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터와 스마트 티비의 차이점.

달릴까   
   조회 14988   추천 0    

그래픽 카드는 GTX560이구요..

DVI 두개와 미니 HDMI단자 하나 있습니다.


삼성 SA300모니터와 삼성 스마트티비 UN32D6330에 동시에 연결하는데

 화면이 사진에서처럼 너무 다르게 나오네요. (위-티비, 아래-모니터)

둘다 1920*1080에 60Hz입니다.

티비 연결은 HDMI로도 해봤고 DVI to HDMI로도 해봤는데 당연히 똑같습니다.ㅋㅋ


스마트 티비가 같은 해상도에 화면이 커서 픽셀이 눈에 보이는건지

스마트 티비가 색깔을 잘 표현하지 못해서 번지기 때문인지 

그냥 다 그런건지 궁금합니다.


추가하자면 스마트티비에 USB 꽂고 영화볼때나

컴퓨터에서 영화 재생할때는 색감의 차이만 있고 화질은 괜찮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무쇠짱가 2016-10
모니터와 TV는 영상처리방식이 조금 틀린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정확한지는 모르지만 모니터는 정지화면, TV는 움직이는 영상에 최적화(?) 되어 있다고 뭐 그랬던것 같습니다.
저희 집 TV에 컴퓨터 화면 띄우면 조금 뿌연느낌내지 뭉개진 느낌이 드네요
김제연 2016-10
설정 때문에 그런거예요 설정 한번 찾아보세요 PC 모드로.. 왠만하면 있을껀데 없으면 공장 메뉴 들어가셔야 할수도 ..
TV랑 모니터랑 차이 없습니다.. 그냥 셋팅 차이일뿐이예요 .. 저 싸구려 uhd TV 모니터로 잘 쓰고 있습니다..
     
김황중 2016-10
+1
김제연 2016-10
그리고 .. 날카로워서 그러신거면.. 선명도 한번 조절해보세요 .. 선명도 최저로 내려보세요.
AKA지니 2016-10
TV를 외부입력으로 PC에 연결하였다면
기본적인 영상처리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모니터와 TV를 구분짓는 전통적인 포인트는 튜너가 있느냐 없느냐입니다
요새는 TV중에도 튜너가 내장되지 않은 TV용 모니터가 있기에 좀 애매모호한 면이 있습니다(그래서 요즘은 사용된 패널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PC용 모니터의 패널과 TV용 패널을 두고보면 TV의 패널이 픽셀이 큽니다
픽셀이 크다는것은 같은 해상도에서 작은 화상(이미지)을 표현하는데 제약이 따른다는것을 의미합니다
단적인 예로 올리신 이미지에서 위쪽 TV에서 출력하는 글자가 일그러지는 것을 볼수있습니다
김제연 2016-10
같은인치의 패널을  놓고보면  픽셀이클이유는  없죠  해상도도  풀hd 인데요  제가  40인치  fullhd도 사용하는데  저렇게  깨지지않습니다  그냥  도트만  클뿐입니다
해바라기 2016-10
원래 아날로그(CRT)시절에 티비는 드라마나 스포츠의 다이나믹한 화면에 적합하도록 만들어 졌고
모니터는 텍스트를 읽는데 접합하도록 되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당시 티비에 컴퓨터 화면을 출력하면 떨림때문에 눈이 쉽게 피로하곤 했는데요
 제머리속엔 LCD TV를 모니터로 사용하는건 조금 픽셀이 안좋다는 편견같은게 있긴합니다.
시도니 2016-10
윗분들 말씀이 맞습니다.

제가 회사에서 서브모니터를 TV를 사용합니다.

스마트라 fullHD 입니다.

분명히 HDMI 를 잘 연결했는 데 영상이 깨지더군요.

처음에는 TV가 잘못된줄 알고 AS 신청도 했었습니다만...

결론은 TV 와 PC에서 HDMI 신호를 처리하는 방식이 다르다더군요.

그래서 HDMI 신호를 PC 심호로 수신하게 세팅을 바꿔야 한다고 했습니다.

거기서 알려준대로 설정을 하니 완전히 잘 나오더군요.

마찬가지로 회의실에 모니터를 LG 티비를 사용하는 데 이 티비도 막 색감이 이상하게 나오고 깨져나오더군요.

문제는 HDMI 신호가 달라서 깨진다는 걸 알고는 있습니다만.... 정작 HDMI 세팅을 PC신호로 인식하도록 세팅을 하는 법을 아무리 찾아도 알 수가 없겠더군요.

인터넷을 뒤지고 뒤진 결과... ㅡㅡa

해당포트는 자동으로 활성화 되는 데... 거기에 소스를 셋탑박스-> PC 로 바꾸면 되는 거 였습니다.

저도 아무생각없이 일반적으로 입력소스에 대한 이름 같은 거로 HDMI 1번은 세탑박스, 2번은 콘솔게임기, 3번은 모니터 등등 서로 헤깔리지 말라고 그림으로 주석으로만 표현해주는 줄 알았더니 실제로 PC로 설정하니 모니터로 신호가 바뀌게 되어 있었던 겁니다.

대기업에서는 이런 상황을 미리 감안을 해 놓고 만들어 놨는 데.. 사용자가 지레짐작 어짜피 포트를 하나만 쓰는 데 세탑으로 지정되어 있든 PC든 무슨상관이야.. 라고 생각 할 수 있는 데 그게 아니라는 겁니다.

만약 중소기업제품이라면 제조사에 전화해보면 친절히 알려줄 겁니다.
송주환 2016-10
크로마 서브샘플링 방식의 차이입니다. 또한 요즘 나오는 UHD TV들 중 RGB 방식이 아닌 패널을 사용한 TV도 문자 가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색감의 경우 국내 TV는 색온도가 지나치게 높게 설정되어서 나오는데, 6500K로 맞추면 좀 완화되고, 정확한 설정을 위해서는 캘리브레이션을 진행해야 합니다.
달릴까 2016-10
우선 선명도를 0으로 하니까 글자가 깨지는 현상은 사라졌습니다.
기본적으로 용도가 달라서 그런지 티비는 쨍~한맛이 없고 대신 눈이 편하네요.
메뉴를 다 뒤져봐도 소스입력을 pc로 바꾸는 항목은 없어요.
HDMI포트가 두개인데 그중에 1번은 DVI가 같이 표기되어있어서 거기에 연결해 두었습니다. 댓글중에 있는것처럼 자동으로 인식하겠죠??


QnA
제목Page 2247/5731
2014-05   5268650   정은준1
2015-12   1793667   백메가
2021-05   22763   이윤주
2012-03   5387   서현석
2014-04   3394   박성만
2023-01   1739   회원
2023-01   1905   노재현
2024-09   1226   이선호
2018-12   2383   삐돌이슬픔이
2020-02   3495   online9
2016-09   6976   슬러그
2024-10   1663   그린
2016-09   6113   싱국날강도
2017-09   3939   하셀호프
2018-12   3427   iwill
2012-05   4958   빠코드
2019-01   9797   NAS고장났다…
2021-06   3046   ArtsRommel
2012-05   5286   그래피아
2014-05   5299   승훈
2017-09   4611   무아
2020-02   2501   online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