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8725 |
25 |
2015-12
1788725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3777 |
0 |
2014-05
5263777
1 정은준1
|
67911 |
혹시 윈도우 화면 해상도 가상으로 늘릴 방법이 있는지요? |
가빠로구나 |
2010-11 |
9485 |
0 |
2010-11
9485
1 가빠로구나
|
67910 |
시게이트 3TB 하드가 35달러라는데 믿을 수 있을까요? (5) |
해피버그 |
2013-09 |
5377 |
0 |
2013-09
5377
1 해피버그
|
67909 |
windows10 이가격에 파는게 맞나요? (8) |
차이하네 |
2019-07 |
3453 |
0 |
2019-07
3453
1 차이하네
|
67908 |
vlan 상황에서 공유기 영향을 받을까요? (5) |
포카 |
2013-09 |
27153 |
0 |
2013-09
27153
1 포카
|
67907 |
혹시나 해서 BIOS 복구 문의드립니다. (10) |
classiccha |
2013-09 |
6833 |
0 |
2013-09
6833
1 classiccha
|
67906 |
드론 시뮬레이터를 구매하려고 하는데 도움좀 주세요 ^^ (9) |
안형곤 |
2020-10 |
3243 |
0 |
2020-10
3243
1 안형곤
|
67905 |
x201 노트북운영체제 설치후 특수키 사용방법 (2) |
윤치열 |
2013-09 |
12544 |
0 |
2013-09
12544
1 윤치열
|
67904 |
운전자 보험 필수? (5) |
여주농민76 |
2017-03 |
5365 |
0 |
2017-03
5365
1 여주농민76
|
67903 |
아파트 분양시 옵션들. (20) |
준바이 |
2019-07 |
4779 |
0 |
2019-07
4779
1 준바이
|
67902 |
비상구 유도등이 공용전기 인가요?!! (9) |
조진석 |
2023-11 |
1876 |
0 |
2023-11
1876
1 조진석
|
67901 |
혹시 구피기르시는분 계시면 조언부탁드림니다, (8) |
불무골 |
2010-12 |
9468 |
0 |
2010-12
9468
1 불무골
|
67900 |
thinkpad t60 팬 못구하죠? (6) |
김건우 |
2018-06 |
4688 |
0 |
2018-06
4688
1 김건우
|
67899 |
Dell R7610 용 레일은 어떤 거 써야하나요? |
천외천oo노… |
2015-02 |
3700 |
0 |
2015-02
3700
1 천외천oo노…
|
67898 |
요즘 CPU는 소프트웨어로 읽어오는 일련번호가 겹치나요? (10) |
무아 |
2019-08 |
5574 |
0 |
2019-08
5574
1 무아
|
67897 |
10700K vs. 10850K 마지막 고민중... 40만원 투자 가치? (41) |
테츠 |
2020-10 |
4880 |
0 |
2020-10
4880
1 테츠
|
67896 |
소음 문의 드려요. (4) |
듀얼맨 |
2019-08 |
2833 |
0 |
2019-08
2833
1 듀얼맨
|
67895 |
안전한 실행 파일 배포 방법이 있나요? (5) |
머재긴 |
2022-04 |
2393 |
0 |
2022-04
2393
1 머재긴
|
67894 |
스위치 허브도 관세있나요? (5) |
정희섭 |
2018-06 |
6103 |
0 |
2018-06
6103
1 정희섭
|
67893 |
BNC 케이블 판매처 - 용산 (12) |
제행무상 |
2019-08 |
3356 |
0 |
2019-08
3356
1 제행무상
|
67892 |
인터넷 속도측정시 다운로드 와 업로드 속도 차이가 많아요? (15) |
하얀달빛 |
2022-04 |
10522 |
0 |
2022-04
10522
1 하얀달빛
|
그라운드(접지)는 절대 0V 의 값을 갖는다고 보시면 되고 마이너스 극은 그라운드에서 볼 때 100V가 될 수도 있으며
플러스 극은 마이너스 극에서 + 얼마 V의 값을 가집니다...
마이너스 극을 접지시키면 마이너스극이 0V로 고정되는 것이지요..
접지는 쉬운게 아니라서 집안에 접지 콘센트를 이용하는게 재일 편합니다. (접지콘센트가 재대로 접지 되었는지는 테스트 해야겠지만)
보통 AC 비활성선과 DC -선은 연결이 안되어 있는데...
연결되어 있으면
코드 잘못 꼽으면 회로망가지고, 감전사 나고 ...
역시 제 생각이 맞았네요.
전 문과출신이기때문에 그래도 안전빵으로 가기위해 질문을 올렸습니다.
혹시나 박인호님 말씀처럼 대폭발이라도 일어난다면..ㅠㅠ
-극이 1V이고 +극이 6v일경우 5V라고 보는데
막약 200과 205면 200v를 -극이 가지면 위험하니 땅과 전압을 동일하게 가지는게 맞는거라고 선생님에게 설명들었습니다.
참고로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kyhan62&logNo=20198556697 내용을 보시면
똑같은 전기라도 배선 방식에 따라 접지도 달라지고 똑같은 220V 라도 활성 전압 차이도 납니다.
단상2선식 (대부분 이렇죠) 의 경우 코드 방향문제는 없는데 가끔 이상한 묻지마에서 만든 것의 경우 활성쪽에다 접지를 건다든지
3상전기에서 2선을 딴 220V에다가 사용한다든지 했을 경우 ... 펑~! 합니다.
가끔 공장에 가면 저렇게 펑 해먹는 것 봅니다. (혼자서는 잘 안터지고 2대의 장비를 연결하는 순간 펑~.. 예를 들어 PC 와 모니터 연결시 펑)
집에 들어오는 전원 방식과 공장에 사용하는 방식이 다다를것 같은데 그렇다면 가전제품도 그에맞추어서 쓰지않으면 안되겠군요.
그럼 가령 용접기처럼 가정에서 사용하지않는 기기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한다면 사용하기 적합한지부터 따져봐야겠습니다.
물론 용접기는 고전력을 필요로해서 일반가정 전력으로는 안될수도 있겠군요.
그리고. 대부분 정상적인 것들은 KS 인증 처럼 전기관련 인증 붙은 놈들은 신경쓰지 않고 써도 될 겁니다.
아 그리고 한가지만 여쭤보고 싶은데요,
박동권님께서 사용하시는 그인두기 저도 이곳에서 신청해서 쓰고있는데요.
접지된아답타와 접지된 멀티탭으로 접지엔 아무 문제가 없는데 알미늄 인두기 본체를 만지면 전기가 약하게 느껴집니다.
이게 결국 접지가 잘안되었다는 것이고 이걸 누설전류로 봐도 될것같은데요.
같은 모델로 박동권님과 같은 조건에서 사용하고 있으므로 결국 같은 모델 사용자라면 누구나 이런 증상을 겪을것 같은데요.
이거 문제가 없을까요?
제가 똑같은 아답타가 내장된 인두기를 이베이에서 구입했지만 이런 현상이 전혀없습니다.
그러니까 이 인두기는 뭔가 케이스 접지가 안되었다고 보는데요.
어떻게 이문제를 해결해야할지 여쭤봐도 되겠습니까?
그리고 기판 회로를 보면 아시겠지만 인두기 연결하는 커넥터 부분이 기판의 0V 부분과 알미늄 케이스와 연결되는 구조 입니다.
그리고 테스터기로 저항 측정을 해보았는데
케이스 - AC코드 접지단자 = 1M오옴
케이스 - AC코드 전원1 = 무한대 (절연상태)
케이스 - AC코드 전원2 = 무한대 (절연상태)
로 측정됩니다.
위 회로처럼 케이스와 접지단자가 직접 연결되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접지된 멀티탭과 접지안된 멀티탭으로 비교하면 전기가 확실히 안오릅니다.
디지털멀티미터로 누설전압을 측정해보면 접지 멀티탭에서 하면 케이스로 AC 0.5V 정도 측정되고 접지안된 멀티탭으로 하면 AC 60V 정도 측정됩니다.
확실히 정상적으로 누설전류는 잡고 있습니다.
결론은... 아답타가 좋은 것이라 그런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지상 8층에서 지면으로 떨어지거나 지면에 지하 8층으로 떨어진 경우가 같은데 지면을 -라고 할 수 없잖습니까.
이 때 지상이 +, 지하가 -, 지면이 0이 됩니다.
이 차이(전위차, 전압, 전기적 위치에너지)를 전기, 전자 장치들이 이용합니다.
어댑터는 +전위차 쓰고, 통신 장비들은 -전위차 쓰며, 지면과 지상 그리고 지하를 다 쓰는 것은 보통 가정에 들어오는 3선 전기선입니다.
이 전기선의 에너지 크기는 지상에서 지면으로 또 지면에 지하로 떨어진 것을 합쳐서 220v입니다.
지면 역활을 하는 그라운드 선이 있어서 입니다.
어떤 전기적 장치가 이 선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출력과 회로의 기준점으로 쓰는 접지를 견고히 하고 정전기나 누전을 빼내기 위해서 입니다.
하여 그 선을 접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공이 아닌 제가 이해하기론 접지란게 마이너스가 아니라는것에 동의합니다.
다만 아답타 같은 표면에 +,-결선을 표기할때 그라운드를[0v] 통상적으로 마이너스로 표기하는것 같아서 본문과 같은 생각을 하게되었다고나할까요?
그라운드를 기준으로 전위가 높으면 플러스, 낮으면 마이너스가 되겠죠.
보통 dc에서 마이너스 전압을 사용하는 경우가 없고 보통 +만 사용해서 기준이 되는 0v[그라운드]를 그냥 편의상 마이너스로 부르는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우리가 초, 중등 전기관련 교육을 받을때도 그라운드란 말을 안쓰고 +,-만 써먹었지만 사실 그때 언급된 마이너스가 결국 그라운드[0v]아닐까요?
이르면 특성화 고교의 기초 회로입니다.
그냥 고교는 물리 전자기에 나오지 않습니다.
전지, 마찰전기, 정전기, 유도전기, 유전분극, 전자기 등이 +와 -를 다루고 이 때는 -를 상대적으로 즉, 0으로 봐야될 수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굉장히 의미있는 정보를 날로 알아갑니다.(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