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9567 |
25 |
2015-12
1789567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4569 |
0 |
2014-05
5264569
1 정은준1
|
64814 |
cpu 성능문의드립니다. (1) |
명랑 |
2020-10 |
3435 |
0 |
2020-10
3435
1 명랑
|
64813 |
G41D3 상태가 이렇습니다. (2) |
구쿠르그 |
2015-01 |
6532 |
0 |
2015-01
6532
1 구쿠르그
|
64812 |
서버에 모니터가 연결된것처럼 인식시키는 방법이 뭔가요? (6) |
미수맨 |
2018-06 |
5879 |
0 |
2018-06
5879
1 미수맨
|
64811 |
PC to PC 직접연결 시 원격 데스크톱 단방향으로만 됩니다. (7) |
명석한두뇌 |
2023-11 |
2170 |
0 |
2023-11
2170
1 명석한두뇌
|
64810 |
와사비망고 40" 43" 롬을 구할 수 있을까요? |
김병철 |
2023-11 |
1452 |
0 |
2023-11
1452
1 김병철
|
64809 |
윈도우 라이센스 문의 드립니다. (10) |
머재긴 |
2023-12 |
1773 |
0 |
2023-12
1773
1 머재긴
|
64808 |
서로다른 리튬배터리 직렬연결, 안전에 문제가 될까요? - 재등록 (1) |
공돌이에요 |
2017-03 |
4495 |
0 |
2017-03
4495
1 공돌이에요
|
64807 |
프린터 소모품의 판매 기간? (11) |
izegtob |
2016-04 |
5282 |
0 |
2016-04
5282
1 izegtob
|
64806 |
모과에서 나오는 갈색 부스러기 같은 것.. 이게 뭘까요? (3) |
무아 |
2020-10 |
5429 |
0 |
2020-10
5429
1 무아
|
64805 |
DELL 1U 서버 구매 질문 (12) |
imyollman |
2022-04 |
3243 |
0 |
2022-04
3243
1 imyollman
|
64804 |
컴퓨터 2대 데이터 공유 (9) |
트리 |
2016-04 |
5920 |
0 |
2016-04
5920
1 트리
|
64803 |
Helix2 키보드는 기기가 연결되었을때 동작하는건가요? 단독으로 블투나 usb케이블 … (4) |
김건우 |
2018-06 |
4129 |
0 |
2018-06
4129
1 김건우
|
64802 |
고물 ddt3500 이거 구할 방법 없을까요 (17) |
윈98 |
2016-04 |
5421 |
0 |
2016-04
5421
1 윈98
|
64801 |
혹시 깨봉수학 보신분 있으신지요 (2) |
가빠로구나 |
2020-11 |
2550 |
0 |
2020-11
2550
1 가빠로구나
|
64800 |
HP를 통해 구입한 Windows Server 2008 R2 DSP 버젼 라이센스 업그레이드가 가능한가… (5) |
테츠 |
2011-02 |
12968 |
0 |
2011-02
12968
1 테츠
|
64799 |
윈10 레드스톤 이전 버전... (6) |
이하나 |
2017-03 |
3860 |
0 |
2017-03
3860
1 이하나
|
64798 |
Seagate FreeAgent GoFlex Desk 구매 요령 (2) |
송석근 |
2011-02 |
7749 |
0 |
2011-02
7749
1 송석근
|
64797 |
USB3.0 구멍에서 정전기가 튀는데요...ㅜ (11) |
NAS고장났다… |
2016-04 |
4825 |
0 |
2016-04
4825
1 NAS고장났다…
|
64796 |
m72e tiny에 DDR3 8500S가 안먹히나요? (10) |
쭈쭈봉 |
2018-06 |
4358 |
0 |
2018-06
4358
1 쭈쭈봉
|
64795 |
Xeon gold 6253cl과6254CPU는 다른 제품 동일 성능? (4) |
박종대 |
2024-01 |
2156 |
0 |
2024-01
2156
1 박종대
|
2번 wan포트 대신 lan포트로 1번과 연결(구형 공유기면 크로스케이블 사용)
1번이나 2번 공유기 둘중 하나라도 랜케이블 자동감지가 되는 모델이면 크로스케이블은 필요없습니다.(요즘 나오는 공유기는 대부분 지원합니다.)
자세한건 공유기 설명서를 찾아보시는것이 빠를것 같네요.
참고 링크.
http://iptime.com/iptime/?page_id=67&uid=7433&mod=document
최근 제가 사용해본 공유기엔 다 있었습니다. 흔한 IP타임 공유기나, 버펄로나 넷기어 등등. 즉, 굳이 DHCP를 수동으로 끄고 LAN단자로 연결하고.. 하지 않고 그냥 WAN에 연결해 놓고 공유기 기능 오프(또는 허브 모드/AP모드 온) 하면 그냥 하나의 스위치처럼 동작하죠..
그래서 설명서 찾아보는것이 빠르다고 적었습니다.
컴퓨터를 재시작 하여서 공유기1의 DHCP로 부터 제대로 된 IP를 다시 받게해야 합니다.
즉 2번 공유기는 허브모드로 연결됩니다
2번공유기 아래 달린 피시들 한번씩 재부팅 해주시거나 2번 공유기 재부팅해주시면 됩니다
덕분에 내부 망 공유가 수월해졌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