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의 12V싱글레일 다중레일?

e5472   
   조회 14144   추천 0    

안녕하세요.

질문글 보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서 글올립니다.

서버 파워의 경우는 12V싱글레일 파워인가요?


저도 x5690 듀얼시스템에 파워 가지고 있던것 사용하려고

잘만 770XT 파워 붙여서 사용중이고,


파워의 PCI-E 6핀 출력을 PCI-E 6pin to EPS젠더 사용해서 1번 CPU 전원으로 사용하고 있긴한데...

이 파워는 12V 다중레일 파워이구요.


질문글 답변글 중에 12V 싱글레일 파워가 서버용 보드 파워로 적합하다는 글을 봐서 궁금해서요.

저는 싱글레일파워가 다중레일에 파워비해 더 불안정할 거라고 생각했는데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슬루프 2016-03
싱글레일은 전체 파워용량을 통으로 계산한 용량이 나오고.. 그 용량의 거의 대부분을 쓸수 있습니다. 다중레일은... 총용량이 표기되지만 각각 분할된 용량만을 쓸 수 있습니다.  같은 500와트라도 싱글은 거의 500와트 전체를 다 쓸수 있는데 반해서 다중레일은 일부에 300와트 일부에 200와트..이렇게 됩니다.
파커스 2016-03
제 댓글이 불필요한 오해를 살 거 같아서 아는대로 적어보겠습니다.

일단 파워는 종갓집 며느리 음식장만하듯 만들어야 합니다.
선재도 좋은거 (16AWG 정도 혹은 그 이하) 쓰고 콘덴서도 좋은회사 좋은제품으로 쓰고
각종 보호회로 제대로 잘 탑재해주면 싱글레일이건 다중레일이건 아무 문제 없습니다.

문제는 표기출력 500와트 전후의 저렴한 제품들중에서 2CPU용의 보조전원 8핀이 2개
달린 파워가 국내 시장에서 찾아보기 힘들다는 것입니다. 제가 링크해드린 3개 파워가
다나와에서 검색되는 8핀 2개달린 저렴한(?)파워의 전부입니다.

직구이던 이벤트던 훈훈이던 장터이던 다양한 방법으로 최소 850이상 1000이 넘는
고가의 2cpu스러운 파워들은 싱글이건 다중이건 문제될 소지가 없다고 말해도 됩니다.

다만, 500전후의 용량에 가격마저 저렴한(?) 파워를 쓸 경우에는 더군다나 그 사용대상이
듀얼CPU시스템이라면, 더군다나 960 내지 970까지 달거라면.. XFX 싱글레일밖에 고를게 없죠.

그 보드 판매하신 분의 심정을 생각해 볼때 사신분은 정말 어이가 없는겁니다.
저도 이곳에서 이베이로 날아온 인텔보드를 장터에서 인수해오면서 박문형님께 부탁을 해봤다가
사장님 눈치 사정이 계시다해서 할 수 없이 테스트 목적으로 파워를 하나 더 산겁니다만,

그 구매자분이 올리신 8핀 파워 분배(검정 절연 테이프로 분배한)사진을 보니까
기가 막히더군요. 결론은 비싸고 고용량의 검증된(?) 파워들은 싱글이건 멀티레일이건
다 좋고 좋습니다.

파워가 500전후의 애매한 용량일 경우에는 좋은 자재를 둘 다 썼다는 전제하에서
싱글이 출력 유연성에 잇점이 있고요. 멀티레일은 바로 그부분이 취약한거죠. 서버보드니까
2CPU일거고요. 만일 그냥 일반 PC라면 논란거리도 안될일이죠.
e5472 2016-03
안녕하세요.
궁금한점이 해결되었습니다.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즐거운 주말되세요.
싱글레일과 멀티레일에 대해 싱글레일이 더 고가형이고 좋다고 오해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기본구성 자체는 싱글레일과 멀티레일은 원칙적으로 같습니다.
싱글레일에 OCP회로를 넣어서 레인을 나눈것이 멀티레일입니다. 원칙적으론 멀티레일이 더 고급형이죠... 더 깊게 따지면 OCP 걸일 일은 0% 수렴하니 크게 의미가 없을수 있습니다.

서버파워들은 보통 싱글레일을 사용합니다. 소비전력에서 CPU < HDD 되는 경우도 많은지라... 멀티레일의 의미가 없지요. 전원도 채널별로 개별관리되고.. 회로에 의해서 순차기동되기에 싱글레일이 더 이득입니다. 일반 PC에서는 HDD 6개 달아봤자 스타팅전류 10A 먹을까 말까 한 수준이라 멀티레일에서 이점이 더 클 수 있습니다.
보통 멀티레일 4개 구성이면 1개는 CPU, 2개는 VGA, 1개는 SATA쪽으로 나가고 단일출력은 채널당 25A이상 보장해주는 경우가 대부분이니 서버를 빼면 사실상.. 실사용에서 유연성차이는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langrisser 2016-03
개인적으로 싱글레일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제가 예전 페르미 그래픽카드를 많이 이용했던 이유이지요.

요즘이야, 워낙 저전력 그래픽카드들이 많이 나왔지만
GTX480같은 녀석들은 보통 기본이 40A이상씩 먹었던거 같습니다.
지금이야 게임을 안하고 다 정리하고 DC to DC에 ITX사용하니 딴 나라 이야기네요.

다른 부분은 윗분들이 설명을 워낙 잘 해주셔서~
더 쓸 내용이 없네요.
     
GTX480. 절대로 40A 먹을 수가 없습니다. 극오버 달릴 경우 pcie 파워라인으로 20A정도는 가능할겁니다. 한창 오버놀이 할 당시 Q6600 3.6Ghz + GTX470 전압개조(납땜) 수냉 극오버 달렸을때에도 시스템소비전력 400w를 못넘었습니다.
일반분들이 생각하는 만큼 싱글레일은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유연성이 뛰어난것도 아니구요..... ^^

보통 멀티레일 4채널도 채널당 22~32A 4채널 합산 40A~60A로 많이 나오는만큼 싱글레일의 큰 의미는 없습니다.
아예 트랜스포머까지 분리되서 레인자체가 별도라면 생각하시는게 맞겠지만....


QnA
제목Page 2483/5730
2015-12   1790875   백메가
2014-05   5265906   정은준1
2016-11   5214   쌍cpu
2017-12   3932   clean
2009-11   7458   빈의자
2014-08   4428   김제연
2023-05   1712   서울강북미…
2012-12   7863   두리안
2020-05   3754   VSPress
2023-05   2201   강민준1
2009-12   9124   오태승
2015-12   4069   필리핀왕자
2016-11   4253   유혹낚시꾼
2021-10   2710   junhua
2015-12   3990   MeeNs
2021-10   2248   늘파란
2013-01   6430   여주이상돈
2015-12   7044   신범
2021-10   3229   아스란
2020-06   3099   피카추
2014-09   4560   한성호
2021-10   3930   galaxyfami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