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C입주와 LG오피스넷 어떤차이가 있을까요?

goodsense   
   조회 5455   추천 0    

IDC에도 입주하는 서버가 있기도 하는데 장점을 모르겠네요.

 

사무실에 LG오피스넷으로 고정IP 4개 사용중입니다. 서버실을 별도로 만들고 UPS와 에어콘 돌리고 있구요.

 

IDC에 입주한 서버가 라우팅경로가 좀 짧아지는거 같긴 한데.... 그외 어떤 장점이 있는 걸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Ray 2015-12
생각해보면 IDC를 왜 사용할까 하는 의문이 들수도 있습니다.
IDC환경에서는 온도, 먼지, 습도 관리의 필요성이 없습니다. 인력을 쓴다면 인력비용이 줄고, 직원이나 본인이 한다면 수고가 덜어집니다.
네트워크 또한 상단과 연동망에 가깝습니다.
다만, 능력이 되면 자체 서버실을 운영하여도 상관없다고 생각을 합니다. UPS와 에어콘을 가동중인 환경이라면 먼지만 신경써주시면 될 것입니다.
크리티컬한 환경이 아니라면 자체 서버실을 운영해도 괜찮다는 생각이고, 반대로 왠만한 서버실(준IDC급)이 아니면 IDC에 입주한 환경이 관리상의 이점이 있습니다.
요약을 하자면 IDC는 관리 필요성이 덜하나 이동하는 거리가 있을 수 있고, 자체 서버실은 관리의 수고가 필요하나 상황에 따라 빠른 대처가 가능합니다.
그냥 저의 생각이었습니다.
     
goodsense 2015-12
중국지사가 있는데 IDC에 넣은 서버와 사내서버실의 서버와 속도차이가 좀 나더라구요. 아무래도 해외 백본망이 빵빵한 KT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은 하고 있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김황중 2015-12
전기의 품질과 전기세 정도?
     
goodsense 2015-12
전기품질과 전기세 정도라면, 사내 서버실 운영해도 크게 문제 없겠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김황중 2015-12
어느정도 규모의 빌딩이라면 상관 없으나
10층 미만이라면 전기가 직접 들어올꺼에요.

서버 나갔다고 하여, 장애복구 가보면
번개친날 벼락 맞아서 서버 메인보드등이 나간경우들이 대부분 이였고요.

전기 문제 쉽게 넘어가시면 않됩니다.

PS. 물론 APC UPS 가 앞단에 달려 있었으나
      UPS는 멀쩡한데 서버만 맞이 갔다는............^^;;


QnA
제목Page 3082/5708
2015-12   1676591   백메가
2014-05   5142380   정은준1
2005-10   5455   박광덕
2017-07   5455   하루카
2019-05   5455   henol
2015-04   5455   지나가던개
2005-09   5455   김정중
2006-07   5455   최동현
2006-05   5455   정회정
2006-05   5455   정혜진
2007-06   5455   이인
2012-09   5455   김지환1
2008-03   5455   한두성
2017-01   5456   편한세상
2006-02   5456   윤상현
2011-12   5456   왕용필
2016-12   5456   서동국
2012-03   5456   두리안
2015-02   5456   못생긴애
2013-07   5456   회원K
2017-01   5456   슬러그
2008-03   5456   이현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