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D 안정성에 대한 질문 입니다.

최창현   
   조회 4499   추천 0    

안녕하세요? RAID에 대한 문득 궁금증이 생겨 문의 합니다.

 

RAID라는게 속도의 향상도 있지만 대부분 현업에서 종사하시는 분들께서는 하드디스크의 고장에 대비한 데이타 보존에 더 의미를 두시고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저도 RAID10 등으로 그런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구요.

 

그런데 만약,

 

HDD의 고장이 아닌 RAID 카드 자체의 고장이라면 어떻게 되나요?

 

신품 동일 모델이 존재한다면 새걸로 구입해서 바로 교체 하면 되지만

 

년식이 좀 되어서 신품이 없고 중고 매물도 당장 구할 수 없다면

 

대체품을 찾을 때까지는 아예 서비스를 못하는게 되는게 아닌가요?

 

 

동일 회사의 타 라인업 제품을 사용한다고 해도 REBUILD해야 하는것 같은데 그러면 데이타가 전부 유실 될테고..

 

이럴경우 어떻게 대처 하시는지 현업의 프로님들께 조언을 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훌이 2015-10
타 사이트에서 RAID컨트롤러 장애로 디스크는 no fault여서 동일모델 raid카드를 구입하여 복구하였습니다.
인텔 raid컨트롤러 였는데.. 2005년식이였나 해서.. 용산이며, 다찾아봐도 중고도 없길레 ebay에서 중고 직구하였습니다.
김황중 2015-10
돈만 있으면 무슨 하드웨어든 다 구할수 있습니다.

산업용의 경우가 그런 케이스고요.
물론 시간도 필요 하겠지만

간혹..... 돈때문에 중요한것을 버리는 경우도 있긴 하나
대부분은 돈으로 처리 되더군요.

고로... 유지보수업을 하는 측면에서 바라볼땐
레이드 장비를 못구해서 유실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이규섭 2015-10
레어급 SCSI 컨트롤러급으로 정말 오래된 장비가 아닌 이상 구하기 어렵지 않습니다.
그리고 정말 중요한 자료라면 Raid 컨트롤러를 스페어로 구비해 놓는 것도 좋습니다.
박문형 2015-10
보통 거기까지 생각하면 카드나 하드를 스페어로 더 구비합니다..

아니면 2셋트나 3셋트 구매해서 백업으로 사용하죠..

문제는 카드 고장시 카드만 바꿔서 100% 데이터가 다 살아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는 것..

아마도 50-80%정도 데이터가 올라올 것입니다.(제 경험)

교체후 데이터만 보여서 다가 아니고 실제로 읽고 써지는지 확인까지 필요합니다..

백업만이 살 길이고요..

외장형 레이드 장치에서는 레이드 콘트롤러가 2개 내지는 그이상 복수로 설치하여 콘트롤러까지
미러링 시킵니다. 그래도 고장나서 데이터 잃어버릴 위험은 있습니다.

그 외 LSI에서 HA구성이 가능한 RAID카드가 2모델인가 있습니다. (SAS HDD및 전용샤시 필요)
강민2 2015-10
raid 는 말 그대로 redundancy지 backup 이 아님을 유념하세요 ㅎㅎ
이중백업은 필수이고, 24/7 서비스용이라면 2중, 3중 대비책은 마련해야겠지요.
또한 LSI나 Adaptec의 경우 하위호환을 거의 지원하기는 합니다. 3시리즈 어레이를 -> 7시리즈에 붙여도 정상 동작하긴 합니다.
모든 대응 방법은 사전에 계산한 시나리오에서 나옵니다. RAID카드를 준비하여 고장에 대응하는 것은 기본중의 기본이지만 정말 중요한 서비스용이라면 보통은 백업서버 살리고 서비스를 지속합니다. HDD의 고장에 대비한 데이터의 유실은 별도의 백업으로 대응하는 것이 기본이고요. RAID 10이라고 해도 백업이 필요없는 건 아닙니다.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RAID를 써야 할 만큼 중요한 데이터일수록 백업의 중요도는 높다는 것입니다.


QnA
제목Page 2664/5730
2014-05   5266682   정은준1
2015-12   1791595   백메가
2016-06   26788   무아
2018-08   7730   신은왜
2019-10   3764   NeOpLE
2011-06   7326   slowcity
2016-06   4269   leescom7
2019-10   6076   들고양이
2011-06   7733   스카이
2013-12   7093   유병국
2018-08   5930   돌문팬
2017-05   3992   송진현
2021-01   4318   전설속의미…
2011-07   6531   소주한병
2015-04   5751   에이핑크
2021-01   3430   까치산개꿀탱
2015-04   4799   윈도우10
2022-08   3449   신우섭
2013-12   8928   윈도우10
2013-12   5801   BMMen
2011-08   6062   GoodWolf
2018-09   3777   닉이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