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의 유저가 접속을 하는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여쭙니다.

justin1   
   조회 6410   추천 0    




현재 직접적으로 하드웨어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4명의 유저가 cad와 모델링하는 프로그램 엑셀등을 열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추후 랜을 이용한 클라이언트 접속도 고려중입니다.

 3930k로 시작해서 x5690 듀얼을 사용중입니다. 보드가 오래되어 어거지로 6g 인텔 레이드카드로 상용중인데 무슨 문제인지 속도가 사타2보다도 못나와 시스템이 가끔 멈추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해서 시스템 교체를 고려중입니다.

직접적인 공유는 9명까지 추후 추가로 필요할경우 thin 클라이언트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고려중인게 e5-2683듀얼이 제일 만만할듯 싶습니다.

현제 x5690듀얼기준 4명이 사용할때에도 cpu로드율은 남습니다. 20-30프로인데 캐드나 기타 프로그램들이 응답없음 현상이 자주 보입니다.

조금뒤에 상황 나아지구요.

저의 잛은 견해로는 disk io나 그래픽카드가 많이 설치되어있고 동시에 가동중이라 데이터 버스 등의 문제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케드가 그렇게 많은 사양을 요구하지 않기에 저클럭이지만 저렴하고 많은 코어를 가진 e5-2683 v3가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을 하는 중입니다.

x5690의 높은 클럭에서 현재에도 남는 cpu리소스인데 더 많은 코어로 가는게 합당한 생각인지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발매시기가 너무 차이가 나고 등급이 너무 차이가 나 제가 가진 의문의 의미가 없지 않을가 하는 기대고 듭니다.

현제 제가 가진 문제인 레이드 속도문제도 보드가 바뀌면서 내장에 붙이도 저젓보다는 나을것 같구요. cpu와 vga에 대한 데이터처리량도 많아져서 다량의 vga가 동시에 가동을 하는 환경에서도 현제 보다는 나아질것이라 생각됩니다.

메모리도 ddr3에서 4로 넘어가는 것이기에 거기서도 잇점이 있을것 같구요.


두서없이 주절되었습니다.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현제 시스템 상황

x8dth-ih x5690듀얼 96g ddr3-1333 인텔 rs3dc080 6g raid card 지포스730 그래픽카드4장 AMD hd7750 6포트출력 그래픽카드 한장

모니터 8대 가 현제 시스템 구성상황입니다.

주 사용프로그램은 3d모델링(늦지만 참으면서 사용합니다) CAD 이며 가끔 엑셀정도 사용합니다.

-------문제점

레이드카드가 속을썩입니다 속도가 사타2 단일에 붙인 840 evo 보다 쓰기에서 속도가 반에반도 안나옵니다.

그래서 동시에 사용하다보니 자주 멈춥니다.

전에 cad만 사용했을시에는 문제가 없었던걸로 기억합니다.

응답없음이 보이지만 기다리면 풀립니다.

하지만 업무에 조금 지장이 되는 상황입니다.

모델링하는 프로그램을 도입을 했는데 그게 조금 낳이 무겁습니다.

--------향후 대책

시스템 교체를 고려중입니다.

전에 3930k로 시작해서 cad만 사용했기에 x5690듀얼로 넘어갔는데 보드가 오래되다보니 다른쪽에서 리스크가 너무 큽니다.

테스트용 시스템을 장만한다고 봐도 200중방의 예산을 준비해야하기에 최종적으로 고견을 청해 진행 방향을 잡고저 여쭙니다.

레이드 시스템은 그냥 이어가고 보드 및 메모리 cpu만 교체해보는것을 고려중입니다.

cpu e5-2683 중고 두개 개당 55-60 메모리 128g 보드 asus z10pe-d16 정도를 고려중입니다.

e5-2683을 싱글로 구성 태스트를 해볼까도 생각중인데 너무 지식이 없다보니 진짜 맨땅에 헤딩을 하는 상황입니다.

문제는 헤딩을 해야한다는 것입니다. ㅜ.ㅜ;;

현제 3.4기가 클럭에서 리소스 남는데 클럭낮는 2683으로 가는게 멍청한 것인지 cpu출시 시기나 아키텍쳐 변화로 x5690에 대한 클럭빨차이는 의미가 없을 것인지... 보드등의 변화로 환경변화가 가진 잇점으로 지금보다 더 나은 사용환경의 확보가 가능할것인지가 최대 관건입니다.

그냥 버리는셈치고 이베이에서 eㄴ cpu로 테스트를 해볼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너무 장시간 고민을 하다보니 시스템을 바꾸는데 돈 들이는게 싸다 싶습니다. ㅜ.ㅜ''


길글읽어 주시어 감사드립니다.

두서없어 죄송합니다.


 조언을 구합니다. 감사합니다.

aa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6-06
우선 보드 슬롯이 다 8배속 뿐인지라 좀 그렇고

PCI-E Gen1이라 레이드카드의 PCI-E Gen3 를 활용하지 못합니다.

요것을 통째로 바꿀려면

https://www.supermicro.com.tw/products/system/4U/7048/SYS-7048GR-TR.cfm

이것으로만 가도 충분하리라 봅니다.

지금 시스템에서 SSD 말고 SAS15K 하드로 바꿔 보는 것은 어떠신지요?  (중고로 시험삼아 구축해봐도 될 듯합니다.)
노트북에서  i7 -4900 ,  ssd  840 pro  2개를  인텔  소프트웨어 레이드 0  로 쓰는것 보다  write쪽이 심하게  떨어져 지네요.
수치로는  seq wirte 는 10분에 1정도 나오시고    4k write 는  40분에1정도  나오네요
이런경우는  드라이버가 제데로 안잡혀 있는 경우 일거 같습니다. 먼저 드라이버를  먼저 살펴보시는것 우선일거 같습니다.
이규섭 2016-06
중앙에 파일서버 두고, 4명의 유저에게 각각 PC셋팅하는편이 생산성 향상에 엄청난 도움이 될겁니다.
위 상황이면 스카이레이크 펜티엄 PC한대씩만 나눠줘도 퍼포먼스상에서 확실히 압도할겁니다.

굳이 왜 저런 환경에서 캐드와 모델링을 하는지 궁금하네요.

개발 장비에 돈아끼면 생산성 저하 및 의욕감퇴가 일어나서 결국에는 손해입니다.
     
justin1 2016-06
프로그램 라이센스 비용때문입니다
online9 2016-06
먼저 Disk IO를 더 정확하게 모니터링 해봐야 하지 않나 생각듭니다.
동시 작업진행중에 HD Tune에 디스크 모니터 메뉴 탭으로 실제 IO가 얼마나 일어나는지 살펴보시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원도우 작업 관리자의 리소스 모니터의 디스크 항목도 중점으로 보시면 실제 IO가 많이 발생되어 지연되는지를 알 수 있을 듯 합니다.
그리고 SSD RAID0 를 그냥 풀고 sata2에 개별 디스크로 연결해서 쓰셔도 250MB 속도는 보장되기 때문에 이것도 테스트 해보세요
다른 글에 올렸는데 혹시 메모리에 여유가 되시면 RAM 드라이브를 잡고 작업공간으로 해서 테스트 해보시고 새로운 시스템으로 가시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OS 설치 디스크와 작업 영역 디스크는 분리하는건 기본일 것 같구요
혹시 Windows 시스템이면 가상 메모리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것도 없음으로 하는 것이 성능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W5590 두개를 X8DAH-F+에서 LSI 9721-8i로 Samsung 840 256G 4개를 RAID0로 해서 빌드 시스템을 구성했는데 크게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이유는 첨부하신 SSD 벤치 그림에서 보듯이 4K 성능이 RAID0로 몇개의 SSD를 붙여도 그대로 입니다.
clean 빌드를 했는데 매번 수만개의 파일을 받아내리고 복사하고 컴파일하는 작업이 동시에 몇개가 수행되는 시스템이어서 IO 병목이 심해서
결국 대안으로 램드라이브로 작업 공간으로 설정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다른 디스크로 복사하도록 구성했습니다.
지금은 작은 파일 처리 때문에 Intel SSD 750 400G nvme로 변경해서 사용중입니다.


QnA
제목Page 2395/5727
2015-12   1778179   백메가
2014-05   5253216   정은준1
2016-04   4928   김태영
2017-03   14697   GodokNam
2017-04   4527   나파이강승훈
2022-05   2069   이지포토
2013-10   7702   s김종화z
2015-02   5023   정글탐험
2018-07   5260   무아
2013-10   12864   김건우
2022-05   1284   motu
2019-08   3365   신은왜
2020-11   2887   범범이
2016-04   5532   퍼싱글
2019-09   3013   Nomaker
2011-03   10690   obawang
2019-09   4168   슈퍼차저
2022-06   2456   굴렁쇠
2022-06   1542   yollman
2018-07   4105   말랑9
2019-09   3217   이이크
2019-09   7788   장용석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