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치끼리 스태킹하는 이유는 뭔가요?

   조회 14693   추천 0    

스위치까리 스태킹을 시키던데..

그 이유를 잘 몰라 여쭈어봅니다.

제추측으로는

다른 스위치까리 랜선 두개를 연결 ip 2개를 써서 대역폭 확장인거같은데

맞는건가요?

장단점이나 스위치에서 세팅을해줘야한다거나ㅓ

다른점이 있을지요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6-10
스테킹이 가능한 스윗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트를 늘리기 위함이죠..

셋팅 문제는 스윗치 모델마다 다르기에 메뉴얼 봐야 됩니다..
     
눈팅돌이 2016-10
아 오~~ 감사합니다.
이지영 2016-10
스태킹의 제일 장점은 한 포인트에서 여러대를 간편히 관리하기 위해서입니다.
2016-10
업링크와 다운링크해서 두개의 포트를 절약하기도하죠.
보통 스태킹 포트가 별도로 있는 스위치의 경우 스위치들간의 스위칭 용량이 보통 10G이상으로 넓은 네트워크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스태킹한 스위치들 중에 한대가 죽더라도 스태킹 포트를 통해서 다른 스위치로 패킷들이 넘어가기때문에 네트워크 단절되는 문제를 좀 더 개선할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2016-10
스태킹의 장점은 장애대비와 확장성인 것 같습니다.

1. 스위치 간에 고속의 스태킹 포트를 통하여 하나의 스위치 처럼 동작을 한다는 점에서 속도가 빠르고,
2. 스위치를 모두 하나의 MASTER에서 관리를 할 수 있어 편리하고,
3. 스태킹된 스위치에 걸쳐 포트그룹(MLAG : multi-chassis link aggregation)을 생성할 수 있어
스위치 장애대비가 가능합니다. MLAG가 지원되는 스태킹된 스위치에 걸쳐서 team(linux bonding)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MLAG가 지원이 안되더라도 linux bonding mode 0(RR)의 경우 스태킹된 각각의 스위치에 회선을
연결함으로써 대역폭을 확장 하면서 하나의 스위치가 고장이 나더라도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습니다.
     
눈팅돌이 2016-10
아 감사합니다. 크게 배워갑니다.


QnA
제목Page 2218/5725
2015-12   1766387   백메가
2014-05   5240865   정은준1
2016-10   9398   푸하히
2016-10   4441   조항주Jeonju
2016-10   4716   큐님
2016-10   4026   제주김재민
2016-10   4695   맑은여름
2016-10   3803   눈팅돌이
2016-10   4557   전설속의미…
2016-10   4151   하쿠나마타…
2016-10   4031   chobo
2016-10   4321   Rime
2016-10   5909   재마
2016-10   5330   전설속의미…
2016-10   5629   Yorkie
2016-10   4940   최정수
2016-10   4979   준호
2016-10   5473   쭈쭈봉
2016-10   4500   한효석
2016-10   5044   이희주
2016-10   19585   슬러그
2016-10   21542   김건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