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인트라넷 구축 및 본사 네트워크 구축 관련 조언 부탁드립니다.

dntjfk   
   조회 7839   추천 0    


국내에 진출하게된 외국계 기업에서 국내 인트라넷 구축 및 본사(외국에 위치)와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하는데요.

과거 국내에 인지도가 낮아 10명 밖에 지나지 단순 인터넷을 활용하여 교류하였던 반면, 현재 시장점유율이 오르면서 국내 인트라넷 구축은 물론이고 본사와 문서 등을 교류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구축하라는 지침이 내려왔습니다. 이로 인해 사장님 지시로 견적을 확인하려고 하는데, IT에 무지한 관계로 염치불구하고 조언을 구해보고자 합니다.

ㅇ주요 목적은 국내 인트라넷 구축과 해외 본사와의 링크인데, 어떠한 제품들이 필요할까요? 현재는 가장 기본적인 것들만 구비가 되어있어, 사실상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것과 같습니다...

 - 지인을 통해 들어본 바로는 x86서버(?)와 네트워크 장비가 필요하다던데... 맞나요?;

 - 아울러, 서버 관리 담당자를 채용을 해야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저희 자체적으로 관리가 용이한가요?

ㅇ버젯은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지만 사업확장으로 인해 여러곳에 돈들어갈곳이 많아 그리 많지는 않을것으로 생각됩니다.

ㅇ홈페이지도 어쩌면 제작해야될지 모르는데, 홈페이지 제작시에도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할까요?

 - 과거 활용해오던 델 혹은 HP 제품을 활용하려고 합니다.

한번만 살려주십시오...


dntjfk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엠브리오 2016-03
30명이라면 아주 성능좋은 인터넷 공유기 + 48포트 짜리 기가비트 스위칭허브 정도는 있어야겠죠?

사내에는 NAS장비나 파일서버를 두면 될테고, 홈페이지는 밖에 별도로 서버를 IDC에 두거나 웹호스팅을 권장해드립니다.

본사와의 연결은 VPN으로 처리하는게 좋을듯 한데
그렇다면 "성능 좋은 인터넷 공유기 + 하드웨어 VPN 장비" 기능을 둘다 포함한 장비를 쓰는게 좋겠습니다.

같은 장비를 여러대 구매해서 본사, 혹은  한국지사를 메인으로 하여 각 지점을 전부 VPN장비로 연결하면 되겠지요.
관리가 귀찮으면 VPN도 외부서비스로 돌릴수 있습니다.

2CPU 회원님중에 "네트워크교주"님으로 불리시는 분이 있는데 네트워크 장비판매 및 VPN 임대사업도 겸하고 있습니다.

나머지 본문에 언급된 "버젯"이 무슨 의미인지는 잘 모르겠군요.
     
dntjfk 2016-03
답변 감사합니다.

좋은 답변을 주셨음에도 문과 출신인 저로 이해가 너무나 어렵습니다... ㅠㅠㅠ
사내 인트라넷 구축을 위해서는 NAS장비나 파일서버 하나만 보유를 하면되며, 본사와의 연결을 위해선 VPN장비를 가지면 된다는 말씀이시죠..?
그렇다면 스위칭허브는 역할을 어떻게 이해하면 될까요..ㅠㅠㅠㅠ

아울러, NAS장비 혹은 파일서버라고 하셨는데... 스토리지를 말씀하시는건가요? 맞다면 "Dell Compellent FS8600" 제품 몇개면 될까요?
48포트 기가비트 스위칭허브라는건 "DELL Networking X1052P 48포트 기가비트+SFP 4포트Poe 스위칭허브"제품 몇개면 될까요?
VPN이라는 것은 "SonicWall" 몇개면 될까요?

예산을 버젯으로 표현하였습니다.ㅠㅠ 죄송합니다. 사장님께서 내일까지는 구두로 보고를 받고 싶다고 하시는데 정말 도움받을 곳이 없습니다... 한번만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

ㅇDell Compellent FS8600
http://www.dell.com/kr/business/p/dell-compellent-fs8600/pd

ㅇDELL Networking X1052P 48포트 기가비트+SFP 4포트Poe 스위칭허브 링크 : http://storefarm.naver.com/sgoffice/products/330188372?NaPm=ct%3Dilp8j79s%7Cci%3D7d54cc26ec4eb0af511966b27053bbc8392d64f6%7Ctr%3Dslsl%7Csn%3D222525%7Cic%3D%7Chk%3D6b04c8edd04138ab864add79ccf517f5ef0e7d8e

ㅇSonicWall 링크
http://item2.gmarket.co.kr/Item/detailview/Item.aspx?goodscode=712817262&GoodsSale=Y&jaehuid=200001169&NaPm=ct%3Dilp8q6tc%7Cci%3D9abba73ed3a62fb104670085a2c4878900657a06%7Ctr%3Dslsl%7Csn%3D24%7Chk%3D0662882b3aa9e420c548d4d597d14209a72e2e8a
          
Centrair 2016-03
스위칭허브는 멀티콘센트 생각하시면 됩니다.
회원K 2016-03
인트라넷 구축은 어떤 SW를 쓸 것인가 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외국계기업의 경우 자체적으로 인트라넷 SW를 선택하는 것은 안되구요, 본사의 IT 지침이 필요 합니다.
본사의 IT 부서에 어떤 인트라넷 SW를 선택해야 하는지 어떤 기준으로 설치를 해야 하는지 문의하시는 것이 우선 입니다.
SW가 선택되면 가능하면 클라우스 ASP를 받으시구요.

외국계기업의 경우 회사 홈페이지의 제작도 임의로 할 수 없습니다.
본사의 가이드에 따라서 본사의 홈페이지를 사용할 것인지를 확인하시고
자체 제작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작 가이드를 받으신 후에, 외주개발 및 운영을 하시면 됩니다.

본지사 네트웍은 VPN을 연결하는 것인데, 이것도 본사의 구축지침이 필요합니다.
VPN의 경우 동일계열의 HW를 쓰는 것이 대부분이거든요.
VPN의 경우에는 Firewall을 렌탈해서 사용하시면 되구요 인터넷 서비스 제공회사 등에서 가능합니다.
Fortigate 등은 에스원에서도 렌탈이 가능하므로 저에게 문의하시면 되구요.

외국계기업의 경우에는 업무의 "rule"과 "guide"가 최우선 입니다.
본사의 it 담당자의 contacts를 먼저 확보하시고 위의 사항들을 체크하시는 것이 시작 입니다.
견적은 나중의 일이구요.

열심히 작업중인데, 본사의 it 팀에서 "그건 아냐"라고 하면 황당한 일이 생깁니다.
네트웍 보안 등의 경우에도 지침이 있으므로 그것도 받으셔야 하구요.
본사의 지침에 따르게 되면 버짓 문제는 조금 더 쉬워 집니다.
본사에서 하라고 하는 것이라서 초과해도 큰 문제가 안되됩니다.
     
dntjfk 2016-03
안녕하세요. 답변 감사합니다...

우선 제가 문과 출신이라, 답변을 정확하게 이해 못하였습니다.... 죄송합니다.

사장님께서 뚜렷한 지침없이, 본사에서는 "델"을 주로 사용하니 "델"을 위주로 찾되 가격이 저렴하다면 HP도 한번 알아보라고 하시더라구요...
제가 궁금한 점은 만약 "델"을 위주로 제품을 생각한다면 어떠한 제품들이 좋을까요...ㅠㅠㅠ 만약 아니라면 정확히 어떤 제품들을 보면 좋을까요...
아울러, fortigate가 어떤건지도 정확히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ㅠㅠㅠ
          
박문형 2016-03
국내에서 벤더서버는 보통 델이 가장 쌉니다.

포티게이트는 일종의 방화벽입니다. UTM장비라고 하는데

방화벽기능과 라우터 기능을 합한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우선 회사에 장비를 놓는다고 생각하면

인터넷라인
방화벽

서비스를 할 서버
데이터를 백업할 NAS
전원 장애를 극복할 UPS

정도의 하드웨어 기반이 필요합니다.

소프트웨어가 안 정해졌기에 가격은 얼마나할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꽤 들어갑니다..

개인적으로는 몇천에서 억단위까지 돈이 나갈 것으로 판단됩니다.
박문형 2016-03
+1000

내일 당장 나오는 답이 아닙니다.

해외랑 일해본 업체 찾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닙니다..
AKA지니 2016-03
주제와 연관없는 댓글입니다...


"델"을 위주로 찾되 가격이 저렴하다면 HP도 한번 알아보라고....... 에 대해서......


HP는 동급대비 항상  델보다 비쌉니다...

델이 타사와 비교하여 내세울수있는 것이 가격경쟁력이 거의 유일합니다...

엇비슷하거나 오히려 나은점이 없는것은 아니지만... 전반에 걸쳐서,,,, 좀 뒤떨어집니다...
회원K 2016-03
Hw 브랜드는 아무런 의미가 없고 본사의 it 가이드를 준수해야 합니다.
본사의 it 서비스 제공회사도 확인해 보세요.
국내에 있을지도 모릅니다.

사장님은 모르니까 그냥 하는 말이고 담당자는 그 말에 휘둘리면 안됩니다.
박문형 2016-03
+1000

싸다고 구매했다가

일은 아무것도 못하고

다시 구축하려니 돈은 몇 배 더 들 수 있습니다.
     
dntjfk 2016-03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ㅠㅠㅠ

저도 사장님 지침이 너무 애매모호해서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제가 이해한 바로는 VPN을 이용하여 본사와 잇고, 본사의 인트라넷을 이용할수있다고 하는데 맞나요?;;
저희가 규모가 소규모(30명 내외)이며 주로 유통만을 담당하고 있어 데이터를 많이 활용하는 편은 아닌데, VPN만 구비가 된다면 모든걸 해결할수있을까요?
PiPPuuP 2016-03
왜 필요해졌는지 부터 생각해보세요.

지금껏 단순 인터넷을 활용하여 교류하다가 갑자기 사내 인트라넷 구축을 하려고 한다면 당연 그만한 이유가 있겠지요?

예를 들어 결재라인을 본사와 연동한다던지,
메일링 시스템을 본사 시스템과 연동한다던지,
보안이나 권한(계정) 시스템을 본사랑 연동한다던지...

때문에 기존에 본사에서 사용하던 인트라넷을 알아야 합니다.
분사에서 단독구축은 무용지물이 되서 나중에 뒤집어 엎어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당장 구축해도 이게 업무에 도움이 될지 알 수 없으며, 문형님 말씀대로 본사 연동때문에 다시 구축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본사와 연동해야 된다면 본사 인트라넷 담당자 분들께 지원을 요청하시는게 가장 빠르고 바른 방법입니다.

아예 본사랑 분리되어 운영되기에 제로베이스 부터 새로 만든다면 이야기가 다른데,
그 때는 인트라넷에 필요한 어플들의 목록을 먼저 만드시는게 좋습니다.
구축 관련 경험자 분이나 업체와 상담을 하셔야 되요.
결재시스템을 지원할지, 메일링을 집어넣을지, 회사 자원관리도 넣을지(배차신청 등) 여러가지 등등..
이런게 필요 없다면 구지 수억단위의 돈을 들여 필요한건지도 모를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을까요?
최소한의 요구조건이 제대로 완성 되지 않은 상태에서 들어가면 협업 업체도 괴롭고, 발주 업체도 괴롭고, 돈과 시간만 있는데로 들어가고 나오는 결과는 형편없습니다.

제 생각에는 회원K님 말씀대로 사장님께서 그냥 이정도 규모이면 필요하지 않을까 혹해서 찔러보신거 같습니다.
     
캔위드 2016-03
여기에도 동일글이 있었네요;;;,,
저혼자 네트워크 게시판에서...................쩝

아무튼 PIP닙 댓글에 +1000 입니다
박문형 2016-03
VPN 서비스는

어떤 특수 기능이나 서비스를 그것을 지원하지 못하는 인터넷망에서 포인트 투 포인트로 연결하여 그 기능이나 서비스를 양쪽이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서비스라고 봐야 하기에 장비만 산다고 해결되지 않습니다.

장비끼리 호환성도 있어야 하고요.

예로 내가 회사에서 집에 있는 컴퓨터의 자료를 땡겨와야 할때 VPN 서비스가 필요합니다.

자세한 것은 VPN서비스 업체에 견젹및 상담을 의뢰해야 합니다.


그런데 본사가 어느 나라인가요??
     
dntjfk 2016-03
본사는 유럽쪽입니다. VPN은 서비스에 지나지 않는다면 아까 말씀하신대로 VPN을 작동 시키기 위해선 스위칭허브, 서버, UPS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는 말씀이신가요?
          
쌍cpu 2016-03
본사의 인트라넷 웨어 vpn접속이 가능한지
그리고 본사 인트라넷 웨어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한국 업무 프로세스에 문제는 없는지등을 먼저 고려 하세요
장비부터 구입을 해야한다고 생각하면 이건 바보짓입니다.
               
박문형 2016-03
+100

ISP 하는 사람들이 더 잘 알겠지만

유럽의 어느나라인지는 모르지만 유럽쪽과 우리나라는 해외망이 그리 크게 열려있지는 않을 것입니다..
          
캔위드 2016-03
VPN은 아닐꺼 같은데 물어보시니 답을 해드리면

사무실에 컴퓨터들이 인터넷이 되고 있다면 (당연히 되고 있겠지만) 스위칭허브는 이미 있으신걸꺼고요.
VPN은 openVPN등으로 소프트웨어 방식으로도 구축가능하지만
안정적으로 하려면 VPN장비가 따로 있어야 하며 ( 본사도 마찬가지 <== 필수 )
UPS는 사무실 전체를 커버할께 아니라면
정전시 VPN장비 혼자 UPS로 살아있어봤자 딱히 할수있는게 없기 때문에 크게 중요하진 않다고 봅니다.
쌍cpu 2016-03
회원k님 과  PiPPuuP 말이 맞아요..
ㅋㅋ
     
캔위드 2016-03
+1000
쌍cpu 2016-03
일단 사장님한테
본사 인트라넷웨어에 접속을 해야 되는지?
그렇다면 본사는 한국지점에서 vpn접속이든 뭐든 접속에 필요한 운영이나 구축 지침서가 있는지

그게 아니라 본사와 무관하게 30명이 사용할 인트라넷웨어라면 방향을 다시 잡아야 하고요

그냥 컨설던트를 한명 부르는게 낫겠다고 하세요

혼자 고민하지 마시고요..
     
박문형 2016-03
+100

모르는거 혼자 고민할 필요는 없습니다.
     
캔위드 2016-03
+1000

너무 한정적인 정보에 두리뭉실한 지시사항이네요;
전문가들(?)에게 물어보니 정보가 너무 한정적이여서 전문가의 직접적인 상담이 필요하다고 보고드리는게 맞는 듯 합니다
          
dntjfk 2016-03
그러게요..ㅠㅠ 저도 여쭈어보기 괴로운 정도였으니 말다했죠....

근데 스위치허브라는 것의 정식명칭이 "네트워크 스위치 허브"라고 하면 될까요..?ㅎㅠㅠㅠ
               
캔위드 2016-03
     
PiPPuuP 2016-03
+1000

이게 정답이죠.
캔위드 2016-03
아무튼 보고서가 필요하신 듯 한데 이건 어떠신가요 ?

- 국내 인트라넷 구축
웍스모바일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eathrock&logNo=220097448033&parentCategoryNo=33&categoryNo=&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무료)

- 해외 본사와의 링크 (본사하고 문서, 파일공유등)
시놀로지 NAS : http://prod.danawa.com/info/?pcode=3666967&cate=112789
(구매 88만원, 유지비 0원)

- 홈페이지 구축
카페 24 : http://www.cafe24.com/?controller=product_page&type=basic&page=autoban
(설치비 5천원, 유지비 월 500원, 제작비는 별도-천차만별)
* 만약 기존에 델서버등이 있다면 idc에 코로케이션 ( idc에 딸 1u 기준 월 5~7만원 정도, 홈페이지 디자인등 구축은 별도 )


또는 여기서 할이야긴 아닌듯 싶지만.....
델서버에 헤놀설치해서 idc에 입주시는 것도 방법이군요. 헤놀에서 홈피 구축도 되니까요.  ㅎㅎ
     
dntjfk 2016-03
정말 좋은 옵션이네요... 사장님께 보고드릴때 말씀드려봐야될것 같습니다. ㅎㅎㅎ 감사합니다.

아울러, 추가질문이 있습니다... 저희가 컴퓨터를 30대 정도 돌리게 될텐데 네트워크 스위치 허브는 몇대가 필요한가요? 모델은 아래 것으로 사용하려는데...

DELL Networking X1052P 48포트 기가비트+SFP 4포트Poe 스위칭허브 링크 : http://storefarm.naver.com/sgoffice/products/330188372?NaPm=ct%3Dilp8j79s%7Cci%3D7d54cc26ec4eb0af511966b27053bbc8392d64f6%7Ctr%3Dslsl%7Csn%3D222525%7Cic%3D%7Chk%3D6b04c8edd04138ab864add79ccf517f5ef0e7d8e
          
캔위드 2016-03
아니 왜 허브를 델껄로...
예산 충분하면 시스코꺼 쓰세요.
30명이면 30포트 이상만 확보하심 됩니다.
16또는 24포트 2개나
48포트 한개나
               
박문형 2016-03
본사의 장비 표준이 델로 판단됩니다..

델 허브도 꽤 좋아요..
                    
캔위드 2016-03
제가 너무 제 선호도에 치우치게 댓글을 달았네요;
맞습니다 델도 훌륭합니다
                         
박문형 2016-03
델 10G 허브가 국내에 들어와 있는 것중에서는 재일 싼 것으로 압니다.

몇백에서 돈천만원 하는 건 아시죠??
                         
캔위드 2016-03
음.. 제가 생각이 짧았네요.
10g라...
48명이상 이상 늘어나는 부분을 미처 생각지 못했습니다.
처음 구축시 좋은걸 하는게 결과적으로 비용 절약이죠.

아.. 헝그리 모드에서 빨리 나와야 하는데 잘 안되네요;;
사실 이제 좀 나와도 될 법 한데...
          
이규섭 2016-03
위 내용 절대로 말씀하시면 안됩니다.
위 견적대로 하면 대충봐도 님의 삽질비용이 1,000만원이 넘습니다.
박문형 2016-03
공짜 솔류션이 있다면 그곳과 상담 후에 (옵션이 있을수 있기에)

운영 해보고 결정을 하면 될 듯합니다.
     
캔위드 2016-03
앗 그렇네요 지금은 유료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이규섭 2016-03
프랑스 및 독일 회사의 국내 지사에 다녀본 경험으로 말씀드리자면,

본사에 액티브 디렉토리 서버가 구축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대부분의 해외지사가 있는 유럽 회사들의 경우 AD를 적극 활용합니다.
국내 내부망을 본사의 AD서버 안에 포함시키기 위한 작업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유럽과 원할한 네트워킹을 위해서는 국내에 있는 라우팅 서버를 본사의 메인서버 혹은 AD서버와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해외 본사에서 VPN 서버를 열어놓지 않는다면 본사와의 네트워킹은 무용지물이 됩니다. 즉 지침을 알아야 합니다.

본사에 인트라넷이 구축되어 있다면 본사 메인 서버가 있을 것이고, 해당 서버의 담당자가 있을 것입니다.
이곳에서 물어봐서 될일이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일단 본사의 네트워크 담당자와 방식에 대한 논의를 마친 후 그 이후에 하드웨어 및 솔루션을 세팅해야 합니다.
국내 솔루션 업체에 돈 때려박고 무턱대고 덤벼들면 안됩니다. 유럽 회사들의 경우 네트워크가 꽤 빡빡하게 제한되어 있습니다.
여러 분들이 위에 언급한 솔루션으로 대충 접근이 될것이다 라는 추측은 절대로 하시면 안됩니다.

서버 및 솔루션이 꽤 큰 수준으로 보이는데, 저정도 금액이라면 본사의 승인이 반드시 필요할듯 합니다.
본사에서 사용하는 장비와 동일한 업체가 어느것인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결론은
1. 본사 Network engineer 혹은 AD Administrator(만약 존재한다면)와 네트워크 연결이 필요하다고 문의 및 상의하세요.

2. 본사와의 터널링은 어떤 방식으로 구성해야 하는지 타국 지사의(미국, 일본 등) 방식에 대해 문의하세요.
보통 방식에 대한 지침 및 메뉴얼이 존재할 것입니다.
각 지역별로도 다를 수 있습니다. 북미의 경우 다이렉트로 뚫지만, 아시아권은 북미를 경유하여 뚫는 등...

3. 본사 및 타국 지사에서 사용하는 서버 및 네트워크 장비가 어떤 회사의 제품인지 확인하세요.
제가 2012년에 다니던 회사의 경우 각 지사별 아이폰 앱 빌드용 맥프로들 제외한 모든 PC 1만대, 서버 300여대가 전부 델이었습니다.
다른 업체 제품은 승인이 나지 않았습니다.

4. 본사 네트워크 엔지이어와의 상의, 회사의 네트워크 지침 및 메뉴얼, 기존 본사 사용 장비에 대한 확인 이후 견적을 뽑으세요.

즉, 무턱대고 국내회사와 솔루션 알아보다간 큰 낭패를 봅니다.
그리고 유럽과의 다이렉트망은 매우 느릴 가능성이 있으므로, 북미(미국) 지사의 서버를 통하여 유럽과 연결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제가 다니던 회사의 경우 프랑스 본사와의 네트워킹은 모두 캐나다 몬트리올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었습니다.
     
쌍cpu 2016-03
아주 큰 기업은 네트워크 장비나 서버나 글로벌 계약으로 국내 가격으로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떤 경우는 해외에서 구매해서 보내주는 경우가 있다는..
델서버에 솔루션 설치해서 해외 본사에서 보내주더라는..
     
캔위드 2016-03
여러 회원님들이 본사와 먼저 협의하는 방향도 말씀드리고
전문가와의 컨설팅도 말씀드렸지만
이해는 하시면서도 일단은 뭔가 그럴듯 하게 '일은 한것 같은 그럴싸한 보고서'가 필요하신 듯 합니다
(업무 진행이 뭔가 외국계스럽지 않은듯 ㅎㅎ)
그리고 델 HP제품을 언급하셨기에 그것을 활용한 무언가도요.
본사와의 커뮤니케이션 오류나 어쩌면 아직 본사에도 아무런 시스템이 없는 상태일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너무 두리뭉실한 지시내용이죠.
개인적으로 진행 결과가 궁굼하네요^^
린드버그 2016-03
위에 이미 좋은 댓글이 많이 달렸습니다만.. 저 역시 한 말씀 거듭니다.
저도 현재 서포트하고 있는 고객사가 외국계(미국) 글로벌 기업의 일본 지사(?)입니다. 제 소속회사 자체도 외국계 기업이구요.
전에 있던 회사는 유럽계 글로벌 기업의 일본 지사였습니다.

결국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건 아무 것도 없습니다. 사장님께서 뭔가 잘못 생각하고 계신 듯.
인트라넷 구축은 본사의 지침과 지시에 따라서 진행해야 합니다. 그럴 수 밖에 없구요.
인트라넷이란 게 기본적으로 회사 내에서만 사용하는 망인데, 본사쪽에서 그걸 안 열어주면 한국에서 접속할 방법은 없죠. ^^;

서버 등의 인프라는 혹시 자체적으로 구축을 하는 게 허용이 될지 어떨지도 모르겠습니다만, 그 역시 지침이 있을테니 확인해 보셔야 하구요.

중복되는 답변이긴 합니다만, 결국 사장님께는 '지금으로선 아무 것도 알 수 없다'고 확실하게 말씀을 드려야 합니다. 나중에 괜히 덤태기 뒤집어 쓰실까봐 걱정이네요. ^^;;
행복단지 2016-04
제가 외국계 한국지사에서 근무하면서 관리 했었던 방식과 비슷한 구조일수도 있을거 같아서 늦었지만 도움이 될까 싶어서 댓글 답니다.
많은 분들께서 좋은 댓글 많이 달아 주셨느데, 게시판에서 질문/답변식으로만 접근해서는 원하시는 수준의 해결책을 얻기 힘드실거에요.
해외 본사와의 인트라넷 구축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간단할 수도 엄청나게 복잡할 수도 있거든요.
외국계 기업의 한국지사 시스템을 구축 또는 관리했던 분을 찾아서 직접 만나서 이런 저런 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이야기해봐야 어떤식으로  해야 할지에 대한 답이 나올거에요.


QnA
제목Page 2488/5725
2014-05   5246465   정은준1
2015-12   1771769   백메가
2017-05   5735   회원K
2007-10   5735   윤호용
2009-01   5734   최주희
2019-06   5734   전산oa
2007-11   5734   권혁일
2009-02   5734   임종열
2005-09   5734   조영범
2008-02   5734   김백균
2013-03   5734   이지포토
2013-06   5734   회원K
2009-02   5734   잔디
2006-03   5734   이효중
2005-08   5734   이창형
2006-01   5734   박진국
2020-02   5734   애가
2012-02   5734   블루영상
2012-10   5734   AKA지니
2011-11   5734   양창권
2005-12   5734   이충희
2008-03   5734   정영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