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5650 수냉 구성

niet38h   
   조회 4964   추천 0    

x5650 듀얼보드에 수냉구성이 가능한지요
niet38h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준연 2015-10
불가능하지는 않으나 '매우', '정말로' 권장하지 않습니다.

1. 쿨러 고정 방식의 차이로 인해 메인보드의 개조(정확히는 가이드 분리)가 필요한데, 이 때 메인보드 파손 위험이 있습니다.

2. 지금 나오는 라디에이터 일체형 쿨러들은 두 개를 한 케이스에 넣기가 꽤 힘듭니다. 전혀 불가능하지는 않으나 모델에 제한을 받습니다. 잘만 Reserator 시리즈같은 구형 수냉 시스템이면 자켓만 두 개라면 라디에이터 하나로 처리는 가능하나 안 나온지가 꽤 오래된 것입니다.

3. 보통 수냉을 쓴다는 의미는 공랭으로는 답이 없을 정도의 열을 식혀야 하거나, 공랭으로 가능은 해도 엄청난 소음 등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쓰는데, 오버클러킹을 하지 않는 듀얼 시스템에서는 그 정도의 열은 나지 않습니다. 소음은 BXSTS100A/C같은 것으로는 어쩔 수 없는 문제입니다만, 이는 어느 정도는 참아야 하는 부분이기도 하며, 이게 정말 심각한 문제라도 다음 대안은 저소음 공랭식 쿨러이지 수냉식은 아닙니다.
얼빵이사 2015-10
김황중 2015-10
L5639 추천
레몬허브 2015-10
요즘의 일체형 수냉 쿨러들도 케이스만 받쳐주면 2개 넣을 수 있긴 합니다.
혹은, 커스텀으로 구성하실 생각이시면 요즘도 커스텀 수냉용 부품들을 판매하는 곳이 있으니 구성하시는데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사이오닉이라던가, 쿨렌스라던가, 커세어도 아직 커스텀 수냉 부품 판매합니다.. 다만, 원하는 부품을 수급하시려면 해외 구매도 생각해 보셔야 할 듯하네요.

1366 보드에 장착가능한 자켓을 잘 고르시면 무리는 없을 겁니다만.. 2CPU는 아무래도 직렬식 수로 구성은 무리가 있을 것 같고, 병렬식 수로 구성을 하셔야 할 텐데, 생각보다 깔끔하지 않을 것 같고, 무엇보다 수로 구성에 거금이 들 것 같네요.
그만한 거금을 들일 정도의 필요성/목적성이 있을지는 모르겠네요.


QnA
제목Page 2612/5706
2014-05   5132131   정은준1
2015-12   1666796   백메가
2020-05   4949   화란
2012-06   4949   윤치열
2016-09   4949   리오
2007-12   4949   이병형
2006-12   4949   신현균
2016-06   4949   오성기
2016-01   4949   엠브리오
2012-04   4949   llwg
2007-03   4949   강정혁
2018-09   4949   nukking
2024-06   4949   블루영상
2019-05   4949   매니아1
2005-12   4950   임현규
2006-10   4950   김영종
2007-02   4950   신재상
2008-02   4950   유사용
2018-06   4950   공돌이에요
2018-06   4950   꿈꾸는베빈야
2007-02   4950   김상엽
2018-03   4950   newretrow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