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5492 |
0 |
2014-05
5235492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1756 |
25 |
2015-12
1761756
1 백메가
|
69484 |
그래픽카드 질문 드립니다. (4) |
NickName123 |
2016-09 |
3515 |
0 |
2016-09
3515
1 NickName123
|
69483 |
3D툴 사용하는데 구형 쿼드로 vs 신형 지포스 어떤차이가 있을런지요? (2) |
건전지 |
2016-09 |
6099 |
0 |
2016-09
6099
1 건전지
|
69482 |
공유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6) |
호박고구마 |
2016-09 |
4121 |
0 |
2016-09
4121
1 호박고구마
|
69481 |
HP 서버 SSD 관련 문의 (10) |
guzzi |
2016-09 |
7061 |
0 |
2016-09
7061
1 guzzi
|
69480 |
[비컴] DC 아답타 문의 (5) |
경박한시민 |
2016-09 |
4488 |
0 |
2016-09
4488
1 경박한시민
|
69479 |
DELL R710 메모리 관련 질문드립니다.. (17) |
Lucyed |
2016-09 |
6552 |
0 |
2016-09
6552
1 Lucyed
|
69478 |
DELL R710 메모리 관련 질문드립니다.. (2) |
박문형 |
2016-09 |
3831 |
0 |
2016-09
3831
1 박문형
|
69477 |
업데이트 - FINAL - DELL R710 메모리 관련 질문드립니다.. |
박문형 |
2016-09 |
3976 |
0 |
2016-09
3976
1 박문형
|
69476 |
삼성 ddr4 16gb ecc/reg 칩 두줄과 한줄 차이가 있나요? (24) |
슬러그 |
2016-09 |
6078 |
0 |
2016-09
6078
1 슬러그
|
69475 |
window7 professional을 바꿔야 하나요? (10) |
큐님 |
2016-09 |
5031 |
0 |
2016-09
5031
1 큐님
|
69474 |
san 스토리지의 장점에 대해 궁금합니다. (31) |
눈팅돌이 |
2016-09 |
9186 |
3 |
2016-09
9186
1 눈팅돌이
|
69473 |
냉장고 뒤로 약간 기울여도 상관없을까요? (12) |
장동건2014 |
2016-09 |
11726 |
0 |
2016-09
11726
1 장동건2014
|
69472 |
보안콘텐츠만 표시됩니다 (2) |
퍼싱글 |
2016-09 |
4453 |
0 |
2016-09
4453
1 퍼싱글
|
69471 |
윈도우에서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레이드가 궁금합니다. (16) |
고기 |
2016-09 |
4724 |
0 |
2016-09
4724
1 고기
|
69470 |
알리익스프레스 환불 배송 (15) |
이형동 |
2016-09 |
5994 |
0 |
2016-09
5994
1 이형동
|
69469 |
ZFS 와 Btrfs ?? (5) |
하셀호프 |
2016-09 |
11200 |
0 |
2016-09
11200
1 하셀호프
|
69468 |
네트워크 드라이브 파일 복사 문의 |
이재호TM |
2016-09 |
4271 |
0 |
2016-09
4271
1 이재호TM
|
69467 |
엠프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
Christopher |
2016-09 |
5079 |
0 |
2016-09
5079
1 Christopher
|
69466 |
레미탈 굳으면 콘크리트 같은 강도가 나올까요? (9) |
정은준1 |
2016-09 |
24066 |
0 |
2016-09
24066
1 정은준1
|
69465 |
장례 절차 질문 드립니다 (7) |
편한세상 |
2016-09 |
4725 |
0 |
2016-09
4725
1 편한세상
|
SAN은 NAS하고 비교해야 됩니다.
SAN은 블럭단위 핸들링이 가능하고 다수 클라이언트에서 접근해서 나눠 쓸 수 있습니다.
NAS는 사용하는 프로토콜들이 파일단위 핸들링이라서 아무리 대역 높여봐야 DB서버 스토리지 같은 용도로는 쓰기 어렵습니다.
SAN은 일단 붙여서 클라이언트에 마운트 해놓으면 허용된 대역폭안에서 로컬 디스크와 동일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디스크 동작 속도는 SAN스토리지 성능으로 보시면 되구요.
블럭단위, 파일단위 핸들링이라는건...
nas는 파일단위 관리..보안이라던가..이런게 붙여서 느리다 이런말인가요?
10Gb를 지원하는 Nas..비쌀거같지만.이러한것도 느린지요
이부분에 관하여 잘몰라 대략 구글링을 하고있는데..
san이 실제 das처럼, 또한 부팅드라이브로도 쓸수있는것도 알게되었습니다.
그런데 이런건 성능저하가 올테니 이렇게 쓸일은 없을거고..
속도 > 용량 or 안전 순이라면 어떤게 맞을지요?
SAN은 운영체제가 디스크에 읽고 쓸때처럼 블럭 단위(물리적 단위와 비슷)로 읽고 씁니다.
왜 포맷할때 보면 4K 블록(섹터) 이런거 나오잖아요.
그렇기때문에 NAS는 어느 디렉토리에 이 파일을 읽고써라(파일핸들링)
SAN은 몇 블록에 뭉탱이로 몇 바이트를 읽고 써넣어라 이렇게 됩니다.
그러니까 SAN이 거추장한 잡다한 작업을 덜해서 빠를수밖에 없습니다.
아니면 외장 SAS 를 주루룩 연결해서, 추가로 달거나요.
그러면 그 컴퓨터가 공유해서 파일서버가 되지않는한 그 컴퓨터 밖에 그 스토리지들을 못쓰잖아요.
그래서, 여러 클라이언트에서 스토리지를 쓰고 싶은데 직접 장착한 하드처럼 쓰고 싶고,
그걸 원격지에서 끌어다가 쓰고 싶다.. 에서 출발합니다.
DAS 처럼 구성한다면 클라이언트 마다, 레이드 카드 달고, 하드디스크 모니터링하고 그래야 되는데.
SAN의 경우에는 한놈만 총대메고 레이드 카드 달고, 디스크 주렁주렁 달아서, 그놈만 모니터링하면 되니까요.
고전적인 SAN은 FC 광케이블류를 사용하는거였는데 IPSAN(ISCSI)가 나오면서 그냥 요즘 1G NIC으로도 잘 됩니다.(속도도 그만큼만)
그래서 PC방에 PC가 부팅할때 네트워크로 하드를 받아서 마운트해서 부팅합니다.
손님이 컴퓨터를 종료하면, 해당 디스크를 날려버리고 (트로이목마같은 뭘 깔아놨을지 모르기때문),
새로운 디스크를 제공해줘서 보안에 더 좋고, 손님이 윈도우를 고장 낼일이 없고, 컴퓨터 개별로 패치하느라 트래픽을 소모와 시간 소모를 안해도 됩니다.
두번째로 볼수 있는게 아마존이나 KT비즈클라우드 입니다.
VM을 생성할때 디스크를 같이 할당하잖아요. 그게 VM 머신이 가지고 있는 디스크를 주는게 아니라,
SAN이 해당 디스크를 할당해서 주고 네트워크로 마운트 해주는 겁니다.
용량은 어짜피 SAN이든 NAS든 Raid 구성을 똑같이 하기 땜시 차이는 없습니다.
속도는 같은 조건에서 SAN이 더 빠릅니다. (권한채크, 동시에 같은 파일을 쓸때 Locking등을 하지 않기때문에)
안전 역시 Raid 구성에서 알아서 하는 부분이라 차이는 없습니다.
그럼 SAN이 짱짱맨?
블럭 단위로 쓰기때문에 동시에 같은 블럭을 Write하게 되면 파일이 깨질 위험이 있겠습니다.
그래서 보통 한 구역시 드라이브를 생성해서 그 놈만 쓰게 하는게 보통이고,
여러사람이나 여러 머신이 특정 디렉토리를 빈번하게 읽고 써야하는 동시적인 상황이라면 NAS를 사용해야 합니다.
보통 한구역씩 드라이브를 생성해서 그놈만 쓰게한다는건 저 PC방처럼 쓴다는거지요?
그런데 이렇게 여러대의 os드라이브로 하나의 san스토리지 장치에 물리고 하나의 구역을 할당해서
네트워크로 물린다면 속도저하가 없을지요? 일단 os로 쓴다면 계속해서 모든 컴터가 빈번히 접속한다는건데..
아 ssd 기준으로요.
일단 스토리지는 sata ssd 또는 nvme ssd 로 5테라~10테라 미만 구성을 생각하는데..
20대 정도의 머신이 동시에 같은 파일을 save하지는 않치만 같은 프로젝트의 파일들을 쓰고
동시에 같은 소스파일들을 불러오니 NAS가 적합은 한거 같은데
속도는 san이고 이정도로 san이나 ssd에서 무리가 가느냐가 관건이군요
nas-san복합장치는 너무 비싼거같은데..
유저들과 네트워크 스위치사이에 선이 랜선이라면
효과가 없는걸지요?
컴퓨터가 1G 연결이라면
나머지 클라이언트들은 1G로 접속하니, 스토리지에는 10대까지 Full로 1G 속도를 내줄수 있습니다.
(SAN의 디스크속도가 10G까지 낼 수 있을때를 가정)
OS로 사용하면 모든 컴퓨터가 빈번히 접속하게 되겠지요.
그런데 그게 운영체제가 10기가가 설치가 되어있다고해도 부팅과 로드과정에서 10기가 전부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몇 백메가 수준이라 1G에서 충분히 몇초안에 커버가 됩니다.
그렇치도 않군요
다수의 디스크 볼륨과 다수의 컴퓨터를 SAN HUB및 FC카드로 연결합니다.
이 때 공유 문제가 나타나는데 SAN 자체로서는 공유가 안되기에 중간에 소프트웨어를 사용합니다..
가격이 엄청 비싼데요..
(최소 몇천 보통 몇억 몇백억)
개인은 거의 사용하기 힘듭니다.
보통 은행권에서 사용됩니다.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잡기위해 따로 공유소프트웨어가 필요한건지요?
한카피당 몇천만원씩 하는..
전문적으로 솔류션을 제공하고 견적하는 업체가 필요합니다..
국민은행 입찰 땄다 라는 기사가 나오면 (1년에 한번 정도)
SAN장비 넣다라는 말로 해석하면 됩니다..
파이버체널 (FC)를 사용하며
https://en.wikipedia.org/wiki/Fibre_Channel
FC card 가 각 컴퓨터에 이용되며
(큐로직,에뮬렉스,ATTO 등의 제조사, 카드당 최소 몇십에서 백만원대, 4체널급은 몇백만원대)
FC 스윗치를 사용합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Fibre_Channel_switch
각 스토리지의 장단점
https://s3-ap-northeast-1.amazonaws.com/exemdocuments/intermax/wh-apm_Storage_System.pdf
http://wjkim-info.tistory.com/703
http://wjkim-info.tistory.com/708
http://www.nicklib.com/hardware/2432
http://bcho.tistory.com/540
http://www.accusys.com.tw/ExaSAN/SWF16-V2/
국내 지사도 있으니 상담해보세요..
http://www.accusys.co.kr/
솔류션이라 가격이 좀 나갑니다..
감사합니다~^^
HP EMC IBM.....등은 옵션가격이 장난 아닙니다.
그런데 DELL EqualLogic 은 하위 볼륨 자동 계층화, 씬 프로비저닝, 포인트 기반 스냅샷 등의 엔터프라이즈급 스토리지 소프트웨어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디스크 업그레이드 또한 손쉽게 할수 있고 관리도 다른제품보다 수월합니다.
아마도 SAN 장비중 가장 저렴하고 손쉽게 접근할수 있는 장비인것 같습니다
그리고 DELL MD3600 MD3800 시리즈도 이퀄로직보단 저렴하고 쓸만합니다 SAN iSCSI 방식 입니다
그리고 iSCSI 제품은 엔터프라이즈 고객도 사용하지만 주로 중견기업 중소기업 .... 등
FC 돈 많이 듭니다
iSCSI 적은비용으로 구축가능하다 뭐 이렇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요즘은 FC 16G 나옵니다 얼마전까지도 8G 였는데......
iSCSI 는 1/10G 로 구성됩니다
한번보시고 참고하세요
그럼 sfp+ 10GbE 나 인피니밴드도 여기에 속하는건가요?
단 스토리지에서 1G/10G/20G/40G 지원해야 40G 사용할수 있고
현재는 대부분 1G/10G 사용합니다
네트웍 방식이라 서버스토리지간 네트웍으로 연결되고 클라이안트도 전부 네트웍으로 연결됩니다.
성능을 제대로 뽑을려면 네트웍 스위치가 중요합니다
DELL NETWORK 기준으로 델스위치4000 , 5500 이상 사용하셔야 합니다
한가지 더 질문이있는데..
하위 볼륨 자동 계층화, 씬 프로비저닝, 포인트 기반 스냅샷 등의 엔터프라이즈급 스토리지 소프트웨어 기능..
이런것들은 NAS처럼 어떤자체내 cpu나 os 있는것인지..(검색해보니 이런방식이 아닌거같은데..)
아니면 순수 스토리지와 san의 특정장치는있지만 있고..
특정 컴퓨터에 das처럼 관리하는 컴퓨터가 필요해서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인스톨하고 1대 배정을 해서 사용을해야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하위 볼륨 자동 계층화, 씬 프로비저닝, 포인트 기반 스냅샷 기능은 DELL EquailLogic SAN iSCSI 제품에만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인터넷 네트워크로 화일전송(블럭전송)을 하는 것입니다.
sfp+ 10GbE 나 인피니밴드는 다른 전송 방법입니다..
ZFS기반으로 구성하시면 상용 스토리지와 비슷하게 만들수 있습니다.
ZFS기반으로 실제로 SAN 스토리지로 운영하시는 분들이 2cpu에 많이 계십니다.
ZFS의 경우 기본적으로 nfs와 cifs(smb)를 지원하기 때문에 NAS로 사용하고 FC HBA를 장착해서 SAN 스토리지로 사용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