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61870 |
25 |
2015-12
1661870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4) |
정은준1 |
2014-05 |
5126916 |
0 |
2014-05
5126916
1 정은준1
|
56990 |
고수님들 사양검토좀 부탁드립니다... (6) |
김승희 |
2007-11 |
5189 |
17 |
2007-11
5189
1 김승희
|
56989 |
s2462 (k7) 에서의 쥐포 6600 사용 질문입니다.... (2) |
김동현 |
2006-06 |
5189 |
34 |
2006-06
5189
1 김동현
|
56988 |
정전기 방지 로션 써보신분 효과 있나요 ? (2) |
캔위드 |
2017-01 |
5190 |
0 |
2017-01
5190
1 캔위드
|
56987 |
amd 샘프톤 저사양 os 문제 (4) |
조재현 |
2007-12 |
5190 |
13 |
2007-12
5190
1 조재현
|
56986 |
[ 델 T7610에 SM951 SSD 지원 여부 ] 부팅은 안될런지요 ? (4) |
전설속의미… |
2015-07 |
5190 |
0 |
2015-07
5190
1 전설속의미…
|
56985 |
하드용량이 줄었습니다. (1) |
서울l승용 |
2011-10 |
5190 |
0 |
2011-10
5190
1 서울l승용
|
56984 |
듀얼파워 쓰는법 문의 드립니다 (8) |
노하석 |
2008-05 |
5190 |
12 |
2008-05
5190
1 노하석
|
56983 |
눈팅회원인데 서버 관련 문의 좀 하겠습니다. (8) |
문광화 |
2008-01 |
5190 |
12 |
2008-01
5190
1 문광화
|
56982 |
리플 미니에 어울릴만한 SATA 컨트롤러 카드는 어떤게 있을까요? (2) |
조준모 |
2008-05 |
5190 |
27 |
2008-05
5190
1 조준모
|
56981 |
esxi vsphereclient vcenter 문의 (10) |
7755 |
2018-03 |
5190 |
0 |
2018-03
5190
1 7755
|
56980 |
영상신호를 캡쳐하여 레코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싶은데 어떻게 접근하면 될까요? (2) |
냐아아아암 |
2016-08 |
5190 |
0 |
2016-08
5190
1 냐아아아암
|
56979 |
ATX 파워 20pin connector 에서 COM (2) |
김재헌 |
2008-09 |
5190 |
21 |
2008-09
5190
1 김재헌
|
56978 |
내용추가) 전기 잘아시는분 계실까요?멀티탭 관련 (16) |
쁘삐 |
2017-06 |
5190 |
0 |
2017-06
5190
1 쁘삐
|
56977 |
JS-2000 설명좀 해주세요. (6) |
김형신 |
2008-03 |
5190 |
8 |
2008-03
5190
1 김형신
|
56976 |
제온뎀시 프로세서사용하려면 메모리가 FB-DIMM라는데 구입은 어디서할수있는지요? (4) |
김영수 |
2006-07 |
5190 |
14 |
2006-07
5190
1 김영수
|
56975 |
[re] 해결되었습니다. |
김동민 |
2008-07 |
5190 |
15 |
2008-07
5190
1 김동민
|
56974 |
제온 듀얼구성에 있어서 (3) |
정순금 |
2005-11 |
5190 |
11 |
2005-11
5190
1 정순금
|
56973 |
T221모니터에 대한 질문. (4) |
서현석 |
2012-03 |
5190 |
0 |
2012-03
5190
1 서현석
|
56972 |
알리 익스프레스 스마트폰 구매 누락 건 두번째입니다. 고수님들 부탁드립니다. ㅠㅠ (9) |
정연 |
2019-03 |
5190 |
0 |
2019-03
5190
1 정연
|
56971 |
2011 듀얼 보드(S210-MBT2W)의 e5 2600 v2지원 문제 문의드립니다. (13) |
아난케 |
2019-02 |
5190 |
0 |
2019-02
5190
1 아난케
|
묶어서 패키지로 팔던겁니다
일반적인 대체 프로그램은 없구요
다 커스터마이징 해서 팩킹도 안하고
문제 생기면 각 시스템별로 소스에서 수정해서
바로 컴파일 해서 겨우 적용하고
사후지원도 특정기간 지나면 없어지거나
애견센터 되는게 이 계통 인가 봅니다
한국은 프로그래머로 살기에 좋지 않은
나라여서 그런지 개발도 좋지 않게 하고
사후지원도 좋지 않게 하는 경우가
제 주변에만 조금씩 있는것 같습니다
해보신적 있나요?
하드야 전국에 깔린게 하드인데요 (:
시리얼이라면 음 잘 모르겠네요
WMI에서 하드디스크 시리얼 게더링하고 그 값에 맥어드레스도 값도 같이 넣고
뒤집든지 더해서 유니크한 값을 만들어서 SW레벨의 인증을 하더군요
거기에 코드 암호화 하고 정크코드 막 집어 넣어 헷갈리게 하는 분들도 있고
어차피 창과 방패의 싸움이라.. 맘 먹으면 안되는게 어디있겠습니까만.. 흑흑
계약서 및 기타 문제에 대해서 처음부터 준비안한 사람이 잘못인겁니다.. 흑흑
작은 업체라면 그런게 없죠. 그리고 망했다면....
구매증빙자료와 개발사/개발자와 연락이 되지 않는다는 공증을 받고 해킹을 해서 써도 무난하지 않을까요? (유상으로 A/S를 받으려고 시도를 해도 받을 수 없다는 증빙을 남기는 것으로)
지금와서 와 크랙 만들자 한다고 답이 나올것 같진않은데요...
좋은 방법이 생길겠지요..
일거리가 없어서 허덕이다...최근에야 좀 진행하고 있네요.
발주처는 어떻게든 싸게 하려고 하니...인건비 건지기도 쉽지 않은게 이 바닥입니다.
계약 시에...유지보수가 불가능한 상황 (폐업 등) 이 되는 경우 저작권(소스 포함)을 넘긴다...같은 조항을 삽입하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고...
개발사가 이마저도 싫다 하면...제3자에게 프로그램소스를 위탁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제3자는 보관만 하고 있다가...폐업되었다는 증빙을 하면 프로그램 소스를 제공해주는...머 그런 식입니다. 물론 비용이 발생합니다만...위험부담을 좀 줄일 수 있긴 합니다.
어쨌거나...현재 상황에서는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하든...해킹을 하든...무언가 수단을 강구하셔야하지 싶습니다.
추후에 개발용역일이 생긴다면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
본인의 결과물에 대한 애착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가기도 합니다
서로 바꾸어서 시리얼이 바뀌는지 테스트 해보고 결과를 올리겠습니다..
그렇다고 하면 합법적으로 쓸수 있겠네요..
제가 알기로는 시리얼과 모델명은 기판이 아닌 플래터 있는 어딘가에 있다고
알고 있었는데 안해본건 뭐든 직접해봐야 하는거니까요 ^^
UUID, Firmware Version, Serial등 모두 면경 가능합니다. 어차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User Level일꺼고 개발자들 수준 들어보니 높아보이지도 않고... 간단하게 하시려면 부팅후에 /proc에 있는 HDD 정보만 바꿔줘도 그 정보 사용하는 대부분 프로그램들 원히시는 방식으로 작동 할 겁니다.
SW 하는 사람입장에서 말씀드리면 커스터마이징 해달라고 하는 사람들 보면 안타깝습니다.
그냥 있는 그대로 사용하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커스터마이징하면 개발사가 follow-up 못합니다. 100% 못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커스터마이징 해달라고 하면 그 리스크는 고객이 100% 가져가야 합니다.
그러니까 재발 커스터마이징 해달라고 하지마세요.
지금은 윈도우상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이기때문에 적용이 안되겠지요?
윈도우의 WMI 값을 수정한다는것과 같은 거라고 받아 들였습니다만..
그런쪽에 문외하여 WMI값 수정이 가능하긴 하지만 어려울것 같습니다
현재로서는 해결할 방법이
1.불법적인 방법으로 사용을 한다
2.하드디스크 기판을 바꾸어서 시리얼을 맞춘다(이건 금일 테스트 해봐야지요)
그외에 또 무슨 방법이 있을까 생각을 해봐야 겠습니다
그리고 제가 커스터마이징의 의미를 잘못 전달한것 같은데..
기본적으로 베이스를 개발사가 만들어주고 거기에 필요한 기능을 요구해서
추가하고 추가하고 또 추가해서 완성품이 나오면 그걸 구매해서 사용합니다
초기 설계 당시부터 모든 다이어그램을 그려서 만들면 다행이지만
각 사용처별로 요구 사항이 틀리니 개발사는 갑에게 질질 끌려 다닐수 없는 구조라
돈은 확실히 되는 일이니 안할수도 없고 해서 그렇게 했을거라 생각합니다
무슨일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차라리 새로 개발의뢰를 하는게 낫지 싶군요.
비용이 좀 더 들더라고 소스코드 넘겨 받는 조건으로 개발의뢰를 하시는게 나중을 위해서 좋을듯 합니다.
계속 다른 프로그램으로 바꾸어가고 있는중입니다. .이제 얼마 안 남았네요..
올해안에 다 끝났으면 좋겠습니다..
한번 힘들게 겪어봐야 다음부터는 조심하는것 같습니다..
정확히는 시리얼을 무력화 시킬 수 있다기 보다도, 윈도에서 볼 때 시리얼이 같은 디스크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뜻입니다.
문제는 기존 고장난 디스크의 시리얼과 동일하게 하는 방법은 모른다는게 함정...
//root의 값을 바꾸는건 구글링 해도 아직 못찾고 있었거든요 ^^
특정하게 준비된 상황에서만 통하는 일종의 꼼수일 뿐입니다.
유지보수가 불가능한 프로그램은 리버싱하는것은 불법이 아닌것으로 알고있습니다만...
이거 안된다고 먹고살기 힘들어지고 짤리는건 아니니
정신건강상 자제하려고 합니다
차라리 이런글을 적으며 스트레스풀고 많은 회원님들의 조언으로
공부해 나아가는게 더 좋은것 같습니다 ^^
좋은분들이 참 많은곳입니다.. 여기는..
기판 이식방법은 어떠신지요?... 가장 좋을거같습니만..
제가 잘 아는 분이 억대 장비를 돌리는 도스 프로그램인데
잘못하여 시리얼 락을 고장내어 버렸습니다.
그래서 프로그램을 손질해줄 사람을 이리 저리 엄청 수소문해도 찾지 못했습니다.
약 2달간 찾았는데... 결국 포기하고 기계는 고물처리되었습니다.
(그 이후는 잘 모릅니다. 타사의 프로그램이 호환이 된다는 소식은 있었습니다.)
본인의 판단은 불법이라할지라도 락 제거하는 작업을 해야 합니다.
불법 신고들어오면 오히려 돈을 주고 할 수 있으니 다행이지요?
하지만 업체가 사라지고 없는 마당에 불법을 따질 상대가 없으니 그냥 그렇게 해야지요.
문제는 그 일을 해줄 사람을 찾기가 어렵더라는 것입니다.
요즈음은 더구나 블랙 거래 하는 인터넷 사이트가 없으니 더 더욱 어렵습니다.
결론은 그 개발자를 잘 설득해서
충분한 댓가를 줄테니 락을 풀어서 컴파일 하던지 해달라고 하는것이 가장 정답이 아닐까요?
아니면 하드 복사해서 편법 사용방법을 알아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그러나 또 다른 생각은
SSD를 사용하면 수명이 길기 때문에 한번 a/s받으면 오래가니 좋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제 판단은 이런 것도 싫고
무조건 개발자애게 돈을 좀 더 주고라도 거래를 하는 것으로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