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5159 |
0 |
2014-05
5255159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0087 |
25 |
2015-12
1780087
1 백메가
|
68960 |
모니터를 통해서 노트북을 충전할 수 있나요?? (6) |
공백기 |
2021-08 |
6966 |
0 |
2021-08
6966
1 공백기
|
68959 |
Scsi 장비란 원래 인식이 느리고 쓰기 불편하라고 만든건가요??? (13) |
병맛폰 |
2012-10 |
6268 |
0 |
2012-10
6268
1 병맛폰
|
68958 |
usb 연결이 꼬일때 어떻게 해야 합니까???? (3) |
병맛폰 |
2012-10 |
4948 |
0 |
2012-10
4948
1 병맛폰
|
68957 |
10g 네트워크 구성 질문드립니다. (5) |
이준용 |
2020-04 |
3292 |
0 |
2020-04
3292
1 이준용
|
68956 |
어떤 서버가 Maria DB운영에 적합할까요? (4) |
두리안 |
2016-10 |
4826 |
0 |
2016-10
4826
1 두리안
|
68955 |
FirebirdSQL을,,, MySQL대체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성능/기능이 떨어질까요? (12) |
영원한혁신 |
2012-11 |
11650 |
0 |
2012-11
11650
1 영원한혁신
|
68954 |
winamp 2.80 VS billy 리소스 적게먹는 프로그램은??? (9) |
어훕 |
2009-09 |
6960 |
0 |
2009-09
6960
1 어훕
|
68953 |
아크릴 - 알루미늄 접착방법 (11) |
컴박 |
2021-09 |
4044 |
0 |
2021-09
4044
1 컴박
|
68952 |
포맷 도중 최초의 경험... 도와주세요.. (15) |
여주농민76 |
03-20 |
860 |
0 |
03-20
860
1 여주농민76
|
68951 |
D945GCLF2 의 CPU 쿨러 (4) |
차평석 |
2009-10 |
7009 |
0 |
2009-10
7009
1 차평석
|
68950 |
이 서버보드 파워는 어덯게 끼우는건가요?? (10) |
bigmaster |
2015-11 |
5581 |
0 |
2015-11
5581
1 bigmaster
|
68949 |
윈도우8.1 구매 관련 (5) |
씨형 |
2014-08 |
6793 |
0 |
2014-08
6793
1 씨형
|
68948 |
pfsense 인터넷 속도 제한(feat.proxmox) (8) |
ddabonge |
03-30 |
436 |
0 |
03-30
436
1 ddabonge
|
68947 |
케이스에 메인보드 장착시 나사가 헛도는 사태의 해결책을 찾습니다. (6) |
머리속지우개 |
2009-10 |
21409 |
0 |
2009-10
21409
1 머리속지우개
|
68946 |
무선랜 구축 질문 (3) |
슬픈컴알못 |
2021-10 |
2582 |
0 |
2021-10
2582
1 슬픈컴알못
|
68945 |
win8 > hyper-v > win8의 경우, 라이센스 몇개가 필요한지요? (5) |
나현근 |
2014-08 |
3890 |
0 |
2014-08
3890
1 나현근
|
68944 |
LSI 9211-8i it 펌웨어로 쓰던 사타하드를 일반 메인보드 사타칩셋에 붙여도 되나요? (2) |
맙소사 |
2016-11 |
4323 |
0 |
2016-11
4323
1 맙소사
|
68943 |
superdoctor 질문있습니다. (2) |
jabez033 |
2013-01 |
5752 |
0 |
2013-01
5752
1 jabez033
|
68942 |
용산박스파는곳 (8) |
양시열 |
2018-01 |
8462 |
0 |
2018-01
8462
1 양시열
|
68941 |
i3-4160T 같은 저전력 CPU가 호환성이 좀 떨어지는 경우가 있나요? (인텔 ME 펌웨어 … (14) |
화정큐삼 |
2020-05 |
8285 |
0 |
2020-05
8285
1 화정큐삼
|
각종 보안 설정부터 하셔야 합니다.
예를들면 SSH 는 특정 아이피만 접속 가능하게 한다던지...
모든 네트웍에서 접속이 되도록 오픈해 놓으시면 지속적인 접근 시도가 들어 옵니다,
수고 하시구요..
필요 없다면 저거만 제거해도 외부에서 관리포트를 통한 공격은 불가해 집니다.
vmnic1, vmnic2 가 공인 vlan 에 들어있는 구성으로 보이기 때문에, GUEST 에서만 공인 IP 사용하시면 됩니다.
( vmk1, vmk2 가 다른 통신이 필요 없다면, 인터페이스 자체를 제거하시면 됩니다)
혹시 이해를 돕기위한 기술문서나 사이트가 있을까요?
vmkernel 네트워크를 제거하시면 됩니다.
ㅎ
vmkernel네트워크는 ESXi호스트(즉 가상화서버)에 할당하는 포트입니다.
대부분 관리용이나 HA구성,vMotion용으로 사용합니다. 따라서 굳이 외부망에서 직접적으로 ESXi에 접속할 일이 없다면 할당하지 않는게 기본입니다.
그리고 외부망에서 꼭 접속해야 되는 경우라면 방화벽을 두거나 현재 구성이시라면 iptime 에 있는 vpn서버 기능을 이용해서 192.168.0.0 네트워크로 연결할 다음 관리를 하시면 됩니다.
VM 이 고정IP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그냥 vmswitch에 외부망과 연결된 nic을 할당하시고(현재상태라면 vmnic1,2) 그냥 가상머신(VM) 추가하신 다음에 VM에 직접 고정아이피를 주시면 됩니다
vmswtich 는 실제 물리적인 스위치(허브)역할을 하신다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되실 겁니다.
vmware 의 네트워크는 복잡하게 보이지만 그냥 물리적인 랜카드----가상스위치---가상머신 이렇게 연결된다고 보시면 이해가 쉬우실 겁니다.
용어들이 틀리고 지원하는 기능의 차이는 조금씩 있지만 hyper-v나 기타 다른 가상화 시스템도 비슷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