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5836 |
0 |
2014-05
5265836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0814 |
25 |
2015-12
1790814
1 백메가
|
64365 |
주희님표 ITX보드 문의 (10) |
푸하히 |
2016-02 |
4508 |
0 |
2016-02
4508
1 푸하히
|
64364 |
리눅스간 네트워크 스토리지 (7) |
izegtob |
2016-02 |
4071 |
0 |
2016-02
4071
1 izegtob
|
64363 |
조선 임금님의 명칭에 대한 궁금증 (12) |
NiteFlite9 |
2016-02 |
5968 |
0 |
2016-02
5968
1 NiteFlite9
|
64362 |
홈 서버 구축에 대해 궁금합니다 (12) |
엘리 |
2016-02 |
7760 |
0 |
2016-02
7760
1 엘리
|
64361 |
동영상이 느리게 재생되는 문제 (5) |
차평석 |
2016-02 |
7836 |
0 |
2016-02
7836
1 차평석
|
64360 |
m-atx 보드 들어가는 케이스 중에 hdd 4개 들어가는 제품이 있을려나요? (9) |
션한맥주 |
2016-02 |
5393 |
0 |
2016-02
5393
1 션한맥주
|
64359 |
290w 파워에 적합한 그래픽카드좀 추천해주세요. (10) |
나몰라1 |
2016-02 |
4207 |
0 |
2016-02
4207
1 나몰라1
|
64358 |
Workstation core 구성을 어떻게 할지 조언을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13) |
amplifier |
2016-02 |
5158 |
0 |
2016-02
5158
1 amplifier
|
64357 |
오버클럭했다는데 피씨업체답변 봐주세요 (10) |
최두치 |
2016-02 |
7105 |
0 |
2016-02
7105
1 최두치
|
64356 |
인터넷은 무선렌으로 두컴퓨터 간은 데이터는 직접연결 가능할까요?? (10) |
단기기억상실 |
2016-02 |
5145 |
0 |
2016-02
5145
1 단기기억상실
|
64355 |
불법 소프트웨어 점검용 소프트웨어를 알아 보고 있습니다 (2) |
TLaJ3KtYGr |
2016-02 |
4506 |
0 |
2016-02
4506
1 TLaJ3KtYGr
|
64354 |
hp 엘리트북 cmos 비밀번호 푸는법 (6) |
soulmaker |
2016-02 |
7880 |
0 |
2016-02
7880
1 soulmaker
|
64353 |
KT 가정용 회선 질문드립니다. (8) |
rootidc |
2016-02 |
6971 |
0 |
2016-02
6971
1 rootidc
|
64352 |
E5450 + EP45T-UD3R 송구스러운 도움 요청드립니다. (5) |
이문tom |
2016-02 |
5970 |
0 |
2016-02
5970
1 이문tom
|
64351 |
델 t20 직구로 살만한가요? (3) |
김준영86 |
2016-02 |
5378 |
0 |
2016-02
5378
1 김준영86
|
64350 |
아파트 LED전등 교체 질문 드립니다. (8) |
돼지털스 |
2016-02 |
7105 |
0 |
2016-02
7105
1 돼지털스
|
64349 |
L5420인식 불가 2탄.! 도움 부탁드립니다. (14) |
blackmint12… |
2016-02 |
5874 |
0 |
2016-02
5874
1 blackmint12…
|
64348 |
EP45-UD3R(1.1) 개조 확인좀 부탁트립니다. (2) |
질풍 |
2016-02 |
3875 |
0 |
2016-02
3875
1 질풍
|
64347 |
혹시 MSI 요즘꺼 바이오스 복구하는법 확실히 아시는분? ㅠㅠ (7) |
헌법1조2항 |
2016-02 |
24407 |
0 |
2016-02
24407
1 헌법1조2항
|
64346 |
슈마보드 13.68"x13" 사이즈를 지원하는 케이스를 찾고 있습니다. (8) |
신우섭 |
2016-02 |
4440 |
0 |
2016-02
4440
1 신우섭
|
이걸 말씀하시는 거죠^^
여기서 https://en.wikipedia.org/wiki/Twinaxial_cabling 사이트에서 찾아습니다.
감사합니다.
광케이블 LC-LC 혹은 광패치코드라고 불리는 것입니다.
10G용은 보통 파랑색입니다.
수입 통관시 전파인증 문제 같은거 걸리면 개인이 다 알아서 풀어내야 합니다..
git 으로 넘어가시면 참 좋습니다. 적응기간이 좀 필요하긴 하지만 svn으로 돌아가는건 꿈도 못꾸게 되죠.
jira를 사용하게 되면 git plugin 설치해서 smart commit도 무척 편리합니다.
사설이 길었는데 아무튼 하고싶은 말은 만족도면에서 봤을때 생각하시는 것 만큼 10g 가 드라마틱하게 좋아지는건 아닙니다.
저같은 경우 메인컴도 저장소가 ssd raid 0, hdd 8개 raid5 구성이라 전부 1g/s정도 i/o성능이 나와주기 때문에
10g로 직결된 서버하고 파일 복사시 아~ 역시 빠르구나 라고 느끼지는게 전부입니다;;;
그 이상이 없어요; 그게 다에요;;;;;;;;;;
Confluence 뜨는속도 ? 헤놀 포토스테이션속도 ? 1g nic하고 차이점 전혀 못느낍니다.
그래서 언젠가부턴 그냥 1g nic으로 다 하고 10g nic으로는 복사만 하고 있네요;
아무튼 재미는 있으니깐 경험 삼아서 해보시는건 좋습니다.
NAS 2 node, node 2 NAS인 경우에 빠르지 않나요 ? 1g/s 보다요...
저야 뭐... 제가 대장이라 오늘부터 우린 git을 쓰는것이야~ 한마디로 끝이였고. 역시 초기 적응기간엔 불만이 장난 아니였지만 뭐 어쩌겠습니까.
svn 서버 내려버렸는데.
아무튼 그렇게 엄청난 불만과 지겨운 svn to git 리포지토리 변환작업 (유지보수 업체라 프로젝트가 겁나 많아서 엄청 오래 걸린듯 ㅠㅠ)과 적응기간을 지나 어느정도 세월이 흐르니 속도도 빠르고 브랜치도 적극 활용되고 그러니깐 작업능률도 올라가고 형상관리로 인한 사고도 없어졌습니다.
리포지토리 서버 관리도 끝없이 늘어나는 svn리포지토리에 비해서 git은 프로젝트 단위로 폴더가 관리되기 때문에 관리상의 잇점도 있습니다.
아무튼 적응만 하시면 git도 나쁘지 않습니다. 적응이 문제지요...ㅎㅎ
10g nic이 nas가 빠르긴 합니다만 그 빠른걸 체감 할 수 있는건 복사할때 뿐입니다. 다른 기능은 체감이 안되요... 새벽에 돌리는 백업이 아니라 낮에 복사기능을 많이 쓰시면 체감이 많이 되시겠군요^^
서버는 subversionEdge를 씁니다.
회사 SI에 프로젝트 지원을 많이 다니는데 SVN에 테스트안하고 대책없이 commit해서 hudson에서 빌드/배포/서버 재기동할때
문제가 너무 심각해서 git을 도입할까 생각도 해봤는데 쉽지가 않네요.
Jira는 예전 Tmax 다닐때 제품 개발을 QA쪽과 같이 할때 쓴 이후로 거의 쓰지 않게 되는군요.
혼자 개발하는거라 이슈 관리를 하지 않아서 사용을 안하고 대신 개발에 필요한 내용이나 교육 자료를 위해 Confluence만 씁니다.
개인 일정 관리를 위해 팀 캘린더두 함께...
1g nic은 순전히 개인 개발을 위해서 외부에서 작업시 소스 커밋하고 자료 정리를 위한 용도의 인터넷 연결입니다.
10g는 자료 백업 복사용이구요.
거의 같은 일을 하시는거 같아 반갑습니다.
좋은 하루 되시길...
푸시 폴을 안해도 되니 더 유리한 면도 있네요.
그러다 나중에 개발자 추가되어서 공유가 필요해지면
그깨 github에 계정을 생성하던가 내부 서버에 gerrit등을 설치하고 push 하셔도 됩니다. 속도 빠릅니다.
git이 여러 장점이 있지만 svn에 있으나마나한 브랜치기능에 비해서 git의 브랜치는 실제로 사용하기가 무척 편리합니다.
그래서 한커밋만에 수정 가능한 버그는 브랜치 없이 바로 master에 커밋 푸시하지만 그 외에는 개발용 브랜치 또는 단기/장기 작업용 브랜치를 만들어 작업하는 방식으로 갑니다.
그래서 허드슨은 master만 반영하므로 그런 사고가 없습니다.
중요한 프로젝트인 경우엠 gerrit의 review기능응 사용하게되면 권한을 나누어서 개발자가 커밋을해도 reviewer가 확인 후 반영해 주는 프로세스도 가능합니다. 혼자일땐 필요없지만 아직 인증되지 않은 개발자가 있는 개발팀일 경우엔 유용하죠.
저도 구성을 하고 보니 10g nic은 결국 자료백업 복사용이 되어 버렸습니다. 그런데 백업은 새벽에 자동으로 이루어지니 속도감(?)을 느낄세가 없고 백업자료가 필요할때 빠르게 빼다 쓸 수 있을텐데.. 그때가 언제인지 모르겠네요.. 그러다 보니 막상 10g nic을 구축하고도 결국엔 체감상 바뀐게 없습니다 ㅠㅠㅠㅠㅠㅠ
혼자 개발을 하는건 아니지만 어쨋든 2cpu에서 비슷한 일을 하시는 분을 보니깐 저도 반갑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