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5928 |
25 |
2015-12
1765928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0478 |
0 |
2014-05
5240478
1 정은준1
|
65523 |
아답타를 얼마짜리 사용하면 되나요? (6) |
미다스캉 |
2016-04 |
5464 |
0 |
2016-04
5464
1 미다스캉
|
65522 |
공학제도 질문입니다... (8) |
이규민 |
2016-04 |
4440 |
0 |
2016-04
4440
1 이규민
|
65521 |
개조제온 e5450 asus p5ql 바이오스 문의 (2) |
윤번 |
2016-04 |
4513 |
0 |
2016-04
4513
1 윤번
|
65520 |
시놀리지 에서 S/W RAID 사용시 하드디스크 웬디 그린 사용 (13) |
아르코 |
2016-04 |
5709 |
1 |
2016-04
5709
1 아르코
|
65519 |
보안프로그램 관련 문의 (10) |
오홍식 |
2016-04 |
5320 |
0 |
2016-04
5320
1 오홍식
|
65518 |
ECC램은 주로 어떤 PC에서 사용하나요? (13) |
허리장사 |
2016-04 |
24131 |
0 |
2016-04
24131
1 허리장사
|
65517 |
비트 홀더 추천해주십시요 (1) |
미수맨 |
2016-04 |
4596 |
1 |
2016-04
4596
1 미수맨
|
65516 |
Hakko 980으로도 무연납땜 제거 가능할까요? (6) |
e5472 |
2016-04 |
9360 |
0 |
2016-04
9360
1 e5472
|
65515 |
예전에 그 캐나다 IDC에 가상화의 스팩사서 쓰는거였는데요. |
송진현 |
2016-04 |
3498 |
0 |
2016-04
3498
1 송진현
|
65514 |
인텔 HD4400, LG E2360 블루라이트(청색광) 현상 (7) |
안규민 |
2016-04 |
5645 |
0 |
2016-04
5645
1 안규민
|
65513 |
gn830 cpu교체? (8) |
가마기 |
2016-04 |
4711 |
0 |
2016-04
4711
1 가마기
|
65512 |
디스플레이 젠더 관련 질문입니다 (6) |
무느미 |
2016-04 |
4714 |
0 |
2016-04
4714
1 무느미
|
65511 |
안드로이드 폰 사진 동기화 어찌 하시는지요? (7) |
미수맨 |
2016-04 |
4731 |
0 |
2016-04
4731
1 미수맨
|
65510 |
핸드폰이 바뀌면 유료앱을 새로 구입해야하나요? (6) |
정은준1 |
2016-04 |
5194 |
0 |
2016-04
5194
1 정은준1
|
65509 |
노트북용 쿨러를 찾습니다. (5) |
김준유 |
2016-04 |
4715 |
0 |
2016-04
4715
1 김준유
|
65508 |
X8DTi 사용중에 삐~~ 하는 비프음 겪으신적있으세요? (3) |
e5472 |
2016-04 |
4576 |
1 |
2016-04
4576
1 e5472
|
65507 |
z600 cpu업그레이드시 질문요..!!...^^ (4) |
보탕 |
2016-04 |
5697 |
0 |
2016-04
5697
1 보탕
|
65506 |
xp에서 모니터3대 되나요? (6) |
k39214k |
2016-04 |
5623 |
1 |
2016-04
5623
1 k39214k
|
65505 |
레이드카드 과부하에 따라 시스템 전체가 다운될수 있나요?(centOS+Adaptec) (18) |
제스퍼즈 |
2016-04 |
5348 |
0 |
2016-04
5348
1 제스퍼즈
|
65504 |
pc용 cpu 쿨러 사용시 크기가늠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1) |
김건우 |
2016-04 |
4395 |
0 |
2016-04
4395
1 김건우
|
E5는 버전에 따라 듀얼 CPU 지원 램은 512까지도 지원
아무래도 환경이 문제겠죠..
연산하는데 그저 클럭빨만 중요하고 메모리에 올려놓는게 없다면야 E3가 좋긴 하겠지만
메모리에 왕창 올려놓고 하게되면 아무래도 32기가 이상 쓸 수 있는 E5 이상을 써야되는데..
E5에 클럭 높은 것은 가격도 역시 높고...
울며 겨자먹기로 쓴다고 하더라구요..
ECC RAM 이 꼭 요구 되는 환경에서는 불가하지만,
상당수 경우 HEDT 최상위급 Extreme 시피유로
대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E5 로 가는 것 보다 비용이 싸기 때문입니다.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저도 요즘은 시스템 업글할까 고민되네요...
데네브... 부들부들...
I3 / I5 는 I7 보다 하위 스펙이라 비교할 수 없습니다.
E3 서버에서 저렴한 솔류션 구현, 메모리 적게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돌릴때 사용.
(호스팅서비스시 웹서버,이메일서버 정도는 충분히 돌아감)
E5-26xx :1-2개 CPU 한시스템에 사용
좀 더 많은 메모리와 I/O가 필요시 사용됨
계산용 시스템 ,중소형 DB 시스템
E5-46xx :4개 CPU 한시스템에 사용
엔터프라이즈급 프로그램 사용시
많은 메모리 사용시
대형 계산용 시스템, 메모리 많이 사용하는 시스템, 코어가 많이 필요하는 시스템.
나중에 돈 되시면 씨피유 1개 천만원 넘기는 시스템 꾸며 보세요..
사용하는 시스템은 가끔 윤호님이 이베이 링크 거는 것에서 보긴하는데..
실제 쓰고있다는 얘기는 거의 못본 것 같아요
E5는 i7 Extreme랑 닮았습니다.
사실 불량 E5를 i7 Extreme로 귀향보낸다더군요.....
보기만 해도 마음이 찢어지는거 같은 저 처참한 CPU는 i7-5960X입니다, 보시다시피 다이 자체에는 스펙(8코어)과 달리 12코어가 탑제되어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즉 12코어짜리 E5 중 불량품을 재활용 한다고 추측을 할 수 있습니다. (AMD도 이런짓 잘합니다)
병신으로 태어난것도 서러운데, 피도 눈물도 없는 아비(Intel) 때문에 취급도 대개 하이엔드 유저들 장난감입니다...ㅜ (가난한 개인 웍스 조립 분들 제외: 아무리 그래도 E5보다는 싸므로...ㅜ)
(진짜 업무용으로 발주하는 경우 가격때문에 이거 가지고 시스템 꾸밀바에, 돈 보태서 E5 가버립니다: 어차피 회사돈입니다. ㅎㅎ 때문인지 시장이 좁아 밴더도 업무용(웍스)에 익스트림은 안씁니다.
: i7 Main Stream이랑 i7 Extreme는 시스템 구성에 비용차이가 좀 많이 납니다.
: 태생이 E5이다보니 소켓부터 i7 mainstream이랑 다릅니다: Haswell i7은 LGA 1150, Haswell i7 Extreme는 LGA 2011v3)
그렇게 보자면 i7 Extreme가 ECC지원 못하는게 의문이긴 한데 잘 짤라낼 수 있게끔 모듈화 했나 봅니다.
(이렇게 보면 애당초 여차하면 i7 Extreme로 귀향보낼걸 전제로 설계하지 않았나 합니다: 그런거 할 자원 있으면 성능에 좀 투자하라고..... v3랑 v4랑 성능차가 10%가 뭐냐....ㅜ)
E3는 QPI가 없습니다. 덕분에 소켓도 다르고 보드도 E5랑 호환이 안됩니다(이런걸 보면 설계 자체가 서로 완전히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마 그렇다면 위의 것과 연계해서 i7 Extreme CPU 접점의 일부분(QPI관련)은 장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이걸 비싼 마더보드가지고 테스트해볼수도 없고.... 비싼 i7 Extreme 탈까 접점에 뭐 발라볼수도 없고....).
E3 호환보드는 Registered-ECC를 지원하는걸 못보았습니다. 아마 E3 내부 램 컨트롤러가 지원 자체를 못하나 봅니다.
덕분에 최대 지원 메모리 용량이 E5에 비해 심각하게 후달립니다.
(16GB, 32GB, 64GB, 128GB 등의 무식한 용량을 자랑하는 램들은 사실 Register를 버퍼삼아 꼼수를 부린겁니다. 이거 어디서 보았는데 정확히 어떤 방식인지 까먹었습니다. 단지 페이징 하는거 마냥 꼼수를 부려서 대용량을 지원한다고만 알고 있습니다)
E3는 가볍습니다.
i3만큼 가볍습니다.
E5는 좀 많이 전기를 먹습니다.
집에서 굴리기에 전기료 걱정이 좀 됩니다.
E5는 확장성이 매우 좋습니다. 듀얼소켓의 경우 PCIe 슬롯을 풀뱅하기 참 힘듭니다. 쓸거 안쓸거 이것저것 꼽아보지만 그래도 슬롯이 남습니다.
E3는 답답합니다. 이것저것 해보고 싶은데 램 용량과 PCIe 레인이 너무 부족합니다.
서버시장인데도 불구하고 E3는 i3한테 허구한날 밀립니다.
대부분의 라이트한 홈서버는 우월한 가격 덕에 E3보단 i3를 탑제하고 판매됩니다. 어차피 둘다 Unbuffered ECC 지원합니다.
대부분의 구매자가 E3로의 업그레이드를 경제적 사정으로 미룹니다. 어차피 vt-d 같은 가상화 관련 기능이라든가 몇가지 고급기능 안쓰면 그놈이 그놈같고, 돈 있으면 애당초 E5 갔습니다.
(그래도 용돈 생기면 가야죠.... 제 시스템 중 하나 E3 업그레이드 대기중입니다)
E5 의 라인업은 매우 다양합니다.
코어가 더 많은 제품도 있고,
그렇지 않은 제품도 있어
직접적인 I7 Extreme 과 비교할 수 없습니다.
인텔의 Xeon E5v3 Line up 도표를 보아도 명백합니다.
http://ark.intel.com/products/family/78583/Intel-Xeon-Processor-E5-v3-Family#@All
차라리 1000번대와 2000번대를 나누어 이야기한다면야 모르겠습니다만...
그리고 E3 는 확실하게 I3 와 I5 보다 더 나은 제품입니다.
태생이 4코어 8쓰레드 이기때문입니다.
기본적인 성능 차이가 큰 제품이며 가격대도 다릅니다.
E3 Xeon 의 경우는 E5 제품과 메모리 지원 가능 용량 , 레인 수 등의 차이나는 까닭이
바로 퍼포먼스군 제품을 동일한 공정에서 찍어내기 때문입니다.
현 세대로 이야기한다면
X99 칩셋에 대응하는 5000번대 시피유 HEDT = E5 라인
Z170 에 대응하는 6000번대 시피유 퍼포먼스 = E3 라인이 되겠습니다.
현 세대는 스카이레이크의 I7 라인업이
이 E3 Xeon v5 에 대응합니다.
같은 코어와 스레드를 가지고 있으며,
추가로 몇개의 명령과 ECC 를 지원하는 것이 차이입니다.
제품에 따라 내장 그래픽이 있는 제품과 없는 제품이 있는 것도 차이이며,
내장 그래픽 클럭이 어떤일인지 조금 더 높습니다.
단 저전력 라인업은 좀 다릅니다.
데스크탑에는 대응할 만한 제품이 없습니다.
E3 제온 라인업이 유일합니다.
(그 풍부한 모든 E5 라인업을 재활용한다고 보지는 않고 주로 특정 코어들이 재활용 되지 않나 의심되는 것입니다)
다만 이와 같은 의심이 되는건 Ivy bridge-Extreme, Haswell-Extreme 시리즈 계열인데 마치 전 세대 i7 Extreme에서 E5를 재활용 하는것 마냥 소개한건 제가 잘못 적었습니다.
이와같은 추측의 근거로
DIE를 보았을 때 코어컷이 의심되는 것. (구지 정해진 스팩 이상의 코어를 박아넣을 이유가 없습니다. 이는 DIE크기를 불필요하게 키우게 되니 비용상승에 불량률 상승을 불러옵니다: 인텔의 생산공정의 성숙도를 생각할 때 단지 불량을 대비해서 많이 넣었다고 보기에는 설득력이 없습니다)
발매시기가 해당 아키텍처 서버 E5시리즈와 비슷한것. (Extreme는 상당히 늦게 나왔죠...)
- Ivy bridge i7 Extreme의 발매시기는 E5 v2와 비슷한 Q3'13
- Haswell i7 Extreme의 발매시기는 E5 v3와 비슷한 Q3'14
코어 히트스프레드 간의 접착을 똑같은 숄더링 방식 접착을 사용한 점.
내장그래픽이 빠진 점.
소켓이 동일한 것(QPI를 쓰는것도 아닌데 2011, 2011v3는 상당히 과한 소켓입니다: 메모리 채널이 4개로 2배이긴 합니다만, E5는 동일한 메모리채널 4개에 QPI 채널까지 동일 소켓으로 해결합니다).
- 물론 싱글 CPU만 지원하는 E5 1600번대도 동일 소켓을 사용하니 이는 그저 소켓 라인업을 줄여 효율을 기대한것이다라고 볼 수 도 있습니다.
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걸 다 떠나서 추측성 글을 올린것에 대해 사죄드립니다.
E3의 경우 좀 오해가 되게 적었는데, 어디까지나 E3를 지원하는 보드의 경우 i3도 지원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
i3 주제에 unbuffered ecc를 지원해서 E3의 비용대비 가치가 상대적으로 밀리게 되는 것.
때문에 가격의 문제로 i3가 실제 E3에 비해 엔트리 홈서버(E3, i3를 동시에 지원하는)에 많이 탑제되어 판매되는 것. 때문에 닮았다고 적었습니다.
아무리 그래도 저 역시 E3 Xeon이 i3, i5 데스크탑 cpu랑 비교대상이 된다고 보지는 않습니다.
나우마크님께서 답변 다신바와 같이 기본 성능과 설계사상에서부터 근본적인 차이가 있으니깐요.
저 역시 일부 제품은 동일라인에서 생산되는 것이 맞는 추측이라 봅니다.
확실히 E3 는 그런 면이 있습니다만,
이번 세대는 좀 바뀐 부분이 있긴 합니다.
E3 Xeon 은 이제 전용 칩셋에서만 지원하며,
이번 v5 = 스카이레이크 계열을 지원하는 C236 칩셋은
Full Range 서포트가 가능한
스카이레이크 전지원 시피유 지원이 가능한 칩셋이 되었습니다.
(E3 / I7 I5 I3 스카이레이크 모두 지원 가능)
다만 C232 하위 칩셋은
E3 / I3 만 지원합니다.
이런 변경점이 있더랍니다.
이번 세대는 C236 칩셋이 가장 좋은 제품이라 봅니다.
유일하게 네이티브 SATA 3 가 8 포트이며
모두 RAID 로 묶여 집니다.
X99 는 10 포트지만 6개만 레이드로 묶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