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3642 |
25 |
2015-12
1673642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39147 |
0 |
2014-05
5139147
1 정은준1
|
80121 |
X8DTL-3에 ssd레이드 어떨지요? (3) |
행복하세 |
2016-04 |
4039 |
0 |
2016-04
4039
1 행복하세
|
80120 |
Q9550 / DDR3 8G / ATI 4650*2개 = DC파워로 사용 가능할까요? (5) |
오성기 |
2018-10 |
4039 |
0 |
2018-10
4039
1 오성기
|
80119 |
윈도우서버 역할추가가 안되네요.. (2) |
빠시온 |
2015-02 |
4039 |
0 |
2015-02
4039
1 빠시온
|
80118 |
Windows 2012 R2 [사양] HPE ML30 패스워드를 잃어버려 새로 포멧을 하려는데 어떻게… (5) |
niceyoung |
2018-03 |
4039 |
0 |
2018-03
4039
1 niceyoung
|
80117 |
이 커넥터 규격이 뭘까요..? (2) |
zaro |
2018-04 |
4039 |
0 |
2018-04
4039
1 zaro
|
80116 |
pcie1x슬롯 옆부분 깨서 랜카드나 달아볼까 합니다 (5) |
봉봉이 |
2017-10 |
4039 |
0 |
2017-10
4039
1 봉봉이
|
80115 |
Dell R900 CPU 교체 어려울까요?? (4) |
최창현 |
2016-08 |
4039 |
0 |
2016-08
4039
1 최창현
|
80114 |
CCTV 설치업체 문의드립니다. (5) |
굴다리교 |
2014-03 |
4039 |
0 |
2014-03
4039
1 굴다리교
|
80113 |
초창기 금성 컬러텔레비젼 220/110 전환 (5) |
2CPU최주희 |
2016-03 |
4039 |
0 |
2016-03
4039
1 2CPU최주희
|
80112 |
발열에 지장을 주지 않는 보드 코팅방법은? (4) |
MikroTik이진 |
2015-04 |
4039 |
0 |
2015-04
4039
1 MikroTik이진
|
80111 |
[비컴] 60평 짜리 하우스 견적 맞는지 한번 봐주세요.. (3) |
이상윤SY |
2017-12 |
4039 |
0 |
2017-12
4039
1 이상윤SY
|
80110 |
메인보드 수리 관련 질문이욥.... (14) |
김동자맨 |
2020-03 |
4039 |
0 |
2020-03
4039
1 김동자맨
|
80109 |
7 1/4" 와 7-1/4" 표기가 둘다 같은 치수 인가요? (2) |
agegold |
2016-08 |
4039 |
0 |
2016-08
4039
1 agegold
|
80108 |
inwin707케이스 전면 쿨러 돌릴방법은 없나요(사진첨부) (10) |
perls |
2016-08 |
4039 |
0 |
2016-08
4039
1 perls
|
80107 |
이메일 인증!! (2) |
류지현 |
2014-02 |
4039 |
0 |
2014-02
4039
1 류지현
|
80106 |
윈도우 10 업데이트 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LG 파워북인데..윈도우 7 이라는 군요.. (4) |
늘파란 |
2018-07 |
4039 |
0 |
2018-07
4039
1 늘파란
|
80105 |
male-male SATA 전원 케이블을 구할 수 있을까요? (2) |
송주환 |
2015-05 |
4039 |
0 |
2015-05
4039
1 송주환
|
80104 |
hp TFT7600G2 아답터 구입 도움바랍니다. (4) |
슬루프 |
2018-04 |
4039 |
0 |
2018-04
4039
1 슬루프
|
80103 |
구형 노트북 하드 살짝 흘들면 안에서 소리가 나는경우 (2) |
2CPU최주희 |
2015-08 |
4040 |
0 |
2015-08
4040
1 2CPU최주희
|
80102 |
plex 업데이트 이후 이상하게 .. 스마트TV에서.. |
siteop |
2016-09 |
4040 |
0 |
2016-09
4040
1 siteop
|
출력직후 바로 만졌을때 번질수있고 여름철 땀등에의해서 번질수도있습니다...
이래나 저래나 제일 문제가 속도가 느린것입니다 이게 가장 큰 타격입니다
3.링크의 제품은 안써봐서 모르겠네요
2. 가격과 필요기능을 충족하는 레이저 제품이 몇안됩니다
그중 그나마 선택할만한것은 http://prod.danawa.com/info/?pcode=2771093&cate=112994
그런데, 잉크젯이 예전과는 많이 달라졌다는 소리가 있어서요. 제가 링크했던 제품은 60ppm 입니다. 레이저 보다도 빠르거든요.
혹시 이런 제품은 사용해 보신 적이 없는지요?
지인 사무실에 있는것을 사용해본적이 있긴합니다
다만 빠른 출력을 위해서는 약간의 출력물의 선명도를 일정부분 포기해야하는 하는것으로 느꼈습니다
(디테일한 부분이라서 개인차가 있을수있습니다 제가 좀 민감하긴 합니다)
그리고... 잉크젯은... 유지보수가 레이저보다 까다롭습니다 쉬지 않고 사용하더라도 노즐이 막히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자주 사용하는 블랙을 제외하고 컬러는 비교적 잘 안쓰이기 떄문에 노즐이 막히는 경우가 매우 빈번합니다...
잉크젯이 사무용으로 끊이지 않고 계속 출시되는 이유는 레이저와 잉크젯이 가지는 장단점이 극명하게 갈리기 때문입니다
레이저는 적은 유지보수의 비용이 들어가고(토너 가격 자체는 비싸지만 출력당 토너 비용으로 계산하면 잉크젯보다 훨씬 저렴합니다) 고장률이 적고(드럼으로 찍어냄) 빠른 출력이 되고
출력물 관리가 용이합니다(번지지 않음), 용지를 크게 가리지 않음(싸구려 용지를 써도 웬만큼의 퀄리티를 유지합니다) 다만 가격이 비싸다는것이 단점이구요
잉크젯은 가격이 저렴합니다 카트리지도 저렴하구요(여기서 카트리지가 저렴하다는것은 개당 가격이 토너와 비교하여 저렴하다는것이지 출력당 비용이 레이저보다 좋다는것을 의미하하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최고 품질의 출력물간 비교하면 잉크젯이 단연 앞섭니다(하지만 사무용으로 고퀄리티 출력물을 출력하는경우가 많지는 않다는것이죠 - 이건 대다수의 경우이고 디자인쪽 종사하는등 업종과 사용용도에 따라서 가치판단 기준이 달라질수있습니다)
하지만 유지보수가 까다롭고 비용이 심심치 않게 들어갑니다(레일이 이동해야하는 물리적인 구조가 있어서... 레이저의 드럼의 마모와 비교하여 수명이 짧습니다)
대게의 경우 레이저보다 늦은 출력 속도를 보이며 빠른 출력을 할때는 레이저의 그것과 비교하여 출력 품질에 차이를 보입니다(개인차가 있을수있음),
노즐관리에 신경을 써야하며, 출력물 관리에 신경을 써야합니다...
습한곳에 보관하는 출력물의경우 따로 손데지 않아도 출력물이 번지는 경우도 있으며 예전보다는 훨씬 나아졌지만 출력직후 바론 손델경우 출력물이 번질수있습니다 또한 앞전에 언급한것처럼 손에 땀이 묻어있다던지 물을 쏟는다던지등의 액체에 의해 번지구요
사무용이면 출력후 일정기간 보관해야하는 문서도 있을겁니다... 잉크젯은 이러한 경우 레이저와 비교하여 그리 적합하다고 볼수는 없습니다...
잉크젯은 캐주얼하게 출력후 바로 이용하거나 짧은기간 보관후 폐기하는 문서 출력 용도로 적당합니다
또한 용지를 어느정도 가립니다... 잉크가 졸형태이긴하나 그래도 액체이기 때문에 싸구려 용지를 사용할경우 용지가 울어버리는경우가 있을수 있습니다
이 이외에도 어려가지가 있겠으나 대략적인 실사용에 따른 차이구요
결론은 사무용으로 빈번히 출력하는경우 잉크젯은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됩니다
이에 이견이 있을수는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적응의 문제이고 개인차가 존재하기떄문입니다
미처 생각지 못한 부분까지 말씀해 주셨네요.
특히 '보관' 부분이 문제가 될 수 있겠습니다.
용지를 가리는 부분도 그렇구요.
여러가지 고려해 볼 때, 레이저를 사용해야겠습니다.
정말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