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5315 |
0 |
2014-05
5265315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0295 |
25 |
2015-12
1790295
1 백메가
|
63681 |
100명기준 사무실 인터넷 사용 문의합니다. (4) |
초보IT |
2018-02 |
5051 |
0 |
2018-02
5051
1 초보IT
|
63680 |
크롬 자동업데이트 막는 방법 없나요? (2) |
akfalles |
2013-03 |
14755 |
0 |
2013-03
14755
1 akfalles
|
63679 |
flash drive(usb드라이브)가 물리적 에러가 발생해서... |
전직P연구원 |
2016-01 |
3385 |
0 |
2016-01
3385
1 전직P연구원
|
63678 |
서버에 백업 저장장치 SSD 부적합 할 까요...? (25) |
바부팅이 |
2023-06 |
3780 |
0 |
2023-06
3780
1 바부팅이
|
63677 |
UTP케이블 (내부 8P 선) 탈피용 스트리퍼 문의 (11) |
으흥 |
2020-06 |
4864 |
0 |
2020-06
4864
1 으흥
|
63676 |
LED등 (6) |
뚜뚜김대원 |
2013-03 |
9315 |
0 |
2013-03
9315
1 뚜뚜김대원
|
63675 |
E3-1245 v2 vs. i7-3770 (22) |
나파이강승훈 |
2014-09 |
9802 |
0 |
2014-09
9802
1 나파이강승훈
|
63674 |
JMicron JMB393B 설계 경험 또는 JMB393B 붙어있는 제품 사용자분 계실까요? (12) |
비비BB |
2020-06 |
3944 |
0 |
2020-06
3944
1 비비BB
|
63673 |
X9SBAA-F 보드에서 non-ecc ram을 쓸 수 없는걸까요? (1) |
보람이 |
2013-03 |
6183 |
0 |
2013-03
6183
1 보람이
|
63672 |
듀얼 6핀 female to 8핀 male 그래픽 전원 변환 케이블 판매처 (2) |
크리미 |
2023-06 |
1830 |
0 |
2023-06
1830
1 크리미
|
63671 |
[Q] 외장 그래픽 카드 장착, 실익이 있을까요? (9) |
암브로시아 |
2016-12 |
6076 |
0 |
2016-12
6076
1 암브로시아
|
63670 |
[질문] DELL R740XD + RTX2080Ti 11G 2EA 세팅시 문제점 (11) |
SugarCube |
2020-06 |
8647 |
0 |
2020-06
8647
1 SugarCube
|
63669 |
리눅스 상에서 LSI 레이드 볼륨의 이상상태를 자동으로 알려주는 기능이 있나요? (6) |
조우진cas |
2021-11 |
2119 |
0 |
2021-11
2119
1 조우진cas
|
63668 |
리눅스에서 USB 무선랜 드라이버 설치(A3000U-칩셋:RTL88x2bu)문제 (6) |
회상2 |
2023-07 |
2923 |
0 |
2023-07
2923
1 회상2
|
63667 |
[질문] ebay 구매 문의 드립니다. (6) |
나너우리 |
2010-03 |
7656 |
0 |
2010-03
7656
1 나너우리
|
63666 |
chkdsk /f 결과입니다. - 실행중 입니다. (2) |
캔위드 |
2018-02 |
5483 |
0 |
2018-02
5483
1 캔위드
|
63665 |
샤오미 데스크탑 조명 제품 판매처 질문입니다. (7) |
나우마크 |
2020-07 |
3221 |
0 |
2020-07
3221
1 나우마크
|
63664 |
쓸만한건 놓쳐서 못사고.. 기다리다보니.. 가격이 점점내려가네요 (2) |
라긍 |
2016-01 |
3631 |
0 |
2016-01
3631
1 라긍
|
63663 |
HP Z800 CPU UPGRADE 관련 질문드립니다. (7) |
리짱 |
2016-12 |
7154 |
0 |
2016-12
7154
1 리짱
|
63662 |
sas 하드테스트용 카드 (15) |
2CPU최주희 |
2021-12 |
3458 |
0 |
2021-12
3458
1 2CPU최주희
|
가끔 하시는 게임을 위해서 집어넣으신거라면 어쩔 수 없지만요.
어차피 기본적인 성능이 된다면 최고급 게이밍 카드든 보급형 게이밍 카드이던 프리미어나 에펙이나 효율은 비슷합니다.
이렇게 생각해보세요. 현재 필요한건 탱크인데 탱크 살 돈이 없어서 그냥 자동차를 사서 테크니컬로 개조했습니다.
베이스가 된 자동차가 슈퍼카이든 티코이든 여하튼 그래보았자 테크니컬입니다. 물론 티코 수준이면 무기 달기 전에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붕괴할 수 있겠지만, 요점은 탱크(쿼드로나 NVS, FirePro 같은...)가 아닌 이상 기본 성능만 된다면 사실 별 차이 없다는 겁니다.
E5 Xeon 시리즈로 가게되는 가장 큰 이유는 확장성이라고 생각합니다.
시스템에 램을 포함해서 이것저것 많이 밀어넣을게 아니면 다시 생각해보아야 한다는거죠.
지금 대란 난 2670은 생각보다 무거운 구형 CPU입니다. 메인보드 등을 갖추는데 드는 비용과 노력도 E3에 비해 많이 듭니다.
다른 쪽을 고려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예를 들어 렌더링 4시간이 2시간으로 줄어도 주로 근무 외 시간에 Queue를 돌린다면 그게 그겁니다.
그보다는 스토라지 병목 정도를 파악하셔서 NVMe를 캐시용으로 달아보신다든지 하는 좀더 색다르고 효과좋은 시도도 있습니다.
주 병목이 그 쪽에서 발생하니 이거 먼저 파악해보세요. 어차피 렌더 걸고 기다리는 건 똑같으니 스케쥴 때문에 렌더링 시간을 줄이는게 아닌이상, 작업이 효율적인것이 실제 정신건강과 돈을 아끼는 것입니다.
제가 하드웨어쪽으로 지식이 얕은관게로.. ^^;
게임은 전혀 안하구요
980ti를 넣은건 대충알고 있는게 쿠다코어가 많을수록 대역폭이 클수록 렌더링이 빠르다
코어가 많고 쓰레드가 많으면 빠르다. 뭐 이정도 입니다 그래서 저렇게 생각을 한거구요 ^^;
주로 하는 작업도 무거운 작업이 아니고 현제 시스템(i7 3770,gtx780ti,16g램)에서 에펙렌더링 15분짜리, 프리미어 렌더링 30분짜리 단순 반복 작업입니다.
그래서 렌더링 시간을 줄이는게 작업의 효율성이 좋아저서 서브컴한대 더 드릴려고 생각중이구요
e3 1231v3, gtx980ti 이정도면 비슷할꺼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렇게 잡은거구요 2670은 x79보드가 40만원정도 하던데 요렇게만 해도 렌더링속도가 더 좋아 질꺼 같아서 고민중입니다 ^^;
감사합니다 ^^
안정성이 더 뛰어납니다.
그리고 최종 랜더링 자체는 2670이 더 빠를겁니다.
- 코어 개수가 2배 차이
- 2 Way로 가면 4배 차이
- Adobe AfterEffects는 각 프레임을 각 스레드에 할당하는 형태로 멀티프로세싱을 합니다. 최대 동시 렌더링 되는 프레임 수가 4배 차이 난다는거죠.
- https://www.video2brain.com/en/lessons/using-render-multiple-frames-simultaneously-multiprocessing
- 프리미어는 딱히 신경 안쓰고 쓴지라 이 세팅이 가능한지 모르겠네요.
- 물론 멀티프로세싱도도 각 스레드에 할당할 메모리가 충분해야 써먹을 수 있습니다.
- 1231v3는 램을 아무리 많이 달아보아야 32GB가 한계입니다; 반대로 말하자면32GB 이상의 메모리를 사용하실 계획이면 E5 시리즈로 가셔야 된다는거죠
- 싱글스레드 성능는 1231v3가 더 좋습니다.
- 멀티 스레딩도v3계열이 v1보다는 좀더 효율적으로 동작합니다.
- (그러니깐... 2670 1way로 1231v3만큼 속도가 나려면 적어도 두배의 램이 확보되고 8개의 코어가 전부 활성화 되어야 합니다: 단순 싱글 스레드 성능비교로 2.6 GHz : 3.4 GHz)
하지만 실제 시스템 자체는 아무래도 1231v3가 더 빠릿하고, 전체 시스템 맞추는데 드는 비용(가성비)까지 고려하면 E3가 더 저렴하기에 이쪽으로 유도하였습니다. 만약 최종렌더링 시간이 치명적인 부분이라면 좀더 고려하세요.
CUDA로 최종 렌더링을 뽑으실거면 좀 생각해보셔야 합니다.
NVIDIA Geforce 시리즈는 빠르게 결과를 뽑는데 집중을 하였기 때문에 CUDA 정확성을 보장하지 못합니다.
(게임에서 쿠다 에러로 벌어지는 일은 기껏해보았자 시체의 강렬한 사후경직 정도에 불과합니다)
저희도 Geforce로 CUDA 쓰다가 지금은 전부 Only CPU로 돌아섰습니다.
구닥다리 NVS 하나는 여전히 쿠다 사용중인데 아직까지 별 문제가 없군요.
가끔 발생하는 치명적인 오류때문에 정신건강이 심히 않좋습니다.
(마감 이틀 전에 12시간 렌더링 걸어 뽑혀 나온 결과물이 중간부터 녹색으로 떠버린다고 상상해보세요)
꼭 CUDA를 쓰시겠다면 쿼드로 시리즈나 NVS시리즈를 고민해보세요.
정말 좋은정보를 많이 가지고 계셔서...
혹시 테슬라 K20 을 추가해서 사용한다면 .. 이것도 별로 일까요?
요즘 중고 테슬라가 나오길래 질문드려봤습니다.
문제가 되는부분은 항상 인코딩이더군요.
가끔 녹색으로 뜨던 문제는 주로 media encoder를 통해 H.264 인코딩 시 주로 발생했는데, 이때 CUDA가속에 문제가 되었지 않나 싶습니다.
Adobe 지원리스트에 없는 GPU를(Geforce계열) 트윅으로 사용하였거든요. 세번 당하고 나서야 지원리스트에 없는 GPU CUDA쓰는걸 관두었지요.
만약 플레이백(Fast Draft mode)을 빠르게 하기위해서 CUDA를 사용하신다면, 구지 비싼 별도의 물건을 달아야 하는가 싶습니다.
플레이백 자체는 보급형 VGA CUDA로도 충분했던 기억이 있는지라. 게다가 CS6부터는 OpenCL도 지원합니다. CUDA에만 목멜 필요가 더더욱 없어진거죠.
만약 Media Encoder를 사용하지 않고 출력하신다면 더더욱더 의미가 사라집니다.
After Effects나 Premiere나 자체 최종랜더링엔진은 CUDA사용을 하지 않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오직 Preview, Playback에만 GPU가속을 사용합니다.
물론 별도로 사용하시는 Encoder가 CUDA가속을 사용한다면 어느정도 의미있는 구매가 되겠지만요.
그렇다 하더라도 그게 정말 그만큼 효과적인 투자였을지, 다른데 투자하는게 더 나았을지는 작업스타일 등을 면밀하게 따져가며 고민해봐야겠죠.
K20이면 장터가만 백만원을 호가하는데, 플레이백 용도로 쓰기위해 구매하기엔 가성비가 있는 선택인지 의문이군요. Fast Draft mode 가속만 원하신다면 그냥 보급형 GPU도 나쁘지 않은 선택입니다(지원 리스트에 없는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는 방법은 Youtube에 많이 나와있습니다). 에러가 안난다고 보장할수는 없겠지만, 어차피 최종 출력시 렌더링 자체는 CPU로 합니다. 인코딩은 다른 이야기가 되지만요. 실제 adobe커뮤니티에서도 비싼 웍스 그래픽카드나, CUDA Co-processor를 꼭 달아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말이 많습니다.
정리해서...
다음은 Adobe의 After Effects CUDA가속에 대한 공식 입장입니다.
In general, After Effects does not require CUDA features of any specific set of Nvidia GPUs. Only the GPU-accelerated ray-traced 3D renderer requires this. The other GPU features work on any GPU that meets certain basic requirements, including AMD and Intel GPUs. Continue reading for more features.
그리고 Premiere Pro의 경우 CUDA가속을 Mercury Playback Engine에 사용하는데, 이 엔진은 정작 최종 렌더링엔진으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Adobe Media Encoder는 CUDA와 OpenCL을 사용합니다.
고로.... Playback(Draft Mode) 가속만을 원하시는거면, 구지 그런 비싼 물건 달 필요가 없다가 제 생각입니다.
Geforce CUDA에서 Tesla CUDA로 옮긴다고 투자한 돈만큼 Preview 별로 안빨라집니다.
그보다는 다른 좋은 투자분야가 있으니깐요. Memory라든가 CPU라든가... 혹은 Scratch Disk를 좀더 고속의 NVMe로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도 있겠지요.
그 다음에야 비로서 Encoding 가속 등을 위해 Co-Processor구입을 고려해볼만 하지 않을까요?
만약 3D 저작프로그램을 사용하신다면 그 비용을 Quadro에 투자하는걸 더 추천드립니다. 뷰포트 가속이 제대로 되고 안되고는, 정말 작업능률을 천국과 지옥을 왔다갔다하게 만듭니다.
이렇게까지 자세히 봐주실줄 모르고, 쉽게 생각한 제가 모자란 사람이네요. ㅠ
PiPPuuP 의 말씀데로 방향을 선회해서 좀더 알아보는 쪽으로 가야겠습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리고, 항상 평안하시고, 사업 번창하세요.
오늘도 평안하시구요.
그렇다면 E5-2600 v3 급의 중고 서버를 영입해서 돌리는게 더 효율적인 부분이 되는게 맞는거 같네요.
PiPPuuP님의 고견 덕분에 모든 문제가 해결된거 같아 정말 좋습니다.
오늘도 좋은하루 되세요.
서버는 일단 부팅이 매우 느리며(POST 때 가능한 모든 시스템 검사를 합니다), 가장 큰 문제는 웍스에 비해 매우 요란하다는 겁니다. 옆에 두고 쓸만한 물건은 아닙니다.
(서버 소음은 IDLE상태를 작은 진공청소기 돌리고 있는 상태로, Full-load를 큰 진공청소기 돌리고 있는 상태를 상상하시면 됩니다)
Adobe Premier와 After Effects의 랜더링에서 코어만큼 중요한게 램입니다.
Adobe 동영상 렌더링은 멀티스레딩 방식이 스레드를 여러개 만들어서 협동해가며 랜더링을 거는게 아니라,
프레임 단위로 작업을 나누어서 각자 랜더링 하는 방식이라(사용하는 코어 수만큼 독립적인 렌더머신이 돌아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코어 갯수 * 1.5~4GB정도의 램이 있어야 제대로 동작합니다. After Effects로 예를 들자면: 만약 스레드가 16개이면 4K랜더링 시 적어도 48GB의 램은 있어야지 원활하게 동작한다는거죠.
CPU를 고르실 때 이부분도 염두해두시면서 고르시면 됩니다.
스레드는 32개인데 메모리는 그에 반해 턱없이 부족하면 결국 그 코어 다 못쓰니깐요.
다만 정작 Preview나 Fast Draft mode에서는 그렇게 큰 사양(많은 코어와 다량의 메모리)을 요구하지는 않습니다. 이부분 반응속도는 반대로 고클럭이 좋죠. 다만 Preview에 사용될 램 캐시는 넉넉하면 좋긴 하더군요(이건 어차피 Disk Cache로도 대체 가능합니다).
따라서 스레드 성능(클럭), 스레드 숫자(코어 수+하이퍼스레딩) 사이를 비교해가시면서 시스템을 맞추시는게 좋습니다.
예를들어 Adobe After Effects 렌더링에 8-core 4GHz랑, 16-core 2GHz를 비교한다면, 비슷한 성능을 낼겁니다. 하지만 16-core는 8-core에 비해 제대로 작동하려면 두배의 메모리를 요구하지요. 또한 실제 사용하게 되는 스레드는 전체 가능 스레드에서 대개 하나는 감소시키고 계산을 하시는게 좋을겁니다. 만약을 대비해 하나정도는 다른 어플들과 OS를 위해 남겨주시는것이 좋습니다.
덧. Adobe App들을 사용시 시스템 자원을 100% 활용하지 않는데 이는 Adobe 어플리케이션들은 기본적으로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여분을 남겨놓도록 설계되어있기 때문입니다. Premiere와 After Effects의 경우 이 여분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대개 동시에 여러 Adobe Suite들이 같이 작업하는 특성에 대응하기 위해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