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hat 계열만 운영하던 사람이 우분투 서버환경 적응 가능 할까요?

   조회 3932   추천 0    

타 유닉스와 달리 리눅스의 딜레마가 여기서 걸리는군요.

배포판에 따른 명령체계의 이원화

이것이 운영레벨에서 어떻게 병행이 가능할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6-09
머리와 손까락에 외워서 생각하는 대로 치면 프로그램이 팍팍 돌아가야죠..

그렇게 하도록 죽지 않을 많큼 노가다(닭질,삽질)을 해야 합니다..

일종의 외국어를 배운다고 생각해야겠죠..
luiseok 2016-09
저는 반대로 데비안 계열에 익숙해져있다가
AWS 프리티어 받아서 써보려고 amazon ami(centos 계열) 만져보니 설정하는 부분이나 명령어 체계가 좀 다른면이 있는게 적응하기 참 힘들긴 하더군요.
그래도 한 3일 쓰니 익숙해졌던것 같아요. 모르는부분들은 계속 구글링하면서 학습하니 큰 지장 없었습니다.ㅎㅎㅎ
정기영 2016-09
명령체계도 그렇지만 기본적으로 설정파일이 위치하는 곳과 방식이 좀 다르기도 합니다.
제 경험으론, 우분투가 관리하기 더 깔끔한 구성이긴 했습니다만.
문제 발생시 해결 레퍼런스로는 센트(레뎃)이 갑이라서... 그냥 센트 쓰고 있습니다.
하셀호프 2016-09
리눅스는 레드햇과 우분투가 강세라 패키지 관리자 rpm과 apt-get은 어느 정도 익숙해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우분투 계열이 조금 쉬운 것 같기도 하지만 고급으로 가면 쉬운 것은 없지요.
화란 2016-09
현직으로 CentOS와 Ubuntu 둘다 major로 쓰고 있습니다.

적응은 크게 어렵지 않은데요, 시간 부족할때 장애터지면 조금 당황하실 수 있어요^^

위에서 댓글다신 정기영님의 말씀처럼 문제발생시 공식(?) 레퍼런스가 잘된 레드햇 계열 추천합니다.
NGC 2016-09
서버운영 계열은 RHEL쪽이 좀더 편리하고
그래픽적인 처리가 필요한 쪽(모니터 연결해서 GUI사용환경)은 Ubuntu가 더 낫습니다.
엠브리오 2016-09
슬랙웨어도 레드햇도 우분투도 별다를건 없습니다.
유닉스를 제대로 이해하고 쓰고 있느냐의 문제일뿐이죠.


QnA
제목Page 4210/5723
2015-12   1757794   백메가
2014-05   5231064   정은준1
2018-07   3947   컴박
2014-02   3947   서울I김동수
2018-09   3947   김건우
2018-09   3947   컴박
2016-03   3947   izegtob
2014-05   3947   회원K
2018-06   3947   조이
2016-09   3947   김은호
2018-10   3947   아름소리
2020-12   3947   guest1
2018-10   3947   페르세우스
2015-09   3946   백남억
2015-11   3946   Noadd
2017-11   3946   유정호샤콘느
2020-04   3946   negativete
2015-10   3946   2j1
2019-09   3946   댕댕이
2015-12   3946   2CPU최주희
2015-07   3946   김건우
2023-06   3946   AMD2CP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