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D 어떤것이 좋을까요?

아르코   
   조회 5246   추천 0    

제품은 DS1515+

베이 5

하드디스크 2T X 5


이렇게 구성하려고 합니다.


단순하게 원하는 목적은

자료의 용량은 전혀 무관합니다. (2테라면 충분합니다. 그이상이면 여유가 좋구요)

자료의 백업이 중요합니다. (저는 RAID1 미러 방식이면 모든게 해결될줄 알았습니다. RAID 의 목적은 실시간이기보다 데이타 보존에 더 목적이 있습니다)

RAID 5 의 실폐 사례가 인터넷에 많은데 RAID6 이 제일 효율적인지 궁금합니다.


5개중 2개의 하드가 죽었을때 3개로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할까요?


시놀에서는 SHR-2 라는 RAID 유형을 제시합니다. RAID 6 과 동일하지만 전혀 접해보지 못한 RAID TYPE 인거 같습니다.


하드는 총5개 까지 사용가능하며 4개 써도 무관합니다.


1. 자료만 저장이 절대 깨져서는 안되며

2. 5개 중에 2개가 죽고 3개만 살아 있다면 복구 가능한 정도면 됩니다.

IF 복구시 3개의 하드만 꼽고도 데이타를 불러낼수 있으면 됩니다.

3. 하드 4개 RAID10 을 쓰면 미러1 미러2   1+2 RAID 가 되면 효율성이 좋은지 모르겠습니다.

4. 네트워크속도는 초당 100메가는 나왔으면 합니다 (기가로)


약 10년전즘 설계실 데이타 보존용 HDD 가 사망하여 명정보에서 복구한적이 있습니다.

최근에도 하드가 한번씩 로드 스피드가 너무 떨어지는 경우가 있어서 확인해보니 하드 불량

1달 도 안된 WD 블랙 또한 사망한 사건도 있었구요...



답변 미리 감사 드립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시놀로지를 안 써봐서.........
트리플 미러는 안되나요?
Zfs 를 쓰면 지정하는만큼 미러가 됩니다.  3개든 4개든....
한효석 2016-02
데이터가 깨지면 않된다는 심각성에 대해서 공감합니다.
레이드는 물론 미러링으로 하셔야 겠네요.

저도 아직은 해보지 못하였습니다만, 시놀을 두대 도입하여 서로 다른 지역에 놓고 서버간 동기화를 하여 두면 어떨까 생각해 봤습니다.
제 경우는 한 대는 서울 그리고 또 한 대는 미국에 놓고 실험하여 보려고 합니다.
물론 자연재해를 고려하지 않는 다면 같은 방에 두대를 운영하여도 무방하다고 생각합니다. 단 UPS는 필수입니다.
1515+ 1대가 2대가 되면 비용이 만만치 않습니다. 순수 백업만이 목적이라면 올해 새로나온 416j 를 두대 사용하면 어떨까 합니다.

금융계 시스템을 지역적으로 서로 다른 곳에 놓고 상호 백업을 하는 발상이지요.
일본의 경우에는 동경에 데이터센터에 운영시스템을 두고, 오오사카에 백업시스템을 두는 식입니다.
동경에 지진이나도 오오사카에도 동시에 지진이 나지 않는한 데이터는 살아 있다는 발상이지요.
     
아르코 2016-02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다중미러링에서 어떤 방식으로 NAS TO NAS 백업을 해야할까요? IP클라우드 처럼? 고민되네요..ㅎㅎ
          
한효석 2016-02
아래 홈페이지를 참조 하세요.

https://www.synology.com/ko-kr/dsm/data_backup

특히 아래 부분의 문귀가 마음에 와 닫네요.
"원격 서버에 백업: 데이터를 같은 건물내 또는 다른 대륙에 있는 다른 DiskStation에 손쉽게 백업합니다. 이는 여러 사무소에 분산된 데이터를 통합하는 데 편리합니다."
다중 미러링(2T 4개에 전부 동일한 데이터 기록)하면 되실듯합니다.
RAID5~6는 결국 용량을 더 확보하기 위한(경제성이겠지요.) 방법일뿐입니다.

더 추천드리는 방법은 동일 장비를 하나 더 구성하는겁니다. 쉽게 장비를 미러링하시면 됩니다.
     
아르코 2016-02
그렇다면 RAID 1 인가요, 복구의 개념도 제일 편리하구요. 감사합니다.
깡통이 2016-02
자료의 백업이 중요합니다. (저는 RAID1 미러 방식이면 모든게 해결될줄 알았습니다. RAID 의 목적은 실시간이기보다 데이타 보존에 더 목적이 있습니다)
---------
데이터 보존이 목적이라면 RAID가 아니고 백업 체계를 만드셔야 됩니다.
볼륨을 꼭 하나로 만들 필요가 있으신가요? 어차피 그 안에서 파티션이나 폴더로 나눠서 저장할 것이라면 그에 맞춰서 자동으로 온라인 백업을 하도록 하세요.

절대 깨져서는 안된다... 라고 하시지만 절대란 것은 없습니다.
정전이나 전기적인 이유로 시스템 전체가 나갈수도 있구요, 도난이나 화재나 사용자 실수로 데이터를 날릴 수도 있는데 그 때에는 레이드가 아무 도움이 안되요.
디스크 2개가 동시에 나갈 확률이 높을까요? 아니면 그 밖에 레이드로 커버하지 못할 문제로 인해서 데이터를 날릴 가능성이 높을까요?

2TB 밖에 안된다면 RAID-1으로 구성하시고, 따로 백업을 하세요.
중요한 데이터일수록 복제 개수가 많고, 물리적인 공간이 다른 곳에 저장할수록 좋습니다.
성투불패 2016-02
레이드를 꾸미실려고 하는데 초치는 것 같아서 죄송합니다만...
용량이나 속도 확보 보다는 안정성이 우선이라면 레이드에 투자 하기 보다는 다중 백업에 투자하는 편이 훨씬 이득이란걸
2CPU를 통해서 배웠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박문형 2016-02
3군데이상 독립적으로 백업을 해두면 데이터를 잃어버릴 확률이 현저하게 줄어듭니다.
     
한효석 2016-02
다만 휴먼에러, 즉 운영하는 사람이 실수로 다른 곳에 백업을 제대로 못하였다던지, 혹은 리커버리 작업시 input 과 output 을 반대로 지정 하여서 이미 제대로 백업한 데이터를 날려 먹는다 던지 하는 실수가 없어야 겠지요.
이를 위해서 백업 시스템을 구축하여 놓고 반드시 리커버리 테스트를 하여야 하고, 꼭 리커버리 순서를 매뉴얼화 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실제 상황이 벌어져서 리커버리를 실시하는 상황이 되면 당황하게 됩니다. 이 경우 실전 훈련 경험이 없는 사람이 그것도 매뉴얼도 없이 이거 저거 건드리다가 백업한 데이터 마져 날려먹기는 흔한 일이죠.

문형씨가 이야기하는 3군데 라는 것은 2군데 백업 데이터까지 날려 먹었을때를 가정 한 것입니다. 다만 경제성이 항상 문제가 되기는 하지만..
초보IT 2016-02
제가 근무하는 곳 레이드5+핫스페어1 그리고 1차백업 그리고 2차백업까지 두고 있습니다.
1차백업은 증분 백업으로 진행하고, 2차백업은 1주일에 한번 돌아가는 것으로...그래도 마음은 늘 불안합니다^^;;


QnA
제목Page 2548/5730
2015-12   1791452   백메가
2014-05   5266547   정은준1
2019-05   3290   검은콩
2023-07   2183   pumkin
2017-01   5157   인폼
2018-03   3592   행복집
2019-05   3276   NUXE
2018-03   3909   7755
2019-05   3011   잘하자
2013-05   9091   카프카
2013-06   9585   파리대왕
2020-08   4263   JSYoon
2013-06   6085   이병영
2018-03   4873   장동건2014
2020-08   3349   무쏘뿔처럼
2018-03   3930   Kams6052
2014-11   18891   김제연
2020-08   3077   머리감자
2013-06   6330   Won낙연
2016-02   3458   미수맨
2017-01   7857   dragoune
2019-05   4156   어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