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1557 |
25 |
2015-12
1771557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6217 |
0 |
2014-05
5246217
1 정은준1
|
60999 |
POE스위치허브 문의 드립니다. (7) |
나이쑤guy |
2021-12 |
2601 |
0 |
2021-12
2601
1 나이쑤guy
|
60998 |
홈 서버 질문드립니다. (4) |
김종민 |
2010-03 |
7289 |
0 |
2010-03
7289
1 김종민
|
60997 |
공유기 밑에 있는 2대 이상의 컴퓨터에서 Qloud 미디어 서버 설정 (5) |
GodokNam |
2013-04 |
17271 |
0 |
2013-04
17271
1 GodokNam
|
60996 |
Raw Device Mapping(RDM) 설정 더디어 성공을 했습니다. (4) |
테돌아이 |
2014-10 |
11354 |
0 |
2014-10
11354
1 테돌아이
|
60995 |
리눅스티비카드 (1) |
윤호용 |
2006-08 |
5266 |
15 |
2006-08
5266
1 윤호용
|
60994 |
우분투에 윈도우에서 쓰던 자료저장하드를 붙일 수 있나요? (7) |
2cpumem |
2019-05 |
2942 |
0 |
2019-05
2942
1 2cpumem
|
60993 |
리포팅 양식은 어떤것을 쓰시나요? |
김장우 |
2010-04 |
8533 |
0 |
2010-04
8533
1 김장우
|
60992 |
x8dtl-3 내장 레이디카드 펌웨어 업데이트 실패.... 도와주세요. (1) |
듀학 |
2013-05 |
5589 |
0 |
2013-05
5589
1 듀학
|
60991 |
카메라 광학 줌.., (6) |
아름다운노을 |
2014-10 |
11703 |
0 |
2014-10
11703
1 아름다운노을
|
60990 |
윈도우10 라이센스 인데 구매해도 문제가 없을까요? (6) |
인생여전 |
2016-02 |
3875 |
0 |
2016-02
3875
1 인생여전
|
60989 |
헤놀로지 '볼륨충돌' 볼륨 살릴 방법 있나요? (8) |
통통9 |
2019-05 |
3067 |
0 |
2019-05
3067
1 통통9
|
60988 |
이런 경우가 포트가 막힌건가요? (6) |
inquisitive |
2014-10 |
54512 |
0 |
2014-10
54512
1 inquisitive
|
60987 |
현재 z420 상태로 봤을�� 전기 많이 먹을까요? (3) |
osthek83 |
2020-07 |
3098 |
0 |
2020-07
3098
1 osthek83
|
60986 |
하드 디스크 브랜드 질문좀 드려요. (3) |
방o효o문 |
2013-05 |
8628 |
0 |
2013-05
8628
1 방o효o문
|
60985 |
[화면이상] 화면의 부분 깨짐, 마우스 아이콘 갈라짐, detect시 stop (3) |
장진우 |
2004-02 |
10493 |
83 |
2004-02
10493
1 장진우
|
60984 |
Gateway지점에 L2스위치를 둘 때 전체 네트워크 성능이 많이 떨어지게 되나요? (4) |
PiPPuuP |
2014-11 |
5585 |
0 |
2014-11
5585
1 PiPPuuP
|
60983 |
Cpu 사용량 문제 (16) |
fndkf |
2019-05 |
3924 |
0 |
2019-05
3924
1 fndkf
|
60982 |
[질문] 모니터의 dvi 단자 연결 (6) |
이종경 |
2004-02 |
8781 |
66 |
2004-02
8781
1 이종경
|
60981 |
이사도중 파손된 PC의 경우 보상이 어떻게되나요? (2) |
TeaRoom |
2013-05 |
5834 |
0 |
2013-05
5834
1 TeaRoom
|
60980 |
노트북에 도킹 스테이션 사용시 밧데리를 장착 유무? (4) |
왕용필 |
2017-01 |
4357 |
0 |
2017-01
4357
1 왕용필
|
MTU보다 큰 프레임은 여러 개의 프레임으로 쪼개져서 전송되게 됩니다.
MTU 1500이 흔히 말하는 이더넷(v2)의 표준 MTU 값이며, 이보다 큰 값 (1501~9216)을 점보 프레임이라고 부릅니다.
MTU가 크면 한번에 보낼 수 있는 데이터량이 많아지게 되므로 효율이 증가합니다. (일반적으로 인터럽트 부하가 줄어들거나 최대 네트워크 대역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보여지게 됩니다.) 반면, 작은 크기의 프레임이 빈번한 요청을 하는 경우이거나 네트워크 대역폭/품질이 나쁜 경우에는 오히려 네트워크 성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1500으로 꽁꽁 묶여있는 까닭은 동일한 매체에 MTU가 서로 다른 장비들이 연결될 경우 혼선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점보 프레임 (보편적으로 MTU 9000이 주로 쓰입니다.)을 사용한다면, 그 매체에 연결된 모든 장치는 동일한 MTU 값을 사용하여야만 네트워크에 혼선이 없습니다.
TCP에도 MTU라는 개념은 존재합니다만, 이쪽은 Path MTU discovery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호스트간의 MTU값을 결정하기 때문에 표준 규격에서는 최소값만 존재합니다. (상호간의 MTU 값이 다를 경우 작은 쪽에 맞춥니다.)
일반적으로 이더넷 망의 MTU 크기를 건들이는 것 자체가 호환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크기를 조절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컴퓨터들의 성능이 좋아진 지금은 1Gbps의 경우도 MTU 9000을 굳이 사용할 필요성이 적습니다. 10Gbps정도 되면 필요해지긴 합니다.)
또한, 공인망(인터넷)에 연결된 NIC의 경우 점보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은 그리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공인망의 경우 점보 프레임을 사용할 정도의 대역폭을 제공하는 경우가 흔치 않고, 작은 프레임이 빈번한 상황에서 네트워크 속도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니까요.
최근에는 별 차이가 없더라구요. 그냥 잊어버리고 삽니다.
저희회사에서 사용하는 일부 장비에서는 꼭 써야 하는 경우가 있기는 한데, 일반적인 환경에는 그닥 필요가 없어요...
전송 매체에 따라 달라집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Maximum_transmission_unit#Table_of_MTUs_of_common_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