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시독 하드랙 문제가 있네요.

   조회 7379   추천 0    


제가 사용하는 하드랙인데요.
개별 하드를 모두 전원인가를 필요할때만 할수있는 제품입니다.
그런데 뒷면에서 보시다시피 전원이 두군데 들어가는데 윗쪽4p로 2개의 하드 아래 한개로 세번째 하드를 담당합니다.
세번째 하드는 문제가 없습니다만 첫번째 하드에 전원이 들어가 있는 상태로 두번째 하드를 켜는순간 첫번째 하드가 윈도우에서 사라지는 현상이 생깁니다.
항상 그랬던건 아니고 가끔그랬는데 요즘은 항상 그러는 편입니다.
제가 알고있는바로는 갑자기 전원인가가되면서 공유하고있는 전원의 전압강하가 일어나서 생기는 현상 같은데요.
파워는 에너맥스 갤럭시로 최고급 파워를 사용하고 기존에 사용하였던 파워도 에너맥스, 델타 웍용 파워를 사용했기 때문에 파워가 나빠서 그런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이문제는 한쪽 하드가 구동되면서 동시에 전원을 공유하고 있는 하드에 전원이 인가 되면서 급격한 전압강하 현상으로 원래 하드가 다운되는 현상 같은데요.
이것은 하드랙의 백플레인 설계가 제대로 되지않아서 생기는 문제 같습니다.
아이시독이 하드랙을 만든 역사도 길고 가격도 비싼편인데 제품을 이렇게 만들었다는게 좀 이해가 안갑니다.

이것은 현재 사용하는 hdd switch인데 이것도 4p전원 한개당 3개의 하드를 담당합니다.
이제품으로 하드를 켜고끌때는 그렇게 하드가 다운되는 일이 없습니다.
제품을 살펴보면 다수의 컨덴서와 반도체가 보이는데 그러한 전압강하가 일어나지않도록 설계가 잘된것 같습니다.

그래서 사용하고있는 하드렉도 파워쪽이나 하드렉쪽에 어떤 개조를 좀해서 전압강하가 안일어나고 하드가 다운이 안되도록 만들수있지않을까 해서 여쭈어봅니다.
방법이 있을까요?
111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황중 2015-10
뭔가 다른 이유가 있진 않을까요?

예를들어 전원 인입이 두개인데
이걸 만약 y케이블을 사용하여 인입해준다거나등...

지금 사용하시는 파워 모듈안에 답이 있을꺼 같아요

생각없이 만들진 않았겠죠...^^
장동건2014 2015-10
본문에 적었듯이 y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아도 상단 4p전원으로 위, 중간하드가 분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결국 상단은 한개의 선만 들어와도 분배되는 구조입니다.
역시 본문에 적었듯이 그래서 개별로 들어가는 아래 하드는 켜져있는 상태로 위쪽 하드에 전원이 인가되도 다운이 되지않습니다.
박문형 2015-10
기판 뜯어봐야 알겠지만 개선하는게 쉬운일은 아닙니다.

보통은 파워컨넥터 하나만 꼽아도 하드 3개가 다 돌아가는 식으로 설계하는 것으로 아는데요...

개인적으로는 슈퍼마이크로 핫스왑 정도는 되어야 한다고 보기에..

챈브로 핫스왑도 별로라고 생각하기에..
장동건2014 2015-10
그동안 이런저런 경험을 하면서 왜 슈마제품같은 고신뢰 제품이 이곳에서 인기가 많은줄 알겠더군요.
본문에서 적은것처럼 당장은 모르지만 사용하면서 느껴지는 크고작은 안정성때문이란것 같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직은 가격도 비싸고 제가 사용하는 용도로 적합지않아 사용은 않하고있지만 나중에 슈마제품까지 필요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저모델은 3베이가 전원을 나누는것이 맞을겁니다.
그렇지않다면 4p가 두군데로 나누어질필요가 없지않을까요?
박문형 2015-10
슈퍼마이크로 제품이 아예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만 그래도 적은 편이죠..

한 커넥터에 대한 전류량이 작아서 문제가 있을수 있기에 두 커넥터로 버티게 해두었을 것입니다.

다른 회사 제품들도 보통 두 커넥터입니다.

전원을 2개로 분리한 것은 USB3.0에 대한 전류 문제가 아닌가 합니다.
박문형 2015-10
개조 하시려면

터지던 안터지던 굵은 전선으로 양쪽 전원커넥터 각 선끼리 연결하면 될 듯합니다.

느낌에 열어보면 전선이 튀어나올만큼 복잡할 느낌입니다.
장동건2014 2015-10
그래도 3번째 하드는 위에 하드를 켤때도 윈도우에서 사라지는 일이 없는것보면 분리된것으로 짐작은 되는데요.
아마도 하드 한개와 usb라인이 겸해서 동작할수도 있지않을까 하는 추측이되는군요.
일단 열어봐야알겠는데 제가 손볼수 있는 수준이라면 조만간 간만에 땜질좀 해야겠군요.
그럼 남은 휴일 잘보내세요~(_ _)
오태화 2015-10
싱글레인 파워를 사용하신다면 위쪽과아래쪽의 전원커넥터의 각 핀을 연결하시면 문제는 해결될것으로 생각됩니다

전압강하는 저전압에서 더 많은 문제를 야기합니다

전원 연결선은 최대한 짧고 굵게, 연결점은 최대한 접촉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연결하시는 것이 요령입니다
장동건2014 2015-10
답변 감사합니다.(__)
HDD 종류에 따라 현상이 다른가요? 보통 HDD의 기동전류라고 해 봐야 2A정도라 1개를 켜는 순간 전압강하로 그렇게 많이 떨어질 것 같진 않은데요. 5V쪽이 부족하면 그럴 수 있습니다. 3번째 HDD회로는 USB쪽과 전원부를 공유하면서 커패시터가 좀 더 달려있을 수도 있고요. 그리고 이 제품은 진짜로 핫스왑용은 아닙니다. 그냥 뚜껑을 열지 않아도 되는 정도죠.
장동건2014 2015-10
답변 감사드립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보통 하드렉은 컴이 켜지는 순간 모든 하드가 동작을 하는데 이제품은 전원 스위치가 있어서 편하게 가동 하드만 사용한다는 것인데 안정성까지 우수한 제품은 아닌것 같습니다.
정말 제대로 된 제품을 원한다면 슈퍼마이크로같은 전문 제품을 아용하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제품의 백플레인이 하드의 전원인가에 따른 안정성 확보보다는 팬속을 조절한다든지 led가 들어오게 하는 역할만 할수도 있는것 같구요.
그리고 하드는 지금은 시게이트지만 전에 웬디 그린 사용할때도 그랬습니다.
블랙은 더심했구요.
보통 웬디하드가 더심하더군요.
PC PSU가 1m, 2m 사용하는것도 아니고 뻥파워 사용자일 가능성도 없으니 케이블 길이나 굵기 문제보다는 순간전압강하에 의한 전원불량이죠...

하드랙과 백플레인은 다른 의미이고, 하드랙에서 안정성을 논한다는 자체가 어려운 일이라 생각됩니다. 현재 판매하는 거의 모든 하드랙은 백플레인이 없고, Pwr Line과 SATA라인 모두 직결해서 사용하는 제품입니다.
항상 말씀드리지만 하드랙에서는 절대로 핫스왑을 하시면 안됩니다. 특히나 RAID 사용중에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그나마 HDD Switch를 사용하시면 부족하긴 해도 전원부 구성이 되어있기에 그나마 그런 현상이 적게 발생하겠지요...
개선한다고 하면 하드랙 12v 라인에 300~600uF 캐패시터를 장착해볼 수 있겠으나 근본적인 개선법은 아닙니다.
장동건2014 2015-10
답변 감사합니다.
스위치를 끌때는 항상 안전제거를 하면서 외장하드를 사용하듯 하기때문에 문제는 없을줄 알았는데 스위치를 off시키는 순간 동영상의 음이 잠깐 끊긴다든지하는 불안정한 동작을 하더군요,
이것은 전원이 차단되는 순간에 비정상적인 전압이 된다는 의미로 생각되는데요.
컴 전체에 별로 좋은 영향을 미칠것 같지는 않습니다.


QnA
제목Page 2675/5728
2015-12   1781820   백메가
2014-05   5256866   정은준1
2015-01   4462   김준유
2016-03   3802   초보IT
2013-08   8355   김건우
2015-01   4084   그사람
2018-05   4429   블루모션
2022-03   2128   JJ시스템
2019-07   4935   한효석
2020-10   2594   comefeel82
2015-01   4308   유재건
2013-09   25805   읍내노는오빠
2023-11   2897   atozztoa
2010-12   7974   보물섬
2016-04   7410   나파이강승훈
2015-01   5495   케이아스
2019-08   3216   명성호
2015-02   4412   정다운
2011-01   9661   나너우리
2018-06   5339   프로시아
2013-10   7116   Larry
2016-04   5696   AplP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