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2494 |
25 |
2015-12
1792494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7506 |
0 |
2014-05
5267506
1 정은준1
|
63982 |
해외구매 synology AS ?... (9) |
황진우 |
2018-02 |
3819 |
0 |
2018-02
3819
1 황진우
|
63981 |
시놀로지 의 LAN Port 사용법 (11) |
한효석 |
2020-06 |
6142 |
0 |
2020-06
6142
1 한효석
|
63980 |
슈마 힛씽크에 팬 장착 가능한가요? Supermicro SNK-P0048PS (2) |
파렌 |
2014-10 |
4675 |
0 |
2014-10
4675
1 파렌
|
63979 |
메인보드 폐기는 어디로 해야할까요... (14) |
송지만 |
2023-06 |
5796 |
0 |
2023-06
5796
1 송지만
|
63978 |
v3 lite 설치후 파란화면 리부팅 현상 (3) |
오원 |
2010-02 |
9075 |
0 |
2010-02
9075
1 오원
|
63977 |
멜라녹스 MCX4121A-XCAT 호환 문의 (3) |
seru |
2020-07 |
3725 |
0 |
2020-07
3725
1 seru
|
63976 |
pre-OS image라는게 뭔가요? VM이미지인가요? (idrac6 vflash사용에서..) (3) |
김건우 |
2014-10 |
5662 |
0 |
2014-10
5662
1 김건우
|
63975 |
CAT6급 이상으로 UTP제외한...FTP내지 STP박스로 파는곳 아시는분... (3) |
최도형 |
2010-03 |
9955 |
0 |
2010-03
9955
1 최도형
|
63974 |
그림과 같은 랙핸들이 있나요? (11) |
Nikon |
2014-10 |
7065 |
0 |
2014-10
7065
1 Nikon
|
63973 |
usb허브에 usb허브연결... (5) |
김건우 |
2013-04 |
6823 |
0 |
2013-04
6823
1 김건우
|
63972 |
[ 미크로틱 ] 스마트폰 어플 무엇을 주로 쓰시는지요 ? |
전설속의미… |
2016-01 |
3416 |
0 |
2016-01
3416
1 전설속의미…
|
63971 |
Z840 웍스에 사제 공랭쿨러 가능한가요? 수냉이나. (7) |
ACACIA |
2023-07 |
2275 |
0 |
2023-07
2275
1 ACACIA
|
63970 |
인텔 핫스왑베이용 케이스(랙형) 추천 부탁드립니다. (2) |
GoodWolf |
2010-03 |
8238 |
0 |
2010-03
8238
1 GoodWolf
|
63969 |
이번 미정한님 공구보드(DQ77KB) 쿨러 rpm 조절 문의드립니다. (5) |
캡틴아메리카노 |
2017-01 |
5230 |
0 |
2017-01
5230
1 캡틴아메리카노
|
63968 |
다운로드 문듸 드립니다. (5) |
여주이상돈 |
2013-04 |
10784 |
0 |
2013-04
10784
1 여주이상돈
|
63967 |
아답텍 78165(7 시리즈) 에서 8테라 하드 인식 가능한가요? (3) |
jake |
2020-07 |
4036 |
0 |
2020-07
4036
1 jake
|
63966 |
노트북에 윈도우 설치 (2) |
회로쟁이 |
2016-02 |
4246 |
0 |
2016-02
4246
1 회로쟁이
|
63965 |
모니터 전력 소모량에 대한 질문 (5) |
FreeBSD |
2010-04 |
10573 |
0 |
2010-04
10573
1 FreeBSD
|
63964 |
삼성 노트북 sens m55용 복구시디&드라이버시디 구합니다. (2) |
임현준 |
2014-10 |
7794 |
0 |
2014-10
7794
1 임현준
|
63963 |
HP Z620 금일자 마지막 pdf입니다. (4) |
inoree |
2018-03 |
3811 |
0 |
2018-03
3811
1 inoree
|
허나 요즘은 중간중간 플라스틱 들어가소 해서 크게 의미 없다고 하더군요.
활성선 찾느거 정도는 될겁니다. 수도관을 접지라 생각하고 전압찍어서 높은곳이 Hot(Live)라고 보시면 됩니다.
수도관, 라지에이터, 케이블TV동축 접지부 등에 해보시면 됩니다.
단 테스터용이고 상시 접지는 위험합니다
테스터기를 AC 전압측정 모드로 둔 뒤 한쪽 프로브 금속 부분에 오른손 검지와 엄지로 살짝 잡고
왼손으로 프로브를 들어서 AC220V 단자 2군데를 직접 찍어봅니다. (1~2초)
사람 몸을 접지로 이용하는 건데 검전드라이버의 원리와 같습니다.
사람몸의 저항값 보다 테스트기의 내부저항값이 훨씬 크기에 220V 정도라면 감전의 위험은 없습니다.
이런 식으로 가전제품의 누전도 검사가 됩니다.
<주의> 테스트기를 전류 측정 모드로 둔다면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꼭! 전압측정 모드로 둬야 합니다.
그리고 안전을 생각한다면 정식적인 방법을 쓰기바라고
저는 그냥 저렇게 테스트 하곤 합니다.
오른손으로 프로브를 잡는 것 보다 프로브를 바닥에 던져두고 발로 밟는 것도 가능하겠네요. 모양은 안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