쿨링팬 저항 관련 질문드립니다.

   조회 20946   추천 0    

쿨링팬과 저항관련 질문드립니다.

사용하고자 하는 팬은 5V 0.45A 1800rpm 팬입니다.
막상 연결해보니 예상외로 소음이 있네요. 팬 자체 소음도 소음이지만 바람소리가 큰 것 같습니다.
장착된 곳의 구조 때문에 발생하는 소음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팬 속도를 좀 줄여볼까...해서 저항을 찾아보았습니다.
오픈마켓에 판매되는 팬 저항들은 거의 12V 용입니다.

이걸 5V 팬에 붙여서 써도 별 문제는 없을런지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chis 2015-10
상관없습니다만 fan이 start up이 안될가능성은 있습니다...
     
네...저도 그 부분이 좀 걱정이 되어서 질문드렸습니다.
얼마 안하는 물건이니 그냥 사서 일단 달아보고 고민해볼까요? ;;
박문형 2015-10
V=IR 이니까 펜의 저항은 대략 11오옴

W=VI 니까 전력량은 2.25와트

대략 3-5와트 견디는 저항으로 달면 되는데 몇 볼트까지 전압을 내려야 하나요??
     
오랫만에 보는 공식이네요. ^^  분명 공부를 했던 건데 하나도 기억이 안 납니다. ㅠㅠ

rpm 을 대략 20~30% 정도 다운을 시켜볼까 하는 중입니다.

저항을 사서 달면 될 것 같긴 한데 어느 정도 되는 걸 사야하는지 감이 전혀 없습니다.
AKA지니 2015-10
5v 에서 20%다운이면 4v, 30%면 3.5v 이네요

전체 전압은 5v이고 이때 걸리는 저항은 11 ohm입니다 직렬이므로

0.45*x=4 (5:4=11:x)에서 약 8.8 ohm이고 약 1.8w
0.45*x=3.5 (5:3.5=11:x)에서 약 7.7 ohm입니다 약 1.6w

참고로 저항에 몇V용 같은건 없습니다 시중에 판매되는 12v용, 5v용 팬저항이라는건 실제 그 전압에서 동작함을 의미하는게 아니라 12v용 팬과 5v용 팬에 맞게끔 저항과 정격전력 설계된것을 말하는겁니다 팬의 저항이 제조사 및 모델 에 따라 다르므로 정확하게 저항설계된건 아니지요

개인적으로 10옴짜리 가변 저항을 사용하면 좋겠는데 팬의 전류 소비치가 높아서... 저항에 걸리는 Watt가 높습니다...
     
네. 12V 용은 저항이 큰게 달릴거 같아서 문의드렸습니다.
알려주신 내용 참고하겠습니다.
          
AKA지니 2015-10
저항의 크기는 무시하셔도 됩니다 큰게 달리나 적은게 달리나 차이가 없습니다

중요한것은 도선에 걸리는 전류치 입니다 같은성능(소비Watt)을 기준으로 했을때 전압이 낮으면 요구하게되는 전류치는 더 높아집니다
박문형 2015-10
펜 모델명이 정확히 어떻게 되나요?

사진 있으면 더 좋음

스펙 찾아서 전압과 RPM 나와 있는 표를 찾아봐야 할 거 같습니다.
     
에버쿨 EC12025L05EA 입니다.
오픈마켓에서 판매하는 모델입니다.
          
AKA지니 2015-10
12v짜리로 사용하시는것이 더 유리하실겁니다

직렬연결이기 떄문에 팬에 걸리는 전류치가 고정인데 전압이 낮게 되면 도선에 걸리는 전류치가 높습니다

이렇게 되면 전압을 낮추기 위해서 사용되는 저항도 정격전력 요구치가 높아지게 되는결과가 됩니다

쉽게 예기 해서 저항 가격이 높아진다는겁니다

실제로 말씀하신 모델의 제조사와 같은 거의 동급의 12v 팬

http://www.evercool.org/shop/step1.php?number=376&b_code=B20071013111637&c_code=C20071013123613

을 보면 3w짜리 제품인데도 불구하고 소비전류가 현격하게 낮습니다

어찌 되었든 고정값의 저항을 사용하시는거 보다는 앞서 언급한 가변저항을 사용하시는것이 여러모로 좋으실껍니다
          
죠슈아 2015-10
저항으로 설정하면 원하는 속도, 풍압을 맞추기 어렵습니다.
팬의 소비 전류 * 저항 값 만큼의 발열이 발생 하므로
저항도 1-2W 이상의 두툼한 저항을 달아야 합니다.
여러 번 시도 해야 한다는 거죠.


그리고 팬의저항값과  추가저항 값을 정하는 방법은 일정 전류량 으로 계산 하셔서 하는 방법은 맞지 않습니다.
직렬로 저항이 연결되면 팬에 전압과 전류도 동시에 감소하기 때문에 계산이 복잡합니다.
계산이 맞게 되더라도 원하는 풍압보다 낮거나 .. 소리가 크거나하면 헛 수고가 됩니다.

원하는 정도의 rpm 을값는 Fan을 구입 하시거나
Active 소자를 사용한 속도 조절기를 쓰는것이 한번에 원하시는 풍압을 정하실 수 있어요.

이 걸로 하시는 것을 추천 합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853944&cate=1131553#bookmark_product_information
보통 저항이 견디는 전압은 수백V 이기 때문에 PC에선 상관이 없고요. 다만 계산대로 전력이 나뉘진 않습니다. 팬의 저항을 대충 계산해서 비슷한 저항을 사용하는 방법이 가장 간단합니다. 그럼 전압이 1/2 정도씩 나뉘므로 계산이 편해집니다만 문제는 팬의 기동전압 문제로 인해서 rpm 조절 구간이 생각보다 넓지 않습니다.
죠슈아 2015-10
전압이 낮아지지 않게 PWM 방식이  제어 범위를 넓게  할수 있죠
저항 방식은  대충  속도를  줄인다  정도면 방법 일 수 있는데
그 대충이  어렵다는게  함정이죠 여러번 해야 하니
저항값을  여러개로 시도 하게됩니다
그냥  만원쯤 들이면 속편히 조절 됩니다
열도없고 소리가 크다 싶으면 속도 줄이고
풍압이 낮다 싶으면  좀 속도 올리고  ..
     
PWM방식이라고 전압을 유지하는 것도 아니고 제어범위가 넓어지는 건 아닙니다. 어차피 팬에 걸리는 전압을 어떻게 제어하느냐의 방법의 문제일 뿐이지 결국엔 최소한의 기동전압 이하에서의 팬의 동작이 불안하므로 결국 사용범위는 50% 이상의 duty 정도로 제한됩니다. 간혹 30% 막 이렇게 설정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도 일단은 팬을 기동시켜야 하므로 로직이나 uP를 통해서 초기엔 팬을 최대 전력으로 돌린 후 타겟 rpm에 접근하게 됩니다. 만일 duty를 다이얼로 조절하는 아주 간단한 PWM방식 컨트롤러의 경우는 duty를 50% 이하로 설정했다가는 어느날부턴가 팬이 돌지 않을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물론 저전력 팬들은 보통 그럴 일이 별로 없긴 합니다만 전력을 좀 먹는 팬들은 조심해야 하지요.

5V팬의 경우는 팬자체의 저항이 낮아서 추가로 달아주는 저항도 낮고 따라서 구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는 있습니다. PWM회로 자체는 상당히 간단하니 만들어도 되고 PWM방식이 아니라 아예 가변형리니어레귤레이터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만 이 경우는 열이 좀 나겠지요. 아예 온도센서와 연동하는 회로가 더 나을 수 도 있고요.


QnA
제목Page 2666/5725
2015-12   1769239   백메가
2014-05   5243862   정은준1
2015-10   4438   김제연
2015-10   4373   인천I베리
2015-10   3960   2j1
2015-10   6581   체이스
2015-10   3983   방o효o문
2015-10   4577   2CPU최주희
2015-10   3551   소주한병
2015-10   18962   김윤술
2015-10   6161   서울사람
2015-10   3747   아름다운노을
2015-10   6275   정연
2015-10   4795   요로롱
2015-10   5235   HEUo김용민
2015-10   4455   예주니아빠
2015-10   17053   별하늘밤
2015-10   4268   김민철GC
2015-10   4135   윈98
2015-10   9544   블루영상
2015-10   5460   제스퍼즈
2015-10   5804   이상윤S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