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59899 |
25 |
2015-12
1759899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3510 |
0 |
2014-05
5233510
1 정은준1
|
30757 |
아이패드 프로에서 사용하는 사진편집프로그램? (7) |
NiteFlite9 |
2017-07 |
4370 |
1 |
2017-07
4370
1 NiteFlite9
|
30756 |
SKT 3G와 LTE APN 세팅중 LTE가 새로 나왔다는데 이 내용중 무엇이 바뀐건가요? (8) |
호박고구마 |
2017-07 |
8306 |
1 |
2017-07
8306
1 호박고구마
|
30755 |
델 T5500에 그래픽카드 pci-e 8400 9300 가능 유무?? (1) |
두cpu |
2016-12 |
3802 |
1 |
2016-12
3802
1 두cpu
|
30754 |
tx100 고장사례 (4) |
빠시온 |
2014-09 |
5527 |
1 |
2014-09
5527
1 빠시온
|
30753 |
컴이 포스팅 화면에서 멈추네요 (7) |
조재형3 |
2017-01 |
4328 |
1 |
2017-01
4328
1 조재형3
|
30752 |
HDD 레이드라는걸 알게되어 레이드6 (RAID6) 구성을 해보고자 합니다. (14) |
exynos |
2017-01 |
6059 |
1 |
2017-01
6059
1 exynos
|
30751 |
[mikrotik 미크로틱 에서 운영체제의 hosts 와 같은 일을 하는 기능을 알고 싶습니다. (5) |
오준호5 |
2016-04 |
4361 |
1 |
2016-04
4361
1 오준호5
|
30750 |
워크스테이션으로 녹스 프로그램 못 돌리나요?죽네요 (9) |
두cpu |
2017-03 |
4404 |
1 |
2017-03
4404
1 두cpu
|
30749 |
HP xw8400 771 기반 웍스의 소켓당 최고 인식 용량.. (14) |
박명근TN |
2016-05 |
6293 |
1 |
2016-05
6293
1 박명근TN
|
30748 |
[ VMware Thin Provisioning ] 리눅스 VM의 크기가 증가하지 않네요 (6) |
전설속의미… |
2017-04 |
4409 |
1 |
2017-04
4409
1 전설속의미…
|
30747 |
hp z600 ......2cpu ...업그레이드 관련 질문드립니다.....^^ (6) |
보탕 |
2016-05 |
6528 |
1 |
2016-05
6528
1 보탕
|
30746 |
과거 중고나라에서 공구?비슷하게 같이 구매했던 잭앤해머표 007 전동드라이버가 좀 … (3) |
김건우 |
2016-06 |
6316 |
1 |
2016-06
6316
1 김건우
|
30745 |
판매자 분과 원만히 해결 하였습니다 조언 주셔서 감사합니다 (4) |
가람이당1 |
2016-06 |
4020 |
1 |
2016-06
4020
1 가람이당1
|
30744 |
15Z970 엘지 그램 Win7 설치.. (3) |
니포 |
2017-06 |
8812 |
1 |
2017-06
8812
1 니포
|
30743 |
용산 전자상가쪽 맛집 질문입니다. (5) |
병따개님 |
2017-07 |
4413 |
1 |
2017-07
4413
1 병따개님
|
30742 |
BTX Cooler 만 따로 구입이 가능할까요? (1) |
정은준 |
2009-01 |
5445 |
1 |
2009-01
5445
1 정은준
|
30741 |
HP 네트워크 카드 펌업 질문입니다... (4) |
빠시온 |
2017-10 |
3630 |
1 |
2017-10
3630
1 빠시온
|
30740 |
델파츠 i350랜카드 잘 붙을까요? (6) |
최민재 |
2020-09 |
2827 |
1 |
2020-09
2827
1 최민재
|
30739 |
80미리 팬 질문입니다. (8) |
미나리나물 |
2016-05 |
6085 |
1 |
2016-05
6085
1 미나리나물
|
30738 |
SAS라고 되어 있지만 인터페이스가 U.2 (15) |
과암 |
2019-09 |
6851 |
1 |
2019-09
6851
1 과암
|
프로그래밍하는데 영어가 필요하기보다는
이래저래 구글링및 정보모으는데 영어가 필요하더군요
덕분에 의도치않게 영어 읽기는 술술읽힌다는....
대충 중학교 3학년 수준 독해수준 되면 아무런 지장 없습니다.
다만 영어를 거의 안쓰셨다면 영타가 매우 느리실텐데
프로그래밍 배우고 연습하실때 많이 답답하실겁니다.
(위에 강영준2C님이 얘기했듯) 그러나 프로그래밍 공부를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구글링하게 되고 관련 자료들이 대부분 해외에 많습니다. (물론 초기 단계에서는 국내 자료로도 충~~~~분 합니다만)
결국 자연스럽게 영어에 익숙해지게 되는것이죠.
이런 말을 하는 저도 영어는 많이 모자랍니다.
그리고 세상이 바뀌어서 이제는 해외자료에 대해서 당연하게 받아들이셔야 (개발자로) 오래오래 잘먹고 잘 살 수 있습니다.
프로그래밍 언어 원서를 사서 공부하는 것이 있습니다.
한글로 이해하는 것이랑 영어로 직접 이해하는 것은 틀립니다.
약 20 년전 TORBO C++ 원서는 라면 박스 하나가 넘어갔습니다.
저요 ?? 프로그래밍의 P짜도 모릅니다..
프로그램 짜는 것도 하늘이 주신 능력이라고 저는 보는데요..
이런 프로그램 짜달라고 이야기 하면 생각하고 그 자리에서 프로그램을 만드는 사람들이 아주 가끔 있습니다.
전공하고는 관계 없고요..
지금까지 세사람정도 그런사람을 알고 있습니다..
스택오버플로우 내용도 보구....
그리고 최신 내용은 대부분 영어라서말이죠. 원서책이나 원서 메뉴얼 봐야할 경우가 많습니다.
아무래도 엔지니어 영어다보니 용어만 알면 의외로 간단한 문법에 해석이 됩니다. 중고등학교 영어로 충분..
틈틈히 병행하셔요
실제로 영어회화도 중학교 수준이면 거의다 됩니다만, 엉뚱한 문법위주의 중고등학교 영어, 대학가면 토익, 토플 시험에 시간을 낭비하기 때문에 늘지 않는것 뿐입니다.
제대로 프로그래머를 하려면 영어 읽고 쓰는 건 꽤 해야합니다.
초기에는 단순 구글링 정도...QnA 를 읽어보는 정도지만...
좀 수준이 더 올라가면....백서 같은 걸 보기도 해야하고...RFC 나 IEEE 문서 뒤지기도 하고 해아합니다.
그리고...일정 수준이 되면...자신 말고는 같은 질문을 하는 사람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면 영어로 질문을 해야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즉...읽기/쓰기는 어느 정도 되어야한다는 거지요.
회화까지 되면 더 좋구요.
프로그래머가...영어/일어/중국어...세가지 하면...평생 먹고 사는데 지장없습니다.
(아는 사람 중에 이게 되는 사람이 있어요. 부럽...ㅠㅠ;;)
몇가지의 명령단어만 가지고 조합되는식이라
사전급의 영어를 요구하진 않습니다
하지만
결국에는 전문서적이 대부분 영문서라
독해는 어느정도의 수준이 있어야하긴 합니다
특히나 리눅서가 되려면 구글링은 필수 입니다..
리눅스도 재대로 하려면 C를 베이스로 한 프로그래밍이 필요합니다..
구글님차냥해~~
외국 리눅서 친구들도 구글에서부터 만나게 되죠??
니가 셋팅한게 맞냐 안맞냐 논쟁도 해야 하고요..
토발즈 리눅스 인가 그 아저씨도 한국에 가끔 오는건 아시죠??
열공열공~~~!!!!
어느 정도 프로그래밍을 하게 되면 1주일 정도 잠안자고 생각하면서 프로그램을 만들때도 있습니다.
그럴때 버티기 위한 체력도 필수입니다.
몇 만 라인씩 프로그램짜기 등등
시작은 가장일반적인
보드나 컴메뉴얼부터
그리고 힘드시더라도 처음으로 배우시는 언어를 원서로 공부하시길 권합니다.
물론 엄청짜증나고 힘들지만 한권정도만 정독하시면 그다음부터는 쉽습니다.
- 물론 이해가 안되는 부분은 한글로 된책이나 참고를 찾아서 공부하면 됩니다.
즉 우선적으로 보는것이 한글위주가 아니라 영어위주로.
전문적으로 공부하시보다 실무위주로 원서를 우선적으로. 물론 영문으로 구글검색이 최고입니다.
그리고 댓글중에 영타문제나오던데 영타부터 익숙하셔야 편합니다.
참고로 저 독수리인데 영타가 더 빠릅니다.
참 거짖
크냐 작냐
같으냐 다르냐
온이냐 오프냐
어디서부터 어디까지냐
더했냐 뺏냐
곱했냐 나누어냐
등등....
(요즘은 좀 뜸해져서 3-4시에는 공백이 생기는 듯하지만)
안그러면 비슷한 함수를 또 만들고 있는 자신을 발견합니다.
그리고 디버깅 하다가 내가 왜 저 변수를 만들어 뒀었지 하고 자신의 기억력을 탓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결정적인 것은,
기억력이 나쁘면 소스코드를 마우스 휠 스크롤을 써서 하루종일 오르락 내리락 하고있는 자신을 발견합니다.
그리고 그 기억력을 대체하기 위하여 툴에서 제공하는 아주 고급스런 기능들을 이용하게 됩니다. 그런데 기억력의 한계로 그 주옥같은 기능들 중 10%도 제대로 못씁니다. 하하.
공감 백배.....
이 나쁜 기억력.....ㅠ.ㅠ
영타부터 먼저 정독하시고 C언어 책 정독 이렇게 하셔야 할것 같습니다.
코딩할때 계산기 만드는방법 이것도 있던데.. 수학도 어느정도는 되어야겠죠??
코딩은 머리가 좀 좋아야... 잘되는거 같습니다
잘 안된다고 해서.. 머리탓 하지 마시고.. 하다보면 어느새 실력이 늘어납니다.
입문 자격은 수학입니다.
공식 하나를 이해하고 그 공식으로 여러 문제를 풀 수 있는 응용력이 있다면 일단 프로그래머로서 시작은 가능합니다.
그 다음엔 추리력입니다.
셜록홈즈 소설을 보면 모든것을 의심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여러가지 가정을 하고 검증을 거쳐서 결국엔 범인을 특정하여 문제를 해결합니다.
정말 쉬운데 참으로 신기하게도 이게 안되는 사람들이 정말 많습니다.
모든 것을 의심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고 여긴 문제없을꺼라 미리 단정해 버리는 오류를 범하는 경우를 정말 많이 봅니다.
결국 프로그래밍은 학습한 기능을 응용하여 결과를 만들고
테스트 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는게 일상입니다.
여기까지가 되면 일단 프로그래밍으로 먹고사는건 간신히 가능 합니다
그렇게 기능적 학습량이 양적으로 늘어나 할수있는게 많아져 자신감(자만?)이 좀 붙었을때
the c programming language라고 c언어를 만든사람이 쓴 책이 있는데
이걸 보면 겸손해 집니다. 초보는 아무런 감흥을 못느끼니 나중에 보시고요.
아무튼 알고리즘에 대한.... 즉,머리도 좀 써야되는 시점이 되어
디자인 패턴과 리팩토링등도 같이 익히게 되면
입에 풀칠하는 수준은 넘어서게 됩니다.
솔직히 여기까지 도달하는데 영어실력이 필수조건은 아닙니다.
전혀 못해도 느리고 힘들지만 꽤 높은 수준까지 가능은 합니다.
다만 잘하면 잘하는 만큼 확실히 큰 도움이 되는건 너무나 당연하고
그것보담 같은 실력이라도 대우가 월등한 외국계기업을 노리거나
해외취업도 가능해 지는등 인생 길게 놓고 보면 영어잘하는 개발자가
뤌씬 유리합니다.
어디까지나 제 개인적인 생각이였습니다.
C도 좋겠지만
파이썬으로 시작해보시는것도 괜찮을듯합니다
직관적이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