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Xi 이벤트 문의 드립니다.

   조회 6172   추천 0    

안녕하세요~ 맑은여름 입니다.

요새 잘 돌아가지도 않는 머리 붙들고 ESXi 와 씨름하고 있습니다.

Z820에 ESXi 6.0 을 설치하고 하기와 같이 네트워크를 구성 하였습니다.

vSwitch0 은 입타임 공유기를 통한 내부망

vSwitch1 과 vSwitch2 는 외부에서 직접 들어오는 고정 IP 입니다.

설치하고, CentOS 설치하고, 이것저것 만져보고 다시 또 들어엎고..

오늘은 구성하다 이상하게 로그인도 느려지고 해서 이벤트를 쳐다 봤는데요..

dcui@127.0.0.1 사용자가 로그인하였다는 표시가...

ESXi의 사용자로 등록은 되어 있던데.. 이놈이 대체 무엇인가요??

 



그리고 지금까지 총 25번의 실패한 로그인 시도가 나오는데.. 

저것이 그 말로만 듣던 자동으로 돌리는 해킹 인가요??


이거 설치하자마자 저렇다면.. 후덜덜 한데요...

또한 해킹 시도가 맞다면, 어떻게 대처를 해야 할지요??

잘몰라서 여쭈어 봅니다. 꾸벅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향촌 2016-08
ESXI 설치 후 제일먼저 하게되는 작업이 구성 - 보안프로파일에서
각종 보안 설정부터 하셔야 합니다.
예를들면 SSH 는 특정 아이피만 접속 가능하게 한다던지...
모든 네트웍에서 접속이 되도록 오픈해 놓으시면 지속적인 접근 시도가 들어 옵니다,
수고 하시구요..
     
맑은여름 2016-08
하아~ 그럼 내부망에서만 들어오게 설정을 해야 겠군요.. vSheper 클라이언트도 다 막으면 외부망 에서는 어떻게 접근을 할지 ㅜㅜ
파닥파닥 2016-08
vmk1, vmk2 에 공인 IP를 할당하신 듯 한데, 반드시 필요한 부분인가요
필요 없다면 저거만 제거해도 외부에서 관리포트를 통한 공격은 불가해 집니다.
     
맑은여름 2016-08
네임서버와 각각 독립된 사이트를 돌리기위해 위와같이 설정 하였습니다. 잘못 구성한걸까요?
          
파닥파닥 2016-08
네, vmk0 을 통해서 내부에서만 관리용 접속을 하시면 됩니다.
vmnic1, vmnic2 가 공인 vlan 에 들어있는 구성으로 보이기 때문에, GUEST 에서만 공인 IP 사용하시면 됩니다.

( vmk1, vmk2 가 다른 통신이 필요 없다면, 인터페이스 자체를 제거하시면 됩니다)
               
맑은여름 2016-08
관리는 vmk0 으로만 하라는것은 이해 했습니다. 그런데 네트웍 카드를 아예 제거하라는것은 이해가... 그리고 GUEST에서만 공인 IP라는것도 이해가..
혹시 이해를 돕기위한 기술문서나 사이트가 있을까요?
                    
파닥파닥 2016-08
vswitch1, vswitch2 에 연결된 GUEST VM 에서 각자 IP 할당해서 쓰시면 됩니다 (GUEST OS 내에서)

vmkernel 네트워크를 제거하시면 됩니다.
                         
맑은여름 2016-08
고맙습니다. 이제 좀 이해가 갑니다. 커널을 설치해주지 않으면 ip 할당이 안되기에 위와같이 설정 하였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root 아이디를 제거하시고, admin 계정의 다른 id를 생성해서 사용하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맑은여름 2016-08
root id 는 Esxi 설치 하자마자 권한 막아 버렸습니다. 저기 위에 dcui 가  스스로? 접속을 했다는것이 마음에 걸립니다
          
송지만 2016-08
dcui는 신경쓰실 필요가 없으십니다... 이미 접속 아이피 127.0.0.1은.. 그냥 랜카드 자신 입니다..
위에서 파닥파닥님께서 설명을 해주셨는데 추가하자면
vmkernel네트워크는 ESXi호스트(즉 가상화서버)에 할당하는 포트입니다.
대부분 관리용이나 HA구성,vMotion용으로 사용합니다. 따라서 굳이 외부망에서 직접적으로 ESXi에 접속할 일이 없다면 할당하지 않는게 기본입니다.
그리고 외부망에서 꼭 접속해야 되는 경우라면 방화벽을 두거나 현재 구성이시라면  iptime 에 있는 vpn서버 기능을 이용해서 192.168.0.0 네트워크로 연결할 다음 관리를 하시면 됩니다.
VM 이 고정IP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그냥 vmswitch에 외부망과 연결된 nic을 할당하시고(현재상태라면 vmnic1,2) 그냥 가상머신(VM)  추가하신 다음에 VM에 직접 고정아이피를 주시면 됩니다
vmswtich 는 실제 물리적인 스위치(허브)역할을 하신다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되실 겁니다.
     
맑은여름 2016-08
아~ 그렇다면 vmswitch0 은 호스트로만 사용하고 새로 생성하는 vmswitch1은 vmkernel 설치할 필요 없이 nic1 2 만 할당해주고, 각자의 vm1vm2 vm3 를 설치후 직접 vm내부에서 ip를 할당해 주라는 말씀 이군요. 너무 감사드립니다.
          
네 맞습니다.
vmware 의 네트워크는 복잡하게 보이지만 그냥  물리적인 랜카드----가상스위치---가상머신  이렇게 연결된다고 보시면 이해가 쉬우실 겁니다.
용어들이 틀리고 지원하는 기능의 차이는 조금씩 있지만  hyper-v나 기타 다른 가상화 시스템도 비슷합니다.
               
맑은여름 2016-09
잘 돌아가고 있습니다. 해피합니다. 서버 2대 공인아이피 설정해서 잘 돌아갑니다. 이제 백업서버만 꾸리면 될듯 합니다


QnA
제목Page 2280/5727
2014-05   5255159   정은준1
2015-12   1780087   백메가
2021-08   6966   공백기
2012-10   6268   병맛폰
2012-10   4948   병맛폰
2020-04   3292   이준용
2016-10   4826   두리안
2012-11   11650   영원한혁신
2009-09   6960   어훕
2021-09   4044   컴박
03-20   860   여주농민76
2009-10   7009   차평석
2015-11   5581   bigmaster
2014-08   6793   씨형
03-30   436   ddabonge
2009-10   21409   머리속지우개
2021-10   2582   슬픈컴알못
2014-08   3890   나현근
2016-11   4323   맙소사
2013-01   5752   jabez033
2018-01   8462   양시열
2020-05   8285   화정큐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