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0298 |
25 |
2015-12
1770298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4919 |
0 |
2014-05
5244919
1 정은준1
|
63494 |
컴퓨터 HDMI 를 TV HDMI 로 무선으로 연결할수 있나요? (6) |
정은준1 |
2022-07 |
2550 |
0 |
2022-07
2550
1 정은준1
|
63493 |
결국은 헬프미 합니다... 하하하 (4) |
황진우 |
2013-12 |
4386 |
0 |
2013-12
4386
1 황진우
|
63492 |
HP Z420 윈도우7 설치 (9) |
보통사람80 |
2016-06 |
7902 |
0 |
2016-06
7902
1 보통사람80
|
63491 |
보드 지원 문의 드려요ㅠ.ㅠ (4) |
김시혀니 |
2019-10 |
2572 |
0 |
2019-10
2572
1 김시혀니
|
63490 |
httpd 가 갑자기 멈추는거같아요.(로그 첨부) (4) |
호호 |
2021-01 |
7006 |
0 |
2021-01
7006
1 호호
|
63489 |
vmware상 rhel에서 네트워크 연결해제시 IP관련 (2) |
정영철 |
2021-01 |
3313 |
0 |
2021-01
3313
1 정영철
|
63488 |
델 t7910 사용중 입니다. 그래픽 카드 가능문의 (3) |
2pcnhs |
2022-08 |
1819 |
0 |
2022-08
1819
1 2pcnhs
|
63487 |
HP Z4G4 메모리 문의.. (1) |
회상2 |
2018-08 |
3724 |
0 |
2018-08
3724
1 회상2
|
63486 |
adapter RAID HBA 모드 문의 (3) |
빡시다 |
2019-10 |
5642 |
0 |
2019-10
5642
1 빡시다
|
63485 |
작업 지시서를 각기 다른 모니터로 각자 출력할수 잇는 솔루션있을까요? (12) |
천상천하 |
2013-12 |
7314 |
0 |
2013-12
7314
1 천상천하
|
63484 |
충전기 문의 (2) |
돌풍감자 |
2021-01 |
2464 |
0 |
2021-01
2464
1 돌풍감자
|
63483 |
사진올립니다.(아래 모니터고장) (6) |
박 |
2013-12 |
7720 |
0 |
2013-12
7720
1 박
|
63482 |
사무실에 비행기가 이륙중입니다... ㅜㅜ 저항 관련 문의 (13) |
빈경윤 |
2015-04 |
6509 |
0 |
2015-04
6509
1 빈경윤
|
63481 |
esxi guest os 에서 IPMI 를 사용할 수 있나요 ? (4) |
민사장 |
2018-09 |
3711 |
0 |
2018-09
3711
1 민사장
|
63480 |
onboard NVME M.2 vs pci-express 3.0 x16 nvme M.2 (3) |
이지포토 |
2018-09 |
4537 |
0 |
2018-09
4537
1 이지포토
|
63479 |
오실로스코프 구매에 조언 부탁드립니다 (11) |
송현우 |
2014-01 |
4860 |
0 |
2014-01
4860
1 송현우
|
63478 |
z620 쓰시는 분, 여기에 V2 적용가능한가요? (6) |
나비z |
2015-05 |
4483 |
0 |
2015-05
4483
1 나비z
|
63477 |
특정ip에서만 열리는 프로그램. IP를 설정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1) |
오성기 |
2011-09 |
5933 |
0 |
2011-09
5933
1 오성기
|
63476 |
XenServer 간단한 문의 드립니다. vga passthrough 관련 (5) |
warship |
2015-05 |
4513 |
0 |
2015-05
4513
1 warship
|
63475 |
레노버 p900 비프음과 부팀문제 (2) |
Landa |
2016-07 |
7057 |
0 |
2016-07
7057
1 Landa
|
싱글 2670에서 16스레드로 갈궈져야 성능 100퍼센트 씁니다
i7-3960X에서도 데이터 처리량이 많을때는 100%까지 6코어가 전부 순간적으로 CPU 점유량이 올라가는데...
지원하는거 아닌가요?
이 이상은 저도 잘모르겠네요...
기존 i5-4670K도 해석하면 100프로 부하가 계속 걸리지는 않습니다. 100프로 부하가 걸리는 시간이 50%였다면
i7-3960X로 변경하니 100프로 부하가 걸리는 시간이 10%이내로 줄어서 좀더 빨라진게 아닌가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E5-2670 사용시에는 100프로 부하가 하나도 안걸리고 나눠서 처리가 되나.. 기본 코어가 낮으니 성능향상이 거의 없었다고 나름 판단했는데....
워낙 E5-2670 가격이 기존 가격보다 싸게 나와서 듀얼로 할까 고민이 되서...
질문을 남겼습니다.
다 굴릴수 없는 상황이라면 그냥 감독관을 늘리면 되지 않나요.
해석프로그램이라는게 보통 여러개 띄울수 있는걸로 아는데,
앞선 해석결과가 있어야 다음 해석을 돌릴수 있는게 아니라면
그렇게 해보시죠.
현재 구성으로 2개 같이 돌려보고 잘 해석이 된다면.
듀얼로 넘어가야할듯 합니다.
그럼 프로그램을 더 띄워서 남김없이 사용해 드려야죠. ^^
강제 하이퍼쓰레딩이에요.
쓰레드교환을 코어내부에서 하냐 밖에서 하냐의 차이일뿐.
듀얼 코어로 가면 numa 시스템을 해당 솔루션에서 얼마나 지원하는가에 따라서도 틀려집니다.
즉, 일꾼들이 많아도 일꾼들 모두 서로 의사소통 잘 되어서 옆 일꾼이 일 끝마칠 때까지 기다리는 시간이 작냐? 아니면 한 일꾼만 죽어라 일하냐? 이런 문제가 많이 발생됩니다.
게임 중에서도 이런 설계가 잘 안되어서 2개의 코어 중에 한개의 코어만 죽어라 일하는 것들도 간혹 있는게 이런 이유입니다.
사람들도 협업할 때 옆에서 자료 만들어서 전달해주면 바로 일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만든 자료를 읽어보고 이해를 한 뒤 실행하는 시간이 걸리듯이 일꾼만 많아진다고 빨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나머지는 싱글 쓰레드로 설계되어진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코어 갯수가 많다고 해도 코어수에 비례하여
수행 시간이 단축 되지 않기 때문에
멀티 쓰레드 구간 시간과 싱글 쓰레드 시간 구간 비례를 고려하여야 하겠군요.
병목 구간인 싱글 쓰레드 구간에서 빨리 진행 하기 위해선 이름 하여 클럭빨이 있는 CPU가 유리 하게 됩니다.
다만 다중 테스크를 고려한다면 듀얼도 의미는 있지만 그 만큼 처리량을 위해 메모리 2배 증설도 같이 고려 되어야 합니다.
해석툴 개발자였어요.
클럭과 디스크 속도가 중요해요.
많이 배워가네요..
이제 답은... 듀얼로 구성해서 Test하거나 지름신을 죽이는 수밖에는 없네요. ㅋㅋ
일반구조해석이라면 무조건 클럭수 높은 것이 최고 입니다.
학교때를 돌이켜보면, 구조해석을 친구 10명이 동시에 계산기로 풀지 못해요.
하나의 끝에서부터 차근차근 풀어야 하쟎아요.
SAP 2000 등의 구조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구조해석의 중간중간에 file save하는 것들이 꽤 있고
해석하는 시간보다 이런류의 disk io에 시간이 더 많이 들어 갑니다.
디스크를 확실하게 빠른거로 바꾸시는게 좋아요.
좀더 벌어야할듯 합니다.
제가 꾸며주던 유체(댐 분석)해석쪽에선
램디스크 구성할려고, 제온듀얼을 사용했습니다.
IO >> 클럭 > 코어 순으로 결과시간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해석파일과 출력파일을 SSD에서 돌려봤는데... 하드에서 돌리는 것과 거의 차이가 없더라구요.
혹시 몰라서 RAMDISK로 돌려봤는데도 차이가 없네요.
유체 해석 프로그램과 다르나 봅니다.
일찍 퇴근 시켜 준다 하면 아마 100%의 성능을 일을 할거에요..
양자역학에도 관찰자의 효과 라는게 있습니다.. 암튼 옆에서 보고 있어서 그래요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