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D 5 다중 엑세스시 무리가 갈까요?

   조회 4149   추천 0    

보통 단일 HDD 안으로 여러 HDD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쓰기 실행"할 경우

평균응답시간이 수천ms~수만ms까지 증가하면서 버벅이게 되는데요. 

HDD에 무리가 간다고 들었습니다. 수명감소라든지, 데이터 유실의 우려라든지....


그런데 RAID 5에서도 마찬가지 일까요?

RAID 5 시스템에서 패리티를 제외한 하드 숫자는 충분히 여러개잖아요.

다중작업으로 RAID 5 저장소에 여러 단일 SSD나 HDD의 파일을 한꺼번에 쓰기할 때에도 마찬가지일까요?

물론 동시작업하는 개수는 RAID 5의 하드 개수보다 작다고 가정할 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윤술 2016-07
SSD를 캐쉬로 쓰는 어레이를 쓰는게 훨씬 효율적일겁니다. 하드는 동시쓰기에는 성능에 많이 뒤떨어집니다. ZFS나 스토리지 티어링같은걸 사용하는것이 효율적일수 있습니다. 아니면 어레이 콘트롤러가 캐쉬가 높은걸 사용하면 어느정도는 커버가 되긴 합니다.
박문형 2016-07
RAID 5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응답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캐쉬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매니아1 2016-07
답변 감사합니다.

1. 그런데 쓰기캐시보다 큰 용량을 동시에 옮기는 경우는 큰 의미가 없지 않나요?
(SSD 캐쉬가 128GB인 경우, 각 드라이브 당 TB 상당의 이동을 여러번 할 경우)

2. 다중 접속 쓰기 시, HDD에 무리가 간다는 내용이 지금 구글링해보니 구체적으로 나온 곳은 없더군요.
예전에 어디서 본 것 같은데, 혹시 레퍼런스는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요?
     
주변 피씨방중에 리눅스기반의 디스크리스 시스템을 사용하는 곳을 찾아보세요.
1. 캐쉬보다 큰 데이터를 옮기는 경우는 많지는 않습니다만, 3~6개월에 한번씩은 발생되기도합니다.
2. 캐쉬용 SSD를 통해서 서버당 60~80대의 라이팅을 받아내는 장비로는 피씨방 디스크리스 서버가 널리 사용됩니다.
HDD가 감당할 수 있는 이상의 처리를 요하지 않기때문에 수명감소, 데이터유실은 루머입니다.
NCQ 없던 시절에 비교하면 다중작업시 상당히 괜찮아진 수준입니다. RAID5가 단일하드에 비해 IO(4k이하 제외)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습니다만, 다중작업시에는 당연히 단일작업에 비해 느려집니다. ZFS가 와도 어떤 시스템이 와도 다중작업하면 느려집니다.


QnA
제목Page 1808/5708
2015-12   1675921   백메가
2014-05   5141287   정은준1
2019-06   4165   삶은계란
2020-02   4165   쪽바로
2016-10   4165   Everyharu
2021-07   4165   푸른해원
2014-04   4165   션한맥주
2016-08   4165   펭귄님
2016-08   4165   늘파란
2017-11   4166   오성기
2022-05   4166   DOX
2015-10   4166  
2019-10   4166   큰하늘
2021-09   4166   행복하세
2021-01   4166   블랙
2015-09   4166   jake
2015-05   4166   김건우
2016-08   4166   송승화
2015-11   4166   회원K
2016-08   4166   늘파란
2014-08   4166   무소유
2015-06   4166   윈도우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