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맑은여름입니다.
회원님들께 항상 도움 많이 받고 있습니다. 제가 좀 덤벙대고 까불까불 해서 케릭터가 좀 그렇긴 한데 ^^;; 오늘은 진중한 질문 좀 회원님들께 드려볼까 합니다.
제 직업은.. 뭐 이제는 다들 아시겠지만, 주얼리 산업에 종사하고 있고.. 다이아몬드의 수출입에 부친때부터 근 40여년을 이끌어 왔습니다.
저희 업종의 특성 때문에, 경기의 흐름을 가장 민감하게 느끼는 편인데, 주얼리/보석 이라는 분야가 사치성 소비재로 인식이 되는지라.. 경기의 호황을 가장 늦게 느끼고, 경기의 불황을 가장 빨리 느끼는 편입니다.
의/식/주 에 관련된 업종의 경우, 경기가 좋거나 나쁘거나 꼭 필요한 부분인지라 그 반응이 그리 빠르지는 않지만, 보석? 이라는 것은 경기가 좋아지고, 돈이 좀 풀리면서 여유들이 있어야 그제서야 한번 사볼까? 선물 한번 해 볼까? 이렇다 보니, 저희의 호황 사이클은 상당히 짧은 편입니다.
저야 그나마 최상위 도매업이고, 소매점들이 주 고객이다 보니 그나마 근근히 버티는 정도죠....
음.. 사족 하구요.. ㅎㅎㅎ
젊을 때 텍스트 머드에 한참 빠져서, 그쪽에서 일도 좀 해봤고, 대학 졸업후에는 대기업 연구소에서 잠시 몸을 담았던지라, IT/WEB 관련하여 어느정도의 지식은 가지고 있는 편입니다.
현재도 운영하고 있는 다이아몬드뱅크 사이트의 경우 1999년도에 “젬스웨이” 라는 사이트로 시작하여 지금까지 운영해 오고 있긴 한데, 주얼리 라는 것을 접목 시킨다는 것이 상당히 많이 힘들더라구요.
한 4년전부터 저희 업종이 더욱 악화? 될 것으로 예상하고 새로운 무언가를 찾아보자 준비하고 신중하게 고심 끝에 작년에 새로운 법인을 설립 하였습니다.
주식회사 보석나라 http://www.bosuknara.com 입니다.
현재 저희 업종내 온라인으로 광고를 하여 제품을 판매 하는 업체들의 경우, 인터넷 마케팅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들어가는 편입니다. 또한 오픈마켓과 기타 업체에 내는 수수료 또한 높아서 제품의 판매단가를 높이는데 상당한 일조를 합니다.
부가가치가 높으면 그런 수수료를 지불하고도 아무 상관이 없겠으나, 저희 업종의 부가가치는 상당히 낮은 편입니다. 도매상인 신고율은 8% 이나, 실제 2~3% 마진이 힘들고, 소매점의 경우도 신고율은 18%~24%에 달하나 실제 마진률은 그 보다 현저하게 낮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폐단을 없에고, 무료로 소비자들에게 직접 홍보하고, 주얼리 라는 특수성이 있으니 소비자들을 직접 찾아오게 만들어 보자! 하여 설립한게 “보석나라” 인데.. ㅎㅎ 이게 아무래도 쉽지는 않네요.
이러한 배경 설명을 드리는 이유는, 올해 또 한번의 업그레이드를 하기 위해서 새로운 아이템을 접목하기 위해서 인데요..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주얼리와 VR을 접목하여, 소비자와 각국의 수입업자들에게 온라인상으로 간편하게, 그리고 리얼하게 주얼리 또는 보석을 보여주는 서비스를 보석나라에 접목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래서 2016년 남은 기간동안 테스트용 서버를 운영을 해보려고 합니다.
오늘 KT 오피스IP팩을 신청하여 고정1, 유동1을 설치할 예정입니다. 고정은 Z820에 할당하여 NS, WEB, Email, DB을 가상서버로 돌릴까 하는데..
여기서 고민이 생겼습니다.
* 테스트용 워크스테이션
- Z820 : 2670 * 2, 128G, SSD 256, SSD 160, HDD 2T * 2
* 서버 가상화와 관련하여..
1. 윈도우에서 VMware를 이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할 것인가?
2. ESXi 에 각각의 VM을 올려서 테스트를 진행할 것인가?
* VR 관련 운영체제와 플랫폼은 무엇을 택하는게 좋을것인가
1. 윈도우 내 유니티를 이용한 VRML 이 편할것인가?
2. 리눅스 내 Steam VR SDK를 이용하는 것이 좋을것인가?
3. 구글의 Daydream을 연구하고 이용할 것인가?
많은 문제점이 산제해 있지만, 일단은 위의 것들이 가장 시급하네요. ㅎㅎ 특히나 VR 이쪽은 전문분야가 아닌지라, 올해에는 대학원도 다시 들어가려고 합니다. 지금해도 늦었다가 아니라, 늦은 지금이라도 어느정도의 전문지식은 가지고 있어야 살아 남을 듯 해서요.
VR 관련 기술과, Sendmail 또는 기타 SMTP 전문가 분들의 도움도 많이 필요합니다. 아직은 부족하지만 영입도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으니, 많은 조언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잘 아시는 분들에게는 별것 아닐수도 있는 문제인데.. 막상 제 수준에서는 상당히 심각한 고민거리네요.. ^^;; 좋은 주말들 되십시오~!!
그럼 나열하신 것들을 하나하나 다 해보시는건 어떨까요 ?
VM웍스는 데탑용으로도 쓸 수 있는대신 각각의 vm들의 성능이 조금 약한 감이 있으며
Esxi는 반대로 본격적인 vm들의 활용이 가능하지만 대신 철저하게 서버용으로만 (데탑용x)사용 가능합니다.
그래도 이것저것 직접 해보시는게 낫고요.
제 생각에 테스트 시점에선 궂이 오피스ip팩이 필요없지 않나 싶습니다.
실서비스 한다고 해도 해당 건물이 최근 정전이 언제 되었나 확인하셔야겠지만
상용idc라도 ups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습니다.
서버는 조립하더라도 안정성을 생각하면 코로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시는게 어떨까 합니다.
질문이 조금 포괄적이라 일당 생각나는것만 말씀드렸습니다 ㅎㅎ
1. 테스트 이긴 하나, 취미개념으로 접근은 아닙니다. 실사에 이용할 목적이므로 더더욱 조심스럽게 접근하고 있습니다.
2. 고정 IP 를 사용하는 목적은 NS 를 돌리면서, 메일서버내 수정된 소켓의 내외부망 테스트가 필요해서 입니다. 내부 인트라넷망을 구축하여 유동IP를 통해서도 충분히 가능하나, 아무래도 실사용이다보니 환경을 조성해주고 싶었습니다.
3. 아무대로 정식으로 서비스 하기 위해선, 호스팅 또는 코로케이션 서비스가 필요하겠지요. 그전에 테스팅용은 오히려 오피스팩이 저렴하더라구요.
4. ESXi 가 좀더 마음이 쏠리는게 사실 입니다만.. 윈도우내 VMware가 들어엎고 사용상 편의성과, 백업등이 좀더 유리함이 있더라구요.
5. 막상 적다 보니, 질문이 포괄적으로 바뀌더라구요.. 하아.. 이래서 국어를 잘해야 하는데.. 다음번 질문은 주제를 딱 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좋은 하루 되시고, 행복한 주말 되십시요 ^^
고객들이 지속적인 유입이 가능하고 유대를 가질 수 있는 네이버카페 등을 같이 운영하고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작업이 있었어야 합니다.
단순히 나는 쇼핑몰. 너는 고객. 이런 컨셉으로 간다면 무슨 기술을 쓰던 어떤 방법을 하던 트래픽이 일어나지 않을거 같습니다.
웹사이트를 리워드로 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sns 또는 블로그를 통해서 매출을 만들어주는 사람들에게
매출의 일부를 지급하는 형태로 마케팅 비용을 후불화 하는 것이죠.
보석디자인 공모전을 열어서 대학생 디자이너 브랜드도 만들주고 하면서
트래픽을 유발할 방법을 찾으시면 될거에요.
tech-based 기업이 아니라서 너무 기술 고민은 하셔야 의미 없고
aws 같은 클라우드를 쓰시는 것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
email은 gmail 같은 api로 하구요.
요는 버텨야 한다는거고, 업계를 선도 해야 한다는 것이죠.. ㅎㅎ
SMTP 의 경우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어서 그렇구요 ^^
처음부터 가상화를 충분히 이용하고 VR도 충분히 이용하여 최대한의
역량을 발휘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사용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입니다.
맑은 여름님이 직접 개발/운영할 계획이신 것 같은데 경험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일단 가상화로 서버를 운영해 보시고 또 VR도 구축해 보시고 결합도 해보시구요.
테스트하실 때는 테스트용 시스템을 준비하시구요
기술이 완성되었을 때 서비스용 시스템을 준비하시면 좋지 않을까요
나름대로의 의견을 드려봅니다.
VR의 경우, 기 제작되어진 제품을 트랙킹 기법을 이용하여 JPG 내지는 동영상 화 하여, 유니티 등에서 3D 입체로 띄어주는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귀한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좋은 저녁 되시기 바랍니다
(비용도 의외로 크지 않습니다. 소주 한병 덜 먹는정도)
발송용 SMTP 는 직접 운영하는 것도 나쁘진 않지만, 각 포털과 RBL 등을 챙겨야 하는 이슈가 있어서 구성보다 운영에서 많은 리소스가 발생할 것으로 보이며.
초반 테스트는 내부에서 가볍게 VMware workstation 등으로 하셔도 무방하지만, 프로덕션 환경으로 갈 때는 장비 구매/회선/상면 비용 대비 클라우드서비스를 잘 계산해서 움직이셔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 구성하려 하시는 환경을 프로덕션 환경에서도 테스트 환경으로 놓고 움직이면 딱 좋을것으로 보입니다)
아마존 웹서비스를 요새는 많이 사용하나보지요? 한번쯤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초반 테스트를 제대로 한뒤 정식으로 오픈할때에는 전문가 분들에게 맡기는것이 최상의 방법 일것으로 생각합니다.
많은 도움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