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4027 |
25 |
2015-12
1674027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39477 |
0 |
2014-05
5139477
1 정은준1
|
54202 |
비스타 (4) |
윤호용 |
2007-12 |
5354 |
14 |
2007-12
5354
1 윤호용
|
54201 |
하퍼타운 린필드 성능차이 (2) |
AplPEC |
2016-01 |
5354 |
0 |
2016-01
5354
1 AplPEC
|
54200 |
듀얼코어 관련 질문 드립니다 (4) |
이승한 |
2005-12 |
5354 |
6 |
2005-12
5354
1 이승한
|
54199 |
[re] Cadence 세그멘테이션 오류 질문입니다. (1) |
정의한 |
2006-08 |
5354 |
21 |
2006-08
5354
1 정의한
|
54198 |
USB wireless LAN Card 사용해 보신 분 계신가요? (4) |
김용현 |
2008-10 |
5354 |
3 |
2008-10
5354
1 김용현
|
54197 |
DDR2-SDRAM ECC/REG or Non ?? (6) |
김성진 |
2005-09 |
5354 |
15 |
2005-09
5354
1 김성진
|
54196 |
좌식의자...도움되나요? (5) |
김건우 |
2008-08 |
5354 |
12 |
2008-08
5354
1 김건우
|
54195 |
혹시 이런거 어디가면 수리 가능할까요? (8) |
장동건2014 |
2016-05 |
5354 |
0 |
2016-05
5354
1 장동건2014
|
54194 |
arc-1220에서 RHEL as4 up3를 사용할때, 커널 업데이트시... (3) |
이문흠 |
2006-08 |
5354 |
9 |
2006-08
5354
1 이문흠
|
54193 |
레노버 p50 windows 10 업그레이드? (3) |
susemi |
2016-12 |
5355 |
0 |
2016-12
5355
1 susemi
|
54192 |
DMB 수신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6) |
임시현 |
2008-12 |
5355 |
6 |
2008-12
5355
1 임시현
|
54191 |
비스타에서 계정에게 프린터 쓸수있게 하는법은요? (1) |
노하석 |
2008-05 |
5355 |
16 |
2008-05
5355
1 노하석
|
54190 |
[질문]리눅스 에서 보드 모델명 알아내는 방법이 있나요? (5) |
김병상 |
2005-11 |
5355 |
38 |
2005-11
5355
1 김병상
|
54189 |
VMware vSphere Essentials Kit 를 하나 사려고 합니다 (6) |
회원K |
2014-01 |
5355 |
0 |
2014-01
5355
1 회원K
|
54188 |
[질문] 옵테로 CPU 업그레이드시 성능 향상 (4) |
박준용 |
2005-12 |
5355 |
11 |
2005-12
5355
1 박준용
|
54187 |
18650과 리듐 폴리머 혼용해서 사용해 보신분 없나요?? (18) |
양철괭이 |
2019-02 |
5355 |
0 |
2019-02
5355
1 양철괭이
|
54186 |
sata하드 시차 스핀업을 하는 방법이 따로 있는지요? (5) |
문추기 |
2006-10 |
5355 |
39 |
2006-10
5355
1 문추기
|
54185 |
하드 정보 보호 관련 질문 드립니다. |
오형근 |
2006-08 |
5355 |
58 |
2006-08
5355
1 오형근
|
54184 |
램을 좀더 늘릴려고 하는데요.. (4) |
박재형 |
2005-06 |
5355 |
3 |
2005-06
5355
1 박재형
|
54183 |
파워가 부족한 것일까요? 파워 추천 부탁드립니다. (4) |
이제호 |
2008-08 |
5355 |
25 |
2008-08
5355
1 이제호
|
무시무시(?)한 라이센스 입니다...
수정한 곳만 공개 하는게 아니에요
다르게 생각하면
그 프로그램을 넣어 MS윈도우에서 돌아가는 시스템을 팔면 MS윈도우 소스 코드를 공개하라는 말도 될 수 있는데...
지금도 "우분투"와 협력하고 있다는게 사실 별로 믿음이 안가는지라..
윈10 소스코드를 공개해야 되겠는데요...
여기를 참고 해 보세요.
GPL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써서 뭔가를 만들면 결과물도 GPL이 적용되어 결과물 또한 소스코드를 공개 해야 합니다.
제가 말씀드렸던 부분은 독립적인 exe 파일 형태로 다른 한쪽에서 Process.Start("B_include_gpl.exe") 처럼 프로세스를 따로 만들어 실행만 시킬 경우 입니다.
이 경우 B_include_gpl.exe 에 대한 소스코드는 공개해야 겠지만 저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A라는 프로그램의 코드까지 공개해야한다면... 위험하네요.
A의 소스를 공개하라는 얘기인지요?
만약 그렇다면
위키페디이아 내용을 보면 이런 얘기가 있습니다.
"2009년 7월, 마이크로소프트는 GPL라이선스를 위반한 하이퍼V의 컴포넌트의 소스코드 20,000여줄을 공개했다."
그 코드를 사용한 컴포넌트의 소스코드를 공개한 것이지 GPL 라이센스가 들어간 하이퍼V를 쓰는 다른 것을 공개한 것은 아니지않나요?
Hyper-V컴포넌트는 메인 프로그램인 Hyper-v에 종속적입니다. 즉, Component 가 Hypervisor의 기능을 가져다 쓰는 형태입니다.
GPL은 참조만 해도 공개해야 합니다. 이유는 인터페이스 부분도 GPL로 공개되어 있는데, 이를 참조하는 행위 또한 GPL을 승인한 결과에 해당하기 떄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제품(product) 단위에 사용을 했다면 제품을 모두 공개 한다 라는것으로 보이는데 이게 과연
프로세스 단위마다 제품으로 볼수 있느냐 아니면 다른 프로세스를 모두 포함 해야 제품이 되느냐의 문제가 되는것 같습니다.
소스 코드를 공개할 생각이 없으시면 왠만하면 GPL 소스코드는 피하시는게 좋습니다.
B라는 프로그램이 GPL 을 따른다면
A라는 프로그램의 소스는 공개해야한다.
로 이해하면 맞는 것이죠??
B프로그램이 LGPL이고 변경없이 그대로 쓴다면, B에 대한 의존성이 없을경우 A는 공개하지 않아도 됩니다만, 의존성이 있다면 공개해야 합니다.
가급적 LGPL프로그램을 쓰시는것을 권합니다.
TightVNC 에다가 상업적 사용 (GPL 따르지 않는) 에 대한 라이센스 문의 메일로 메일 넣어놨으니
사서 쓸지 말지는 쓸 곳에서 결정하겠죠.
그거 피하려고 머리쓰고 다른 것 찾는 것 보다 사는게 싸게들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