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를 가상화 호스트 OS로 돌리고있는데..램누수가 너무 심하네요

루이스   
   조회 11260   추천 0    

안녕하세요. 

가입하고 첫 글이 하필이면 질문글이네요.^^;;

개발용 서버와 기타등등 여러 서버들을 운영했었는데, 서버호스팅과 해외의 DigitalOcean과 같은 업체를 통해서

서버를 올려서 쓰다가..

최근에 1G 기가회선으로 업글한 이후 i5 4690 + 16G Ram을 꽂은 데스크탑을

가상화 호스트 서버로 두고, 모든 외부에서 돌리던 자원들을 이 호스트서버로 다 옮겼습니다.

문제는 제가 가상화쪽에는 무지한지라 무턱대고 쓰기편한 윈도우10을 호스트 서버 운영체제로 두었는데,

윈도우10의 고질적 문제인지 램 누수가 너무 심합니다.

게스트 운영체제들은 약 4개정도인데, 각각 배정해놓은 램은 512MB+1G+2G+2G 로써

4개가 모두 올라가있어도 5.5기가를 넘지 않도록 되어있습니다.


헌데.. 켜놓고 일주일정도만 지나면 16기가를 꽂아놓은 호스트 운영체제에서

램사용량이 99%가 되었다고 알림이 옵니다(...)

작업관리자를 통해 램 사용량을 분석해보아도 계정 자체에서 특이하게 메모리를 과하게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따로 없구요.

일주일마다 점유율이 99%가 될때면 모든 게스트 운영체제를 중지시키고 호스트를 매번 리부팅 시켜줘야 하네요..;;;


괜히 돈 조금 아끼려다가 반강제적으로 일주일마다 긴급 서비스점검 핑계대고 재부팅하게 생겼습니다ㅡㅡ;;

현재 돌리고있는 가상화 프로그램은 Vmware Workstation 12이구요..


여기서 질문 몇가지 남깁니다.

질문1)윈도우 서버 운영체제(2012 등)에서는 램 누수현상이 있는지..?

질문2)베어메탈 하이퍼바이저를 제가 ESXi정도만 알고있는데, 혹시 다른 종류도 있는지..?

질문3)ESXi Hpyervisor 으로 전환할 경우 vmware worksatation에서 사용하던 vmdk 파일과 스냅샷 모두 사용이 가능한지..(호환성)


너무 초보적인 질문이긴 하지만...부탁드립니다(꾸벅)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PiPPuuP 2016-06
Windows 10은 메모리 공간에 꾸역꾸역 뭔가를 올리게끔 되어있습니다.
주로 올리는건 프로그램 데이터, 자주 접근하는(혹은 접근할 것으로 기대되는) 스토라지 데이터(파일 올린다는 겁니다) 등입니다.

작업관리자 "성능" 탭을 확인하세요.


저 "캐시됨" 영역은 잡아만 놓고 있는 영역입니다. 즉 실제 사용하지 않으면서 꾸역꾸역 쓸거 같은 것들을 올려놓은 거죠.

좀더 정확히 확인하려면 리소스 모니터의 "메모리" 탭을 보시면 되겠지요.

저 "대기모드" 보이시나요?
약 3GB정도가 실 사용중이나, 메모리는 7GB 점유한 모습입니다.

호스트 서버를 ESXi 등으로 바꾸세요.
Windows 10은 Hypervisor Host OS로 별로입니다.
물론 Windows Server 2012 R2는 매우매우 잘 돌아가며(Hyper-V), Windows Server 2016도 그럴것이라고 믿습니다.
불행히도 그놈의 보안 업데이트 때문에 24시간 365일 돌려보지는 못했지만 꽤 오랜시간 잘 작동합니다.

덧.
VMware Workstation VM을 ESXi로 옮기기: https://kb.vmware.com/selfservice/microsites/search.do?language=en_US&cmd=displayKC&externalId=1012258

덧2.
베어메탈로 유명한 물건들은 ESXi, Citrix Xen, Hyper-V Server 가 있습니다.
하지만 Hyper-V Server는 사실상 베어메탈이라고 보기 힘듭니다.

만약 리눅스만 게스트로 올린다면, 순수 Docker로 운영하는것도 고려해볼만합니다.
     
luiseok 2016-06
친절하신 설명 너무나 감사드립니다ㅠㅠ
우선은 윈도우10에서 윈도우 서버 2012로 운영체제를 바꿔봐야겠네요..
Docker 로 운영해보는것도 고려는 하고있습니다. 다만 네트워크 설정이 너무 번거로운 부분땜에ㅜㅜ
늦은새벽에 답변 감사합니다!
          
PiPPuuP 2016-06
ESXi를 못쓰시는 이유가 있으신가요?
VMware Workstation은 아무리 노력해도 베어메탈을 능가하지 못하는데....
애당초 위 제품은 잠깐동안(데스크탑 사용하는 동안) 2nd 운영체제를 돌리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계되어있는 제품입니다.
24시간 돌리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ESXi는 무료로 사용 가능합니다)
               
luiseok 2016-06
ESXi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필요한 프로그램들(vSphere vCenter 등)이 유료로 제공되고 있는것 같아서...
시트릭스이 Xenserver이 대안이 될 수 있을것 같아 XenServer을 사용하고자 하는데 혹시 ESXi와 원격 관리 프로그램들을 지속적으로 무료로 사용이 가능한가요?
추가 ) ESXi를 무료로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ESXi로 당장 바꾸고싶네요...상당히 매력적인것 같습니다.
                    
PiPPuuP 2016-06
vSphere Client는 무료입니다.
                         
luiseok 2016-06
다가오는 주말에 당장 교체해야겠네요.감사합니다!
ESXi는 그래픽 가속을 시키는게 까다로워 (Ndivia는 VT-D조차 쿼드로, 그리드, 테슬라를 써야합니다), 저도 님과 같이 hypervisor host OS을 windows 10으로 쓰고, VMware workstation을 돌리고 있습니다. host memory 문제를 염두에 둬 저는 메모리 관리자 프로그램(cleanmem PRO)을 쓰는데, 한달간 켜놔도 메모리 사용량이 99에 도달하였다는 메세지는 뜨질 않습니다. 혹시 현 상황을 유지하고 싶으시면, cleanmem pro같은 메모리 관리 프로그램을 써보시는건 어떨지요? ESXi 라이센스를 사놓고도 그래픽 카드 문제(전 GTX 시리즈 및 ESXi가 지원안되는 쿼드로 밖에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때문에 hypervisor를 windows 10을 쓰며 VMware workstation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luiseok 2016-06
답변 감사합니다. 그래픽 가속이라면, ESXi에서 윈도우10 등 개인용 운영체제를 설치할 경우 그래픽 드라이버가 잘 안잡힐수도 있다는 말씀이신지요?
제가 잘 몰라서 팔랑귀가 되는것 같네요ㅎㅎ
우선 cleanmem을 설치해서 주말까지 한번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래픽 드라이버는 잡히는데, 가속은 되지 않는다는 겁니다. 느립니다 ^^ 지원되지 않는 비디오 카드에서는 가속하는 옵션이 비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luiseok 2016-06
아, 그렇다면 리눅스CLI환경에서 동작시키거나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간단한 한글/엑셀 수정작업에는 큰 무리가 없을듯 하겠네요.
아무래도 호스트OS에서 기본적으로 차지하는 메모리용량도 베어메탈보다는 많지 않을까 해서 윗분께서 댓글 달아주신대로 주말에 ESXi로 이전해야할것 같네요.ㅎㅎ
이지영 2016-06
Windows 10이면 HYPER-V가 제공되는데 굳이 VM 워크스테이션을 쓸 필요가 있나요?
     
그래픽 가속을 하고 싶은데 아직 HYPER-V는 그래픽 가속이 안되더군요.. ^^;;
          
김윤술 2016-06
RemoteFX 가속을 하는데 10 버젼은 한대만 가능하게 했습니다. 서버버젼 써야 여러대가 가능해요.
               
RemoteFX도 쿼드로만 되더라구요. K620 꽂고 돌려봤는데 체감 성능 향상이 거의 없었습니다.
                    
김윤술 2016-06
일반 VGA도 됩니다. DX11 이상 지원되는 카드라면 다 되요. WS2012 버젼과 WS2016/Windows 10 버젼 RemoteFX 성능은 많이 차이납니다.
                         
https://blogs.msdn.microsoft.com/rds/2013/11/05/gpu-requirements-for-remotefx-on-windows-server-2012-r2/
윈도우 10/WS2016에서 RemoteFX가 가능한 GPU는 찾지 못했습니다만, WS2012R2에서는 가능한 GPU list가 공식문서에 나와있네요
김윤술 2016-06
가능한게 아니고 좋은 성능을 요구하는 권고사양일뿐 저게 필수는 아닙니다. GRID K2나 일반 VGA나 고만고만 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280X 로도 충분히 성능이 남아 돌았으니 하드웨어 특성은 거이 안탑니다. K2 같은 GPU는 RemoteFX 보다는 Xen이나 VMWare 같은 솔루션에 적합할겁니다.
     
그렇군요.. 한번 세팅해봐야겠네요 ^^


QnA
제목Page 2399/5731
2014-05   5268536   정은준1
2015-12   1793563   백메가
2016-06   4364   JSYoon
2021-01   5044   skzj
2013-12   4747   느닷
2011-06   7743   이원재K
2015-04   5831   FAHRENHEIT
2016-06   11381   유정호샤콘느
2019-10   3416   빡시다
2018-08   4475   슬루프
2015-04   4973   RuBisCO
2021-01   6707   장동훈
2018-08   4038   수필처럼
2022-08   2486   걸인신홍철
2011-07   6514   스카이
2013-12   4402   황진우
2015-05   3956   미수맨
2022-09   2396   초보2cpu
2016-06   9145   무아
2022-09   1994   화란
2011-09   6298   BlueApple
2015-05   3660   정명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