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크로틱 스위칩의 ACL에 관해

김은호   
   조회 4401   추천 0    

 스위치에 관해 알아보면서 ACL이란 것을 접했는데요, 이게 보통 라우터/공유기의 패킷필터링을 CPU가 처리하는 게 아니라 스위치칩(물론 이것도 일종의 스위치용 CPU같은데..) 차원에서 처리하여 라우팅성능저하를 유발하지 않고 포트 본연의 속도로 처리가 가능하다고 이해했습니다. 

여기서 질문인데요, CRS2xx 스위치에서는 ACL기능이 L4까지 포워딩/드랍 등을 지원하는 것 같은데 CCR1009나 RB3011에서는 이런 기능까지는 지원이 안되는건가요? 설명을 보니까 참 좋은 기능같아보이는데 CCR1009에서는 커맨드라인에서도 기능이 많이 보이지 않고, CRS장비가 없어서 감이 잘 안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건 2016-09
스위치 기능이 있기는 한데, CRS의 ACL항목은 없습니다.(MAC 차단 기능 정도는 있습니다.)
CPU를 잡아먹겠지만, Bridge필터로 비슷하게 쓸수는 있겠네요.

참고로 CCR1009 시리즈를 제외하고, 다른 CCR제품에는 CPU직결 방식이기 때문에 스위치칩이 들어있지 않습니다.
CCR1009시리즈도 Group1이라고 적혀있는 포트만 스위치칩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김은호 2016-09
아 아쉽네요..그 달려있는 그룹1 스위치의 기능을 좀 써볼까 했는데 아쉽더라고요.


QnA
제목Page 2265/5728
2014-05   5256806   정은준1
2015-12   1781751   백메가
03-12   800   불멸의샌디…
03-15   824   JanDrk
2021-09   6978   N0name
2023-04   4720   금천동가성비
2015-11   4291   최시영
2020-05   2096   켄틀리12
2012-12   7361   황혼을향해
2019-03   3980   캔위드
2015-12   3509   윈도우10
2021-09   4369   강민준1
2012-12   7519   김건우
2015-12   4499   김건우
2012-12   5632   황혼을향해
2016-11   4963   김윤술
2020-05   4820   지누짜응
2023-05   1913   꾸비
2020-05   5406   이충욱blue
2015-12   4497   KDHNOVA
2009-11   8584   미소찍사
2013-01   5881   이태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