1
2015-12   1789942   백메가
2014-07   4765   이이크
2017-12   3882   백만스물하나
03-08   721   김준유
2012-11   14603   일반유저
2019-02   8437   TLaJ3KtYGr
2020-04   2355   구기다
2016-11   4150   김건우
2017-12   3642   sffbig
2015-11   4775   삐돌이슬픔이
03-18   623   공장장2
2020-05   2917   미도리
2014-08   21252   테돌아이
2023-04   2589   snoopy1024
2019-03   3974   juaha
03-30   415   겨울나무
04-02   365   불멸의샌디…
2020-05   5933   online9
2021-10   2513   galaxyfamily
2012-12   5492   박성만
2020-05   6402   cjw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