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호스팅으로 넘어가야할까요?

도우리   
   조회 4494   추천 0    

안녕하세요. 서버호스팅 알아보다가 여기까지 오게되었습니다.

기존에 쿨엔등의 하드웨어 관련 커뮤니티를 이용하면서 간간히 링크따라 들려서 글 몇개 읽은적은 있는데 이런 곳인줄은 몰랐네요.

알았더라면 진작에 가입했을텐데... 그동안 물어볼곳도 없고 구글링에 의지해 독학해왔네요.


쇼핑몰 운영중입니다. 처음엔 카페24에서 월 500원짜리 웹호스팅으로 시작했네요. 트래픽이 늘어감에 따라 상위등급으로 계속 업글해왔습니다.

그러다 메모리가 좀 부족한것 같아 늘리려다보니 지금같은 상황에선 서버호스팅이 훨씬 저렴한걸 알게 되었습니다.

물론 서버호스팅은 관리할게 더 많지만 그것도 처음 셋팅할때만 해주면 그 후엔 건드릴 일이 거의 없으니까요. (..맞죠?)

지금까지 월 12만원씩 냈다고 카페24에서 뭘 더 해준것 같지도 않구요.



정리해보자면

1. 월 누적 트래픽사용량 약 200G. 최근 한달 5분단위 최대값= 23.3 Mbps , 5분단위 평균 트래픽의 3배= 1.6 Mbps.
   순간트래픽 200*1024/30/24/60/60*8= 0.63 Mbps.

2. DB상 동접자 최대 30명 (올해안 50명까지 기대)

3. 현재, 클럭·모델명 알수없는 쿼드코어 + 4GB + 120GB SSD 단독웹호스팅에 월 12만원 지불중. php5.2 + mysql 5.1 버전 고정은 덤.

4. E3-1230 (3.20GHz), DDR3 8GB, SSD 240GB + SATA3 1TB = 월 75,000원. 무약정임대. OS설치포함.

5. E3-1230v5 (3.4GHz), DDR4 16GB, SSD 240GB (OS) + NVMe SSD 400GB (DATA) + SATA 1TB = 월 115,000원. 무약정임대. OS설치포함.

6. 서버를 구매하려면 어느정도 급을 구매해야 하는지?

CPU: 카페24 관리메뉴에선 최근 한달간 사용률이 10% 이상 올라간적 없음.
SSD: 홈페이지 데이터 + DB 총 5GB. 따라서 큰 용량 필요없고 DB성능위해 SSD로. 레이드1로 안전하게 했으면 좋겠지만 SSD는 레이드1로 할 경우 TRIM이 안된다는데 그럼 어떻게 미러링을 하는지? 사실 쇼핑몰이라 잦은 백업은 필요없음. 하루 한번 스크립트로 HDD로 보내도 되고 개인PC로 다운받아도 됨.
RAM: 하는김에 32GB 달았으면 하는데 16GB랑 차이를 못느낄것 같네요. 16GB로도 동접 100까지 커버가능하다면 굳이 32GB 안달아도 될듯 싶네요.
사실 이 부분은 견적게시판에 적어야하는것 같으니 굳이 답변 안해주셔도 됩니다.


서버관리는 전혀 할 줄 모르는 상황인데 (ls , rm , ps , kill , vi , tar , chmod 정도만 쓸줄 암) 그래도 코로케이션 받는게 나으려나요?

아니면 그냥 4번정도로 서버호스팅 받는게 나으려나요? 코로케이션이 1u당 7.5만원이라 4번수준의 서버라면 따로 구매안하고

그냥 저걸로 임대하는게 코로케이션 비용만 내고 서버는 무상대여하는 셈이네요. 근데 8GB가 금방 부족해질것 같아서요.

일단 4번 쓰다가 메모리 부족해지면 5번으로 갈아타는게 나을지.. (서버이전작업 필요..)

아니면 서버가 150만원정도하는거면 최소 2년사용 봤을때 150/24 + 7.5하면 코로케이션비용 합쳐도 13.5만원 선이고 후에 중고처분하면 실부담은 훨씬 줄어드니 5번정도 성능이 150만원으로 맞춰진다면 4번이나 5번 임대보단 서버 사서 코로케이션이 나은것 같기도 하구요.


어디 주위에 물어볼 사람이 없어서.. 요즘 하고 있는 고민 주저리주저리 올려보았네요.

선배님이 보시기엔 어떻게 하는게 나을지 조언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4시간 걸려서 쓴 글이에요...ㅠㅠ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준연 2016-09
서버호스팅이나 코로케이션은 서버 관리 및 프로그래밍에 대해 무지한 경우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운영체제 설치나 쇼핑몰 데이터 이전, 보안 문제 해결같은 것을 해주지 않거나 별도 계약으로 비용을 청구하는 경우가 많아 오히려 비용이 늘기 때문입니다. 직접 서버를 넣고 직접 관리를 하는 것이 원칙인 코로케이션은 아예 논외 사항이며 서버호스팅이라면 이러한 관리적인 부분의 기본 사항 및 옵션 사항, 그리고 그 옵션 계약을 했을 때의 월 비용을 충분히 검토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도우리 2016-09
답변 감사합니다!
IT업체에서 일한적이 있는게 아니라서 경력을 적을수도 없고 제 수준을 어떻게 표현해야할지 모르겠네요. 쇼핑몰은 제가 혼자서 관리하고 있어요. PHP로 타사이트 API 연동되는 게시판 하나 만들 정도는 되요. 하이텔시절 타인 리눅스 서버 계정 발급받아서 MUD도 컴파일해서 운영해봤고요. 그냥 인터넷으로 옷파는 컴맹아저씨~ 같은 느낌은 아니에요. 단지 리눅스를 제대로 관리하고 써본적이 없네요. 운영체제 설치만 해주면 되는데 서버호스팅엔 포함되어 있고 코로케이션은 업체따라 5만원~10만원 추가비용내면 되더라구요. APM설치 및 쇼핑몰 이전같은건 혼자 할수 있어요. 보안문제해결이라는게 어떤 부분 말씀하시는건가요? 기존 웹호스팅의 경우 딱히 카페24쪽에서 해주는게 없어보이더라구요. 한달에 한번 커널업뎃, yum 업뎃 같은건 저도 충분히 할 수 있다 생각되어서요. 웹호스팅 방화벽도 나이트 깔아주던거 같던데.. DDOS라든지 제대로된 공격이 들어오면 자기네 서버 다운되면 안되니 적극적으로 방어하는게 있긴 하겠네요. 근데 DDOS는 코로케이션해도 IDC차원에서 막아주지 않나요? 어쩃든 저도 보안부분이 제일 걱정이긴합니다만 웹나이트 정도 놔두고 서버를 최신버전으로 유지하면 괜찮지 않을까요?
빈경윤 2016-09
기존 사용자와 서버 수준으로 볼 때, E3 월 7.5만원짜리가 가장 유리해 보입니다.

크게 다음 3가지 이슈가 있는데요.

1. 하드웨어 관리 이슈
직접 장비를 사서 코로케이션 넣었을 경우, 서버 하드웨어 장애 발생시 직접 IDC로 방문하여 하드웨어 장애를 직접(?) 해결하시거나, 벤더사 A/S부르고 대기해야 합니다.
그에 반해 임대형은 하드웨어 장애를 업체에서 해결해주니, 하드웨어 관리 이슈가 없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2. 서비스 관리 이슈
추가 문제는 관리형일땐 서비스가 다운되더라도 업체에서 알아서 살려주기 때문에, 서비스 정지의 위험성을 못 느끼실 수 있습니다만...
독립형 서버는 별도 관리 서비스를 추가 비용내고 받지 않으실 경우, 직접 구글링으로 해결로 인한 시간 투자 or 유료 의뢰로 이어져야 하고요.

3. 백업
마지막으로 데이타 유실를 대비한 백업을 진행해야 하는데,  https://github.com/php79/backup 의 `로컬 풀 백업` 정도면 충분할 것 같고요.


즉, 2번 서비스 관리 이슈만 어느 정도 직접 커버 가능하시다면, E3 월 7.5만원 짜리가 유리합니다.
그러나 직접 해결 못하실 경우 유료 의뢰에 따른 추가 비용 지출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도우리 2016-09
답변 감사합니다! 혹시 http://www.php79.com/ 운영자님이신가요? 이런데서 뵙게될 줄 몰랐네요!
1. Aㅏ........ 지방거주중입니다. 절대 불가능한 일입니다. 원격으로 다 되어야 합니다. 서비스/시스템 장애 분석 및 처리 (5만원) 이런 부가서비스가 있던데 이걸 이용하면 되지 않을까요? 하드 나가는거 외에 별 문제가 있을까 싶습니다만... 그거 외에 불량이 있는거라면 참 곤란하겠네요; 그래도 최악의 상황엔 임시로 임대서버 빌린후 서버이전 시켜놓고 서버 AS센터로 보내달라하면 해주지 않을까요;; 몇만원 내더라도... 서울 올라가는것보단 나은...
임대형이라고해도 '너가 사용중에 망가졌으니 너가 수리비를 내라' 거나 부품값 일부를 부담하라는 식으로 나오진 않을른지요... 그러면 딱히 별 차이가 없을것 같은데... 카페24쪽에 확실하게 물어봐야겠네요.

2. 관리형=웹호스팅, 독립형서버=서버호스팅/코로케이션 말씀하시는게 맞나요? 최근에 뭘 요청해서 mysql 데몬 재시작했는데 그전에 보니 uptime이 1년이 넘었더라구요. 서비스 다운될 일이 극히 드물것 같아서 독립서버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셋팅 잘못한거라면 되돌리면 해결될 것이고 하드웨어 문제라면 임대형일경우 업체에서 다 알아서 해결해준다는거죠?

3. 역시... 그분이 맞으시군요 ㅎㅎ

일회성으로 들어가는 돈은 사실 크게 중요치 않습니다. 그래서 코로케이션까지 염두해 두고 있는 것이구요. 코로케이션시 메모리 가격에서만 수십만원 세이브할 수 있어서 장애로 추가비용지출하는게 얼마나 될까 얕잡아보고 있는 면도 있습니다. 평범하게 php, mysql로 구성된 홈페이지 운영하는건데 한달에 몇번씩 장애 생기기라도 하겠어.. 라는 생각인데 안일한 생각이려나요.

램은 8기가로 동접 100명까지도 충분할까요?

임대형의 경우 월 7.5~10만원씩 납부하는데 2년을 쓰더라도 남는게 없다는 점.. 서버호스팅은 2년후엔 서버가 남을 것이고 그걸 판매한다치면 더 좋은 사양을 월 10만원정도에 사용한 셈이 된다는 점에 계속 임대형이 아닌 일시납부형 또는 코로케이션이 이득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월 몇만원 차이면 16기가짜리로 메모리 걱정 없이 맘편하게 쓰고 싶달까요.. 사무실에서 윈도우10 i7-4790k + 16GB에 vmware 로 업무용 Win7을 4개(가벼운 프로그램 하나씩 돌아가는)정도 돌리고 있는 서버컴도 있거든요. 16GB 짜리로하면 해당 서버에 vmware 깔아서 사무실에 있는 서버컴을 없앨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있구요. E3-1230v5 (3.4GHz) 급 CPU로는 힘들려나요. 만약 이런 용도로도 사용을 할수 있다고 하면 5번 임대형 11.5만원짜리가 나을까요 코로케이션이 나을까요..?
          
빈경윤 2016-09
네. 저도 지방에 거주중이라 IDC 방문은 불가능하다는 전제하에 모든 상황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

하드웨어 장애는 하드디스크가 장애 빈도가 높을 뿐, 오랜 시간 많은 서버들을 관리하다 보면 정말 다양한 장애를 겪게 됩니다.
심지어 랜 케이블 불량이 의심되는 상황인데도...
IDC에선 서버 랜포트가 죽은 것 아니냐... 코로케이션이니 직접 오셔서 점검해보세요... 라고만 답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원격에선 랜 케이블 불량인지 제가 증명할 방법이 없으니깐요.  사정사정해서 랜 케이블 요청해서 바꾸니 바로 해결되더군요.

임대 서버는 하드웨어/네트워크 단의 모든 관리 주체가 호스팅 업체에 있어,
랜 케이블이냐 랜 포트냐의 문제를 따지지 않고 장애 해결에만 집중해 빠른 처리가 가능하죠.
또한 동일 서버의 여유 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빠른 교체가 가능한 경우가 많죠.

그래서 IDC 방문이 불가한 경우 무조건 임대형 사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임대형/구매형의 장애시 대응에 관해 호스팅 업체와 잘 상담해보시고 결정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앞서 답변드린 것처럼 말씀하신 정도의 규모로는 월 7.5만원으로도 충분해 보이고요.
사용량이 증가하면 서버단 웹/디비 최적화 튜닝이나, 서버를 1대 더 증설하여 웹 + 디비 서버를 분리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운영 서버에 vmware 올려서 이것 저것 다른 업무용 프로그램 돌리는 케이스는 흔치 않고, 권장하지 않습니다.
               
도우리 2016-09
친절한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임대형으로 시작해서 경험을 먼저 쌓아야할것 같네요.
혹시 추천하는 업체가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카페24 쓰면서 딱히 서비스의 불안정 등의 불편함은 없었는데(자기네 서버설정으로 생긴 문제는 무조건 발뺌하는것 빼곤..)
그래도 더 저렴하거나 서비스가 나은 곳이 있다면 그곳도 한번 고려해보게요.
아참 그리고 완전 임대형 말고 소유권 넘어오는 서버호스팅(일시불 또는 분할납부형)도 임대형처럼 관리해줄까요?
자기네한테 비싸게 구매한건데 코로케이션처럼 나몰라라할것 같진 않은데 말이죠. 정확한건 업체에 물어봐야겠지만 실무적으로 어디까지 봐주는지가 궁금하네요... 경험이 많으신것 같아서 한번 여쭤봅니다 ㅎㅎ
                    
빈경윤 2016-09
지금 알아보신 카페24 임대형으로 경험을 쌓아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고요.

`소유권 이전 = 관리 책임 이전` 이라고 보시면 될 겁니다.
                         
도우리 2016-09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저한테 일을 주시면...
박문형 2016-09
여러 호스팅업체에 견적을 받아보시고 비교하는 편이 좋아 보입니다..
캔위드 2016-09
*비밀글입니다
     
도우리 2016-09
좋은 사이트 소개 감사합니다.
혹시 서버호스팅 쓰시나요 코로케이션 쓰시나요?
서버호스팅으로 하고 싶은데 non-ECC 메모리라 망설여지네요.
며칠째 고민중입니다 ㅠㅠ
          
캔위드 2016-09
*비밀글입니다
               
도우리 2016-09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
문의했는데 ECC라고 답변왔어요. 신청하려구요 ㅎㅎ
그런데 저렴한건 죄다 임대전용 서버만 있더라구요.
혹시 어떤 상품을 얼마정도에 이용중이신지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10년이상 쓰신분이니 가능한 견적이라 생각하고 캔위드님 곤란하게 그 가격으로 맞춰달라고 하진 않을거에요. 참고만 할게요.
                    
캔위드 2016-09
*비밀글입니다
                         
도우리 2016-09
아~ 지금은 목록에 없는걸 사용중이시군요.
아마존은 서버가 해외에 있는게 아닌가요? 국내에서 느릴것 같아서 생각안해봤습니다.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제 글도 여러번 읽어주시고 매번 심도있는 답변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캔위드 2016-09
AWS 국내 입점(?)한지 꽤 되었습니다... 한번 찾아보세요~


QnA
제목Page 2181/5706
2014-05   5131618   정은준1
2015-12   1666403   백메가
2014-06   4485   정진수
2015-08   4485   박수
2021-05   4485   GPGPU
2017-06   4485   천마건빵
2014-03   4485   무아
2016-01   4485   미놀사랑
2016-01   4485   SaNoRaMyun
2016-10   4485   장동건2014
2017-02   4485   metaljw
2018-06   4485   DaVinci
2017-03   4485   산이슬덕후
2015-04   4485   워뇽워뇽
2016-09   4485   izegtob
2017-05   4485   김민철GC
2021-02   4485   epowergate
2018-05   4485   화란
2020-07   4485   가빠로구나
2017-08   4485   검은콩
2016-11   4485   쌍cpu
2015-11   4485   마징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