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5622 |
0 |
2014-05
5265622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0620 |
25 |
2015-12
1790620
1 백메가
|
68582 |
윈도우서버의 원격데스크탑과 윈도우10의 원격데스크탑의 차이점 (1) |
느낌 |
2017-02 |
5677 |
0 |
2017-02
5677
1 느낌
|
68581 |
라벨 프린터 문의 드립니다. (8) |
묵도리 |
2023-10 |
1470 |
0 |
2023-10
1470
1 묵도리
|
68580 |
모니터용 패널과 TV용 패널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5) |
김효수 |
2010-09 |
14549 |
0 |
2010-09
14549
1 김효수
|
68579 |
저렴하게 전기와 랜을 쓸 수 있는 환경 있을까요? (12) |
Zer0 |
2023-10 |
2189 |
0 |
2023-10
2189
1 Zer0
|
68578 |
이 게시물의 패스워드를 입력해 주세요 (4) |
조효근 |
2016-03 |
3659 |
0 |
2016-03
3659
1 조효근
|
68577 |
전용면적 60m2은 예전 아파트 24평 인가요? (11) |
뽀뽀중 |
2018-05 |
24123 |
0 |
2018-05
24123
1 뽀뽀중
|
68576 |
이런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선확장기 있을까요? (4) |
머라카는데 |
2022-03 |
2125 |
0 |
2022-03
2125
1 머라카는데
|
68575 |
애플 led cinema 혹은 imac 구입 조언이 필요합니다. (6) |
김승권 |
2010-09 |
8539 |
0 |
2010-09
8539
1 김승권
|
68574 |
서버보드에 PCI-e x16 개조장착 성공했습니다. (4) |
다인아빠 |
2010-09 |
8780 |
0 |
2010-09
8780
1 다인아빠
|
68573 |
장치관리자에서 에러가 나는 장치가 하나 있는데 드라이버를 어디서 찾아야 할까요? (2) |
모토토 |
2019-06 |
4370 |
0 |
2019-06
4370
1 모토토
|
68572 |
서버 메인보드에 usb 3.0 카드를 달고 싶은데 공간이 협소하네요 (3) |
강한구 |
2019-06 |
3355 |
0 |
2019-06
3355
1 강한구
|
68571 |
최신 SSD 사용시 옵테인을 함께 사용하는게 더 빨라지나요 의미가 없나요 ? (5) |
민사장 |
2020-09 |
3225 |
0 |
2020-09
3225
1 민사장
|
68570 |
보드교체 (5) |
미담 |
2015-01 |
4139 |
0 |
2015-01
4139
1 미담
|
68569 |
사무실에서 고정IP 인터넷 쓰기 (9) |
나파이강승훈 |
2017-02 |
6856 |
0 |
2017-02
6856
1 나파이강승훈
|
68568 |
LSI 9750-8i 에 윈도우에서 사용하던 하드를 바로 연결할 수 있나요? (2) |
턱주가리아 |
2016-03 |
4160 |
0 |
2016-03
4160
1 턱주가리아
|
68567 |
일반 키보드에있는 F1 ~ F12까지의 기능키를 사용자가 기능을 등록해서 쓸수없나요? (1) |
김건우 |
2010-10 |
6877 |
0 |
2010-10
6877
1 김건우
|
68566 |
창문형 에어컨 설치 / 샤시 공사 관련 문의드립니다. (1) |
Psychophysi… |
2018-05 |
5919 |
0 |
2018-05
5919
1 Psychophysi…
|
68565 |
HP N36L 에서 레이드 된 하드를 N54L 에서.. (1) |
김수철0 |
2013-08 |
7282 |
0 |
2013-08
7282
1 김수철0
|
68564 |
구형 DELL PRECISION 370 -> 일반케이스 이식 가능할까요? (2) |
김동환 |
2015-01 |
7469 |
0 |
2015-01
7469
1 김동환
|
68563 |
노트북의 ODD를 떼고 하드디스크를 넣는 파트를 찾고있습니다. (3) |
최동민 |
2010-11 |
9870 |
0 |
2010-11
9870
1 최동민
|
당연 그 부분을 읽을 때 퍼포먼스가 저하됩니다. 예를 들어 0~240까지의 섹터가 있고 240~255까지가 여분섹터라고 가정하면,
23이 치환된 섹터라고 가정했을 때 [22-23-24-25] 이렇게 읽을 경우, 정상의 경우 Sequencial로 읽을 수 있지만(헤드를 정위치 놓고 디스크를 스핀~),
치환된 경우 [22, 23(240), 24,25] 이렇게 헤드가 왔다갔다 해야 하거든요.
하드디스크 배드섹터의 경우 두가지인데,
논리적인 배드: 물리적인 손상은 없으나, 어떤 이유에서든지 OS가 일정 범위 이상으로 기록,읽기를 실패해서 배드로 기록한 경우 (복원가능, 증식없음)
물리적인 배드: 플러터에 물리적인 손상이 일어남. (복원불가능, 무한증식)
물리적 배드의 경우 최대한 빠르게 교체해야 합니다.
내부에 플러터 파편이 날라다니며 고속으로 회전하는 플러터를 열심히 긁고 있기 때문에 배드는 계속 늘어나고, 하드디스크가 어느 순간 인식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치환된 섹터수치가 높다고 하시는 것을 보니 물리배드로 추측되며, 계속 늘어날겁니다.
얼른 백업하시고, 최대한 빠르게 바꾸세요.
배드는 하나 생기는 순간 지속적으로 증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