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¹ÌÅ©·Îƽ ] ºê¸´Áö ¹× ½ºÀ§Ä¡ ¸ðµå¿¡¼­ STP/RSTP¸¦ »ç¿ëÇÏ´Â °æ¿ì ¹®ÀÇ

   Á¶È¸ 4259   Ãßõ 0    

일반 스위치는 외부 스외치와  looping을 방지하고자  STP/RSTP(고속)을 사용하는 걸 알고는 있으나,

Mikrotik에서 Bridge 또는 Switch port에 STP/RSTP를 설정하는 경우가 궁금합니다. (일반 스위치와 동일한지 해서요)


bridge-local (ether1 ~5), bridge-public(ether6~10)인 경우에,

  1. bridge-local 및 bridge-public이 서로 통신하기 위하여도 (내부 스위치 칩간에 스위칭 또는 서로 다른 브릿지 간에 스위칭) STP/RSTP가 필요한지요 ?
     일단 저의 예상은 필요 없을 거 같긴해서요

  2.  STP/RSTP 설정은 bridge-local/public의 포트들이 외부로 연결된 물리적 포트로만 STP/RSTP를 보내는 건지 궁금합니다.

  3. 브릿지로 구성된 bridge-public의 물리적 포트 중에서 ether1으로만 STP/RSTP를 보내게 할 수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사용자 분들의 어떠한 조언 이라고 감사하겠습니다.

ªÀº±Û Àϼö·Ï ½ÅÁßÇÏ°Ô.


QnA
Á¦¸ñPage 3812/5708
2014-05   5142781   Á¤ÀºÁØ1
2015-12   1676995   ¹é¸Þ°¡
2014-12   4266   ¾Þ¾Þ¾Þ
2017-10   4266   »ßµ¹À̽½ÇÄÀÌ
2017-01   4266   isaiah
2016-10   4266   °ø¹é±â
2016-04   4266   Christopher
2018-08   4266   3D¼­Æ÷ÅÍÁî
2015-09   4266   ÁÒ½´¾Æ
2020-12   4266   Äĸͱ¸
2015-09   4266   ¹Î¼ºÀÏ
2019-06   4266   ÀÌÁöÆ÷Åä
2016-03   4265   ½½·çÇÁ
2021-01   4265   ½ÄÀ̾ƺü
2014-09   4265   squirrell
2021-05   4265   petabyte
2021-05   4265   jklee
2020-07   4265   ¹ÙºÎÆÃÀÌ
2018-04   4265   Àü¼³¼ÓÀǹ̡¦
2018-02   4265   Åë½Åº¸¾È
2015-03   4265   ±ú¸ð
2016-03   4265   Â÷Æò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