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 초보라는 가정하에서 대략 개념적인 부분만 설명 드려 볼께요.
스토리지 = 데이터 저장이 주목적
서버 = 연산이 주목적.
여기서 서버 연산이라고 하는건 3D 렌더링 이나 단백질 구조시뮬레이션이나 외계전파신호 해석이나 통계자료 7글자*600만건*30칼럼 -> 그래프로 만들기 같은경우를 의미하는게 보통입니다.
단순히 데이터를 넣고 빼는데 필요한 CPU나 램의 성능은 현세대의 CPU입장에서 보면 셀러론 급에서도 큰 문제없이 처리할 만큼 부하가 적은 작업입니다.
(핸드폰에 들어가는 cpu로 수백테라의 데이터 입출력 처리하는데 별 문제가 없을정도로요.)
다만 충분한 용량을 얻기 위해 여러개의 HDD를 연결하는게 복잡하고 비싼부품이 들어갑니다.
부품이 10개인 기계가 1% 확율로 고장난다면, 같은 부품 100개 쓴 기계는 10% 확율로 고장이 난다는 소리라, 한덩어리 단위로 고장율 똑같이 유지하려면 10배는 정밀한 기계를 써야 됩니다.
그래서 서버급 부품은 보통 겁나 비싸요.....
말씀하신 대로 영상을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을 꺼내서 읽어보고 하는 정도라면, 계산능력은 거의 필요가 없습니다.
제 추천은 2010년쯤에 나온 36베이 스토리지 서버 케이스를 하나 사서, SSD 하나 가져다 꼽고 윈도우7이나 10(서버 버전 말고 일반용) 깔아 놓고 쓰세요.
따로 서버 관리자급 운영능력이 있는게 아니라면, 또 특수한 용도가 있는게 아니라 그냥 데이터 저장할 정도라면, 일반용 윈도우 깔아도 어지간히 특수한 기능 빼고는 다 잘됩니다.
(좀 특수한 기능이 필요해도 윈도 pro 정도면 정말 해괴한 기능빼고 다됨)
제가 작년 이맘때쯤, 매형이 비슷한 부탁을 해와서 거의 똑같은 작업을 해 드린적이 있습니다.
(매형은 대학 교순데 주식시장 데이터 분석한다고 100테라쯤 데이터 저장할 컴터가 필요하다 했음.)
그래서, 여기 회원님 중에 한분이 올린걸 사서 http://www.2cpu.co.kr/bbs/new_view.php?bo_table=sell&wr_id=135861#c_135923&qstr=&page=5
거기다 SSD 달고 윈도 깔아서 드렸습니다. http://parkoz.com/fi_blg
처음 한동안은 잠깐 잘 쓰셨는데, 얼마간 써보시더니 8베이 30테라로도 괜찮은것 같다고 저 36베이 케이스는 현재 반품 받은 상태 OTL.
아무리 못해도 i3급은 써야할정도로...
또한 단순 파일서버로 사용하기 위해서 구지 Windows를 써야할 이유가 있을지요..
복돌이라면 모를까 정품 구매해서 접속자 20명밖에 안되는 Pro, Home을 쓰느니 리눅스 기반으로 가버리는게 훨씬 낫지요.
그리고 제가 윈도를 추천한건 초보자 분이 개인용도로 추가 학습 없이 쓸수 있으니까 그런거지, 기능적인 문제나 확장성, 파일시스템 관리 같은걸 따지면 당연히 리눅스가 낫겠죠..
십수TB 스토리지도 Gbe 병목을 최대한 출이기 위해 SMB 3.0까지 쓰고 있는 현실이지요...
문제는 SMB 3.0도 CPU 자원을 생각보다 꽤 먹습니다...
정말 단순한 파일서버라면 개인용으로 많이 쓰는 헤놀이나 FreeNAS 등 대안이 많다라고 보여집니다. 관리도 압도적으로 편하고...
몇백 몇천 들여서 직접 스토리지 만드는데, 최소한의 공부는 필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24/7 상시대기가 가능한 경우가 아니고서야 상용OS 올린 상황이라면 iKVM이 거의 필수인데 AMT, ipmi가 없는 보드 쓰는것도 문제가 있지요.
초보자라는 가정 하에 정말 단순한 파일서버 용도라면 2U, 3U 서버 만드는것보다 6베이, 8베이 NAS 구매하는게 더 좋지 않나 생각을 해봅니다.
정말 단순히 파일서버만 할거면 그게 낫죠.
문제는 원 질문자님이 요구하신 데이터 스토리지 용량이 150tb 급이라 이게 8베이 급에서는 혼자서 감당이 안된다는 정도....
이미 구입하신게 8테라짤이라 8베이 NAS 로는 최소 3개는 필요한데 거기에 리던던시 까지 요구하셨으니 레이드5 생각하면 3개로도 빡빡한...
초보자 입장에서 36베이 서버 한대 구축하는것보다 NAS 3대가 훨씬 이득이 많을것으로 생각됩니다. 24베이 구매해서 12베이씩 RAID6 묶는것이나 별반 차이가 없기 때문이지요.
또한 Redundancy는 백업의 개념이 아니기때문에 백업서버까지 둘 경우 몇천의 예산이 들어갑니다.
소규모 개인용도 아니고 거진 상용서버 급인데 스토리지 한번 만져본적 없는 초보자가 구축과 관리.. 전 아니라 봅니다.
실수해서 어레이 날리면 누가 책임지고 처리할건지, 복구비용만 수백 들어버린다는 문제도 있지요.
꼭 서버로 해야겠다면, 세부 설정과 장비에 대한 기본적인 공부는 해야한다고 봅니다.
UPS 문제도 있고..
게다가 저런 서버 쓰면 소음 문제도 꽤 있고....
근데 원래 말씀하신분이 비용을 150 언저리로 생각하신것 같아서 최대한 그거에 근접한 방안이라고 생각한게 저거였어요. 현실적으론 말씀하신 옵션을 다 만족하는게 불가하고, 현업에 계신 분에게 견적 요구하면 저거 2천 밑으로는 견적이 나올거 같지 않은 상황이니....
8베이 NAS 라고해도 하드 미포함이 백만단위라 3개면 300만 급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