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v3 보드관련 질문 있습니다.

avemaria   
   조회 7735   추천 0    

안녕하세요

조만간 개인용 게임 + 개발용 pc 구상 예정에 있습니다. 

하다보니 cpu는 정했는데 보드가 정하기가 난해합니다. 

글 제목에 써놨듯이 현재 계획중인것은 3세대 제온 2개를 사용하는 것인데

아무래도 ECC 램이 예전에는 일반램과 가격차이가 없었는데 최근에는 거의 두배가까이 벌어졌더군요. 

해서 non-ECC를 지원하면서 CPU를 2개 사용할 수 있는 서버보드 적당한게 하나 없을까요? 


생각하다 끝이 없어 전문가들이 많으신 이곳에 질문 드려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6-05
E5-2600V3/V4에서는 DDR4 Reg ECC메모리만 동작할 껄요..

16기가 가격도 착한 편입니다.
     
avemaria 2016-05
답변 감사합니다.

다만 가격을 보니 현재 ddr4 8기가 최저가가 3만 1천원인데에 비해 16기가 최저가가 9만 7천원에 형성되어있어서 망설이고 있습니다.

v3에서는 reg ecc만 동작하나요 ? ㅠㅠ
2011-3 에 장착 되는 V3/V4 CPU 는 일반 메모리 사용이 불가 합니다...
지금 다나와 최저가 16GB 도 얼마전에는 11만원이 넘었었습니다....비정상적으로 폭락한 상태인거죠...
     
박문형 2016-05
몇 달전에 16GB DDR4 Reg ECC 는 25만원도 더 되었었습니다..
     
avemaria 2016-05
그렇군요...
박문형 2016-05
System Memory 
 
Memory Capacity  :  16x 288-pin DDR4 DIMM slots
Up to 2TB ECC 3DS LRDIMM, 1TB ECC RDIMM
 
Memory Type  : 2400/2133/1866/1600MHz ECC DDR4 SDRAM 72-bit
 
DIMM Sizes : RDIMM: 64GB, 32GB, 16GB, 8GB, 4GB
                    LRDIMM: 64GB, 32GB
                    3DS LRDIMM: 128GB
Memory Voltage : 1.2 V
 
Error Detection : Corrects single-bit errors

슈퍼마이크로 홈피에서 찾은 것입니다..

DDR4 Reg ECC 만 지원합니다.


메모리 크기가 엄청 커졌기에 에러 보정이 안되면 견디지 못합니다.
     
avemaria 2016-05
감사합니다.

질문을 바꾸겠습니다.
저렴한 보드는 무엇이 있을까요?
가성비라고해야하나....
m.2 슬롯이 있는 보드라고 해야 하나요....
아무래도 게임도 병행할 생각인지라... 어느정도 생각하고있는 확장성정도는 보장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인지라..
박문형 2016-05
듀얼보드에서는 M2슬롯이 있는 보드가 없는 것으로 압니다.

https://www.supermicro.com.tw/products/motherboard/Xeon/C600/X10DRL-i.cfm

요런 작은 보드가 재일 싼축에 끼고요..

https://www.supermicro.com.tw/products/motherboard/Xeon1333/#2011

입맞에 맞는 보드를 찾아서 국내에 팔리는지 알아보면 됩니다.

듀얼보드는 크게 서버 와 워크스테이션으로 나뉘어지는데 일반PC보드에는 무조건 있는 사운드 포트도 재대로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아마 찾다 보면 가장 골치 아픈게 파워일 것입니다..

재대로 된 서버 파워를 구해야 되는데 기성품은 잘 없습니다..

그나마 슈퍼마이크로 샤시+파워 솔류션을 쓰면 좀 낫습니다..(가격은 아마도 헉 하실 수도 있습니다.)
에스카테 2016-05
E5-V3계열  일반메모리 사용했습니다...
타 보드 제조사는 모르겠고.. ASUS X99디럭스로하였을때는 정상 부팅 가능했습니다.
     
securay 2016-05
저도 비슷한 조합입니다. E5-2683 v3, 64GB 일반램 Asrock X99 시리즈
박문형 2016-05
M2 슬롯 달린 보드로는 X99칩셋 정도의 싱글 씨피유 보드가 한계일 것입니다..
avemaria 2016-05
     
박문형 2016-05
개인적으로는 ASUS보드는 안 좋아해서요..

PC보드로는 기가바이트를 좋아라 합니다..
나우마크 2016-05
게임을 할 것이면 듀얼은 심각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낮은 클럭 듀얼 제품은 게임에는 쓰레기 입니다.
더불어 일반 웹서핑 등의 체감도 구립니다.
특히 게임의 경우는 앞으로는 지원한다고 이야기하지만,
보편적으로 다수의 멀티코어는 힘을 쓰지 못합니다.
(예외적인 게임은 있긴 함)
더불어 멀티코어라고 해도 낮은 클럭일 경우 역시 구립니다.

보통 4코어 8쓰레드 고클럭 시피유 = 6700K 가 가장 게임에서는 좋은 결과를 보여주며,
듀얼 코어에 비해 가격대 성능비도 가장 좋습니다.

때문에 게임을 한다면 스카이레이크 6700K 시스템
작업까지 병행한다면 X99 + 익스트림 시피유 조합이
현실적으로 가장 우수합니다.

게임때문에 그렇습니다.
     
avemaria 2016-05
게임만이 아니라 개발까지 병행할 것이구요
멀티태스킹하는 양이 보통이 아닌지라 8코어 cpu로도 풀로드 자꾸걸려서 업그레이드 위해 알아보는 중입니다.
          
securay 2016-05
개발용 따로, 게임용 따로 구비 하심이..
               
avemaria 2016-05
집이 좁아 안타깝게도....
                    
박문형 2016-05
듀얼 시스템은 깡통도 길고 크기에 생각 잘하셔야 합니다..
          
나우마크 2016-05
그럼 게임을 포기해야 하거나
고클럭 제온 듀얼로 구성해야 합니다.
               
avemaria 2016-05
일단 게임만할때는 현재 생각하고 있는 cpu가 2683인지라 쿠어 한두개만 갈구면 3.0정도는 나오니 충분하지 않나 싶습니다.

(예전에 3.0 쿼드 써본 기억이 있는데 그냥저냥 쓸만은 하더군요...)
                    
나우마크 2016-05
사용자 만족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낮은 클럭의 멀티코어 제온의 벤치 및 체감은
퍼포먼스군의 6700K 의 절반정도도 생각해야 할 정도로
매우 구립니다.
song05 2016-05
E5-2643 V3 , E5-2667 V3 , E5-2687W V3  셋중에서 선택해야 하는데 가격이 장난 아니지요
아니시면 E5-2643 V2 , E5-2667 V2 , E5-2687W V2 중고도 괜찮습니다.
하여튼 가격이 개이ㅏㄴ이 사용하기엔 좀 부담스러우실겁니다

기존에는 어떤CPU 사용하셨는지요?
     
avemaria 2016-05
2670 사용했습니다
쓰레기단장 2016-05
업계 분을 만나서 반갑습니다 ^^; 언리얼 개발자 + 앳홈 언리얼/유니티 개발자입니다.
계산서 발급하실 것 아니면 저렴하게 2670을 생각하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회사에선 2630v3 듀얼을 빌드용으로 쓰고 집에선 2670 듀얼을 쓰는데 체감 성능(빌드)는 엇비슷합니다. 제가 요즘 느끼는 건데 빌드는 클럭이 낮아도 다코어 머신이 갑인 것 같아요. 특히 언리얼 쓰신다면 최소 16코어 32스레드정도를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저클럭 제온은 일반 싱글 프로세스에서 그렇게 쓰레기도 아니에요. 아주 당연한 얘긴데 웹서핑에서 고클럭 i7에 비해서 딱히 느리다는 느낌 없구요 오히려 스토리지 빠른 것 쓰는 것이 웹서핑이나 오피스 작업시에는 더 큰 체감으로 옵니다. 게임의 경우도 DX11이상인 경우 디퍼드 컨텍스트를 적극적으로 쓸 경우 렌더스레드쪽에서 다코어의 장점이 있습니다. (솔직히 바보가 아닌 이상 게임 만들 때 코어 수 정도는 미리 세고 시작하죠) 몇몇 AAA게임을 2670 듀얼+GTX980으로 돌려 봤는데 특별히 프레임 하락을 눈에 띄게 느끼진 않았습니다. (사실 제온의 경우 캐시가 크기 때문에 캐시 미스가 덜 뜨는 것도 그렇고 생각보다 잘 버팁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게임용으로 제온을 추천하지는 않는데 미친 전기세 때문입니다;;;;;;;;;; 개발용 게임용 따로가세욥....
쓰레기단장 2016-05
그리고 보드는 저희는 Z10pe를 쓰는데 좋은 것 같아요. 조립도 쉽고 있을것 다 있고... 안정성도 빌드머신이라 계속 켜두는데 큰 문제 없구요.
     
avemaria 2016-05
아 덧글 감사합니다.
저는 서버개발 및 하드웨어부터 임베디드단까지 개발자입니다.
아무래도 내부적으로 에뮬레이터 개발해서 서버 부하시험과 같은 워킹이 있어서 해당부분 진행하려면 아무래도 코어가 많은편이 좋은지라....
그렇다고 아마존 같은 서버써버리면 추과금이 들어가구요...

일단 바짝 땡길때만 24시간 기동할 것이고 딱히 서버급의 리소스가 필요하지 않은이상 어느정도 게임이나, 멀티태스킹의 경우 cpu 1개의 로드율 40% 이상은 찍지 않을거라 예상하고 있는지라 아마 큰 전기세는 안들어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다만 idle power consumption이 생각보다 높아 정확히 어느정도의 전력을 소모하는지 잘 모르겠네요...
          
쓰레기단장 2016-05
아이들에서도 겁나 많이 먹습니다 ㅜㅜ 켜 둬야 하는 머신이면 집에선 감당이 안될겁니다. 저의 경우는 피크때 하루에 7-8시간 썼는데 전기세 10만원대 후반 나왔습니다. 참고로 겨울 기준이구요 지금은 집에서는 거의 안 쓰고 가전만 굴리는데 4만원대 나오더라구요. 저의 경우가 정확하게 적용되지는 않을 거라고 생각합니다만 조금 부담이 되기는 합니다. 아 그리고 azure쪽은 할인쿠폰같은것도 많고 행사도 많아서 해외에서의 트래픽까지 고려한 부하시험이 아니면 쓸만할 것 같아요. 한번 알아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avemaria 2016-05
주로 외국계랑 일을 많이합니다... 서버도 외국... ㅠㅠ


QnA
제목Page 2419/5731
2015-12   1792855   백메가
2014-05   5267848   정은준1
2012-07   6644   승후니니
2016-10   5485   초보IT
2014-06   24283   장동건2014
2017-10   4053   김훈1
2017-11   4857   여주농민76
2020-03   3388   이희주
2021-07   2366   더블로
2020-03   3366   2CPUI김세훈
2015-10   6992   2CPU최주희
2016-10   5381   Sunrise
01-07   1040   ddabonge
01-09   952   불멸의샌디…
2017-11   4540   김현린
2021-08   2530   퍼싱글
2012-09   5148   원주멋진덩치
2015-10   4927   luciddream
2021-08   2870   찌록
2009-07   6454   갬비오
2009-07   7773   김동민
2023-03   2492   미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