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환된 섹터 수치 문의

   조회 4718   추천 0    

안녕하세요. 노트북 하드를 크리스탈 돌려보니

치환된 섹터 수치가 좀 높게 나오네요. 98?


치환되어서 현재 hdd 운영에는 문제 없어서 주의 정도 체크 되는데

그래도 노트북에 쓸 하드라 이 치환된 섹터로 인해서 디스크 성능이나

프리징 가능성이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무조건 신품 교체하면 되겠지만 그정도 사정이 안되니 가능한한 최대한 써보려고 합니다.

노트북은 서브노트북이라 중요자료는 없고 인터넷 서핑정도 할겁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PiPPuuP 2016-08
하드디스크에서 치환된 섹터는 배드섹터 등의 이유로 사용불능이 된 섹터를 여분의 섹터영역에서 바꿔치기 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당연 그 부분을 읽을 때 퍼포먼스가 저하됩니다. 예를 들어 0~240까지의 섹터가 있고 240~255까지가 여분섹터라고 가정하면,
23이 치환된 섹터라고 가정했을 때 [22-23-24-25] 이렇게 읽을 경우, 정상의 경우 Sequencial로 읽을 수 있지만(헤드를 정위치 놓고 디스크를 스핀~),
치환된 경우 [22, 23(240), 24,25] 이렇게 헤드가 왔다갔다 해야 하거든요.

하드디스크 배드섹터의 경우 두가지인데,
논리적인 배드: 물리적인 손상은 없으나, 어떤 이유에서든지 OS가 일정 범위 이상으로 기록,읽기를 실패해서 배드로 기록한 경우 (복원가능, 증식없음)
물리적인 배드: 플러터에 물리적인 손상이 일어남. (복원불가능, 무한증식)

물리적 배드의 경우 최대한 빠르게 교체해야 합니다.
내부에 플러터 파편이 날라다니며 고속으로 회전하는 플러터를 열심히 긁고 있기 때문에 배드는 계속 늘어나고, 하드디스크가 어느 순간 인식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치환된 섹터수치가 높다고 하시는 것을 보니 물리배드로 추측되며, 계속 늘어날겁니다.
얼른 백업하시고, 최대한 빠르게 바꾸세요.
이규섭 2016-08
1개라도 생기는 순간 자료 백업해야 합니다
배드는 하나 생기는 순간 지속적으로 증가합니다.


QnA
제목Page 2301/5730
2014-05   5265622   정은준1
2015-12   1790620   백메가
2017-02   5677   느낌
2023-10   1470   묵도리
2010-09   14549   김효수
2023-10   2189   Zer0
2016-03   3659   조효근
2018-05   24123   뽀뽀중
2022-03   2125   머라카는데
2010-09   8539   김승권
2010-09   8780   다인아빠
2019-06   4370   모토토
2019-06   3355   강한구
2020-09   3225   민사장
2015-01   4139   미담
2017-02   6856   나파이강승훈
2016-03   4160   턱주가리아
2010-10   6877   김건우
2018-05   5919   Psychophysi…
2013-08   7282   김수철0
2015-01   7469   김동환
2010-11   9870   최동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