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망으로 구성된 사내 컴퓨터에 외부 자료를 가져다 넣으려면 어떤방식이 좋을까요?

   조회 9065   추천 1    

 외부에서 만들어진 영상이나 사진파일들을 폐쇄방으로 구성된 컴퓨터에 집어넣어야하는데

단순히 USB로 복사해 넣거나 하는데는 좀 부담스럽기도하고 

최대한 단순하고 비용이 들지 않는 방법이 어떤게 있을까요?

최승연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손광민1 2016-07
단순하며 비용이 들지않는법은 없는거 같구요.
저용량 SSD에 데이타 담아서 폐쇄방 컴터 내부에 장착해버리세요..
송진홍 2016-07
USB를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단순하고 비용이 들어가지 않는 방법일 것 같습니다.
부담스럽다고 하셨는데... 어떤 부분이 부담스러우신 건지요?
보안(바이러스, 악성코드 등)적인 부분인가요?
아님 복사해야할 자료의 용량이 많아서 USB에 넣기가 부담스러우신 건가요?
냐아아아암 2016-07
USB 에 동영상이나 사진파일만 넣는다면 USB 자체가 바이러스에 걸릴 위험이 적은편인가요?  한 컴퓨터가 바이러스 걸린다면 사내 네트워크를 타고 전파가 될거 같아서요.
당근 2016-07
한대를 내부와 외부 겸용으로 사용하시면 될듯 싶습니다.
윈도우 기본 내장된 iis ftp로 정해진 아이피로만 접속 가능하게 설정하시면 됩니다.
아니면 다른 파일서버 클라이언트로 하시던가요.
박문형 2016-07
바이러스는 어떻게 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동영상 /사진에 바이러스가 적게 걸린다는 것은 말이 안되고요.

부팅섹터에도 바이러스는 낄 수 있습니다.
김제연 2016-07
usb 가 되면 폐쇠망이라고 할 수 있나요?
     
박문형 2016-07
엄밀히 보면 아니죠..

컴퓨터에서 사용하지 않는 모든 포트를 다 막아야 하니까요.
냐아아아암 2016-07
여러가지 답변들 감사합니다. 컴퓨터 한대를 더 두고 여기를 거쳐서 가는 방법으로 이용해야할거같네요
회원K 2016-07
dropbox나 구글 드라이브에 넣게 하고, 그것을 sync 시켜버리는 것은 어떨까요?
외부에서 접속하기도 편하고, sync를 하면 관리도 편하구요.
송진홍 2016-07
폐쇠망을 쓰시는 이유가 자료(영상이나 사진)의 유출.. 즉, 보안 때문이라고 한다면
내부망 외부망 겸용해서 사용하시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동입니다.
가급적 현재 상황을 유지하시되, 바이러스나 악성코드에 대한 대책을 세우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냐아아아암 2016-07
중간에 바이러스가 덜 침투하는 편인 Mac 기반의 컴퓨터를 가져다 놓고
USB 자동실행을 금지시킨후 바이러스 체크를 한다음
Mac 을 사내망과 연결하여 자료를 주고받으면 좀 안전할까요?  외부와 연결 고리는 외부 USB를 꽂는 Mac 이 되는건데 ..
     
송진홍 2016-07
USB 혹은 DVD-RW / 블루레이 RW 등을 이용해 보시는 건 어떠실지요? ^^;;
     
냐아아아암 2016-07
USB 가 낫겠네요 DVD 라고해도 파일자체가 감염이 되어있으면 문제가 되지 않을까요
          
송진홍 2016-07
일반적인 방식의 동영상 및 이미지(사진) 파일이라면 악성코드에 감염되지 않습니다.
동영상이나 이미지 파일은 악성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형태의 구조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쉽게 말해서 다른 실행파일에 감염된 악성코드에 의한 피해를 당할 수는 있어도
이미지나 동영상 파일 자체가 악성코드에 감염되어 다른 파일에 피해를 줄 수는 없습니다.
즉, 동영상이나 이미지 파일은 피해자만 될 수 있지 피의자는 될 수 없습니다.^^
백남억 2016-07
닫힌 구조라믄 USB도 안되야 하는게 FM이긴 한데, 자료 갱신이 필요하다면 외부에서 퍼 나르는 수밖에 없겠지요.
USB 말고는 답이 없지 않나 싶은데...
폐쇠망에다가 데이터를 넣을때에는 위에 언급하신것처럼 중간 써버를 두어서 거기에다가 넣고 안전함을 확인후에 다른 승인 절차를 거친다음에 내부 스토리지로 다시 옮기는것이 정상이겠죠...

폐쇠망에있는 무작위의 컴퓨터에서 DVD나 USB 또는 DROPBOX 등등 의 방법으로 데이터를 바로 옮길 수 있다면 그것은 더이상 폐쇠망이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정말 심하게 간다면 데이터를 복사한후에 스테이징 환경에서 안전성을 검사후에 폐쇠망의 스토리지로 다시 옮겨주는데 그전에 폐쇠망의 스토리지는 한번 백업이 되어야 하곘죠...
송진현 2016-07
USB를 사용하면서 자동실행을 막아두고
exe같은것은 가지고 오지 않습니다.. 굳이 필요하다면 코드채로 들고와서 코드를 넣고 컴파일하여 사용합니다..(코드가 안전하다고 생각될경우)
USB는 부팅이 완료된 시점에서만 연결하고
컴퓨터가 꺼지기전에 분리하고..
저장컴퓨터에서는 그 어떠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열어보지 않습니다... 단지 서비스만 운용합니다..

이유.
1. USB부팅이 될경우 시스템에 중대한 보안결함이 생기므로
2. exe같은 실행파일이 실행되면 추적하기 힘들어서..
3. 이미지나 동영상도 취약점을 이용하여 감염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고로 데이터 체크는 다른 컴퓨터에서 합니다.)
한판에50원 2016-07
크기가 크지 않으면 핸드폰에 넣었다가 블루투스로 보낼수도 있습니다


QnA
제목Page 2333/5728
2015-12   1781497   백메가
2014-05   5256554   정은준1
2010-10   8951   김종민
2015-01   9392   캡틴아메리카노
2016-03   4254   최시영
2018-05   3653   cclim
2020-09   3097   신은왜
2013-09   5213   왕용필
2015-01   4497   에핑
2022-03   1485   화란
2023-11   6186   vorxn
2010-11   9480   가빠로구나
2013-09   5368   해피버그
2019-07   3446   차이하네
2013-09   27149   포카
2013-09   6830   classiccha
2020-10   3230   안형곤
2013-09   12539   윤치열
2017-03   5358   여주농민76
2019-07   4762   준바이
2023-11   1859   조진석
2010-12   9466   불무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