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치나 허브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이문영   
   조회 8735   추천 0    

안녕하세요.

대전에 살고 있는 이문영입니다.

4포트짜리 공유기를 허브모드로 쓰다가

이번에 인터넷도 0.5기가(?) 로 바꾸고 해서 100메가 지원인 공유기를 바꾸는 김에

기왕이면 포트가 좀 많이 달리고 어차피 허브로만 쓰게 될 것 같아서 알아보던 와중에

용어들이 헷갈리는게 많아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1. L2 스위치중에 더미스위치라고 불리는 것들은 대역폭 나눠갖는 허브랑 같은건가요?

  아니면 대역폭 나눠쓰는 더미허브보다는 더미스위치가 더 좋은거라 대역폭 충돌은 없는건가요.

2. 어떤 스위치들은 스위칭용량이라는게 적혀 있던데,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3. L3 스위치와 허브모드공유기는 하는 역할이 같다고 봐도 되나요?

4. L2 스위치 중에 더미와 지능형은 스펙에서 볼 때 어떻게 구분하나요?


제가 초보라서 용어라던가 개념이 많이 없네요.....

단순히 8포트 정도로 대역폭 충돌 없는 기가빗 지원 허브(스위치) 하나가 필요한데

혹시 저렴한 제품이 있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모두 행복하세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쿰척쿰척 2016-10
http://www.whitespace.kr/71

여기에 궁금하신게 잘 정리되어 있을겁니다.
     
이문영 2016-10
답변 감사합니다.
이론은 읽어봐도 잘 모르겠더라구요.....
거의 다 허브와 스위치의 차이점에 대해선 기술해 놓았지만
요즘 나오는 제품들을 계속 보니 스위칭허브라고 표시된 물건들이 많아서요.
싼건 더미이고 가격좀 나가는건 인텔리전트 같은데 사실상 제품설명에는 구분을 해놓지 않아서
이게 더미인지 싸구려 인텔리전트인지 잘 모르겠네요....
김황중 2016-10
1 대부분 L2가 더 높아요
2 대역폭
3 허브모드 공유기의 기능은 L3도 가지고 있습니다.
4 예시 스펙을 두개 올려 주세요

전 hp 밖엔 모름..ㅠㅠ
조용한 애로 1420 정도... (8포트 있나 모르겠네요. 주로 1820을 추천해서....)
     
이문영 2016-10
답변 감사드립니다.
예시입니다.

아래 것은 네티스인데 스위칭 용량이라는 것이 특별히 표기된게 눈에 띄지 않는데 더미인가요? 아니면 인텔리전트인가요?
http://prod.danawa.com/info/?pcode=1759079&cate=1131634

아래 것은 hp 인데 제목에는 기가빗지원이라고 떡하니 써있지만, 낚시 같습니다.
그것도 그거지만, 스위칭용량이 적혀 있지 않은데 더미인지 인텔리전트인지 모르겠네요.
http://item2.gmarket.co.kr/Item/detailview/Item.aspx?goodscode=172987287&GoodsSale=Y&jaehuid=200002657&service_id=pcdn

아래 물건도 hp 인데 제목에도 기가빗지원이라고 적혀있고, 스위칭용량도 16기가라고 되어있습니다.
더미인지 인텔리전트인지 모르겠네요.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B338335827&frm3=V2

혹시 '인텔리전트 L2 스위치'나 '허브모드 공유기'나 'L3 스위치' 나 5~6 만원 대에선 그게 그거인가요??
Christopher 2016-10
*비밀글입니다
     
이문영 2016-10
답변 감사드립니다!!!!
가만히 읽어보는데 거의 한시간가까이 지나간 것 같네요.....
초보인 저에겐 알아듣기 힘든 용어들이 많이 나오네요 하하하하^^
구글검색시 나오는 여러 설명들을 보면
요즘 L2 스위치는 L3 처럼 ip를 기반으로 작동하는게 있다는 글이 여럿 있어서요.
그걸 인텔리전트 L2 스위치라 부른다고 하더라구요.
그리고 쇼핑몰에서 스위치는 거의 허브와 같은 개념으로 상품이 올라와서 더욱 헷갈리구요.
그런 제품을 검색하거나, 검색시 스펙상으로 어떻게 구분하는지가 너무 궁금해요.
일단 "L2 에서 동작하는 스위치이다" 라고 한다면,
아무리 멍텅구리스위치라도, 더미허브보단 성능이 좋다고 이해하면 편할까요??
Christopher 2016-10
*비밀글입니다
     
이문영 2016-10
정말 감사드립니다.....
네트웍쪽으로도 공부를 좀 많이 해봐야겠어요.^^
drachen 2016-10
1. 정의상으로는 허브랑 스위치는 다릅니다만, 현실적으로 현재 시장에 유통되는 대부분 제품은 스위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즉 지금 시점에서 허브와 스위치, 스위칭 허브 등등 특별한 수식어가 없이 쓰이는 경우에는 그냥 L2 스위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2. 스위칭 용량은 스위치의 칩셋이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포트수 * 포트당 속도 * 2가 나와야 하지만 싸구려 스위치는 그보다 적은 경우도 있습니다(싸구려는 포트 수가 적으니까 칩셋 성능이 떨어져도 대부분 커버가 되는게 보통입니다만...). 그리고 여기에 패킷 개념이 들어가면서 실제로 유효한 처리 용량이 다시 계산이 되는데...이쪽은 잘 모르겠네요.

3. 이건 어떻게 제품을 만드냐에 따라서 달라지겠지만... 상식적인 수준에서 공유기의 가격과 성능으로 보자면 L3스위칭이 되는 물건은 없을 듯 싶습니다. 애초에 가정용 공유기는 스위치 모드로 동작시에 매니지먼트 기능을 제공하는 제품 자체가 없을텐데요.

4. 매니지먼트 스위치와 더미 스위치의 구분은 기능을 보시면 되는데요. 뭔가 "웹 접속이나 시리얼 접속으로 설정이 가능하다"는 얘기가 없으면, 모두 더미 스위치이고, 설정할 수 있는 기능에 따라서 스마트 스위치와 풀매니지먼트 스위치로 나뉜다고 보시면 됩니다. 참고로 댓글에 링크 다신 제품은 모두 "비관리형"으로 더미 스위치 입니다. 지능형(인텔리전트 ?) 스위치는... 이건 SAN쪽 용어 아닌가요?

참고로 5~6만원대에는 매니지먼트 L2 스위치나 L3스위치는 여기 중고 장터에 풀리는 경우를 제외하면 단언컨데 없습니다.
     
이문영 2016-10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러면 스위칭용량이라고 표시되는 항목들이 숫자가 크면 좋은 더미스위치이고, 숫자가 작으면 안좋은 더미스위치군요.
보통 공유기를 허브모드로 쓰더라도 접속 주소가 있어서 설정이 가능한 것으로 아는데요.
이럴 경우엔 "그냥 공유기라서 설정이 가능하긴 하지만 더미스위치의 기능을 한다"라고 알고 있어도 상관없을까요??
정말 제가 궁금한건
허브와 스위치의 정의에 보면
허브는 대역폭을 나눠쓰기 때문에 동시접속시 속도 저하가 발생하지만
스위치는 맥주소 기반으로 1:1 로 스위칭하기 때문에 속도저하가 없다. 라고 하는데
요즘 쇼핑몰에 L2 스위치라고 나오는 것들은 스위칭용량이 어이없을 정도로 작은 것들도 있고
말씀하신대로 포트수*포트당속도*2 로 스위칭용량이 표시된 것들도 있고
아무 표시도 없는 것들도 있습니다.
초보인 제가 5~6만원 대에서 속도저하가 없는 이론상으로의 L2 스위치를 쓰고자 한다면
수많은 쇼핑몰 제품중 무슨 항목을 중점적으로 봐야 할까요?
그냥 위에 링크한 6만원짜리 hp 제품같은 메이커 쓰면 아무걱정이 없을까요??
당근 2016-10
디링크 기가비트 스위칭허브 4포트와 8포트 사용중인데 안정성은 괜찬은듯합니다.
사이즈도 작고 디자인도 좋습니다.
     
이문영 2016-10
추천 감사드립니다!!
박문형 2016-10
스윗치 허브는 좀 쓰다보면 24포트도 모자르게 될 것입니다..
     
이문영 2016-10
넵 감사합니다!
일단 8포트로 알아보고 있는데요.
생각해보니 좀 부족할 것 같아서
다시 16포트짜리로 알아보는 중입니다....
ZSNET5 2016-10
1. L2 스위치중에 더미스위치라고 불리는 것들은 대역폭 나눠갖는 허브랑 같은건가요?
  아니면 대역폭 나눠쓰는 더미허브보다는 더미스위치가 더 좋은거라 대역폭 충돌은 없는건가요.
>>>> 현 시점에서 "더미허브"는 신품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특히 기가빗을 지원하는 "더미허브"는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물건입니다.(중고든 신품이든)
        현재 "허브"라고 부르는 것들은 실제로 모두 "스위치"입니다. 다만 네트웍의 물리적 구성방법에서 서브와 스위치의 용법이나 모양이 유사하기 때문에 그냥 허브라고 부르는 것 뿐입니다.

2. 어떤 스위치들은 스위칭용량이라는게 적혀 있던데,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위에서 잘 설명되었으니 패스합니다. 클수록 좋은겁니다만 가격이 비싸죠.

3. L3 스위치와 허브모드공유기는 하는 역할이 같다고 봐도 되나요?
>>>> 아닙니다. L3는 라우터와 동일하다고 보셔야 하는데, 일반적인 공유기는 2포트 라우터+스위치로 보셔야 됩니다.

4. L2 스위치 중에 더미와 지능형은 스펙에서 볼 때 어떻게 구분하나요?
>>>> Inteligent 혹은 Management 라고 스펙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다른 구분방법으로는 콘솔포트가 있으면 지능형이라고 보셔도 거의 맞습니다.
        Smart는 약간 다른 내용이니 주의하셔야 하는데, 대부분 관리기능이 있기는 하지만 좀 약한 경우 Smart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이문영 2016-10
답변 감사드립니다!!!
혹시 스위치라고 판매하는걸 구입했는데
더미허브 당첨될까봐 걱정했습니다.
허브로 판매되는 물건이 실제로 스위치라면
스위칭용량이라는건 왜 있는건가요?
애시당초 스위치의 정의에 보면 맥주소로 1:1 스위칭하므로
대역폭에 상관없이 속도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되어있는데요.
아....네트웍장비는 너무 어렵네요......
닥치고 대기업껄 사면 좋겠지만,
자금여유가 많지않으니 싼거싼거 알아보다
스펙이 하도 다양해서 그나마 쓸만한걸 고르려는데......힘드네요. 하하하
          
ZSNET5 2016-10
스위칭방법에는 Cut-Through, Interim Cut-Through, Store-and-Forward 등 여러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논리적으로 간단히 설명하는(동작원리를 설명하는)자료에는 1:1로 가상의 서킷을 형성한다고 되어 있지만, 실제 환경에서는 절대 그렇지 않지요.
하여튼 여러가지 이유에 의해서 스위치에는 항상 프로세서와 메모리가 탑재되게 되고, 포트가 많고 트래픽이 많을 수록 더 많은 자원을 사용하게 되니 당연히 더 빠른 프로세서와 더 많은 양의 메모리가 필요한건 당연해 지는 겁니다.
               
이문영 2016-10
아....이론이라는게 대충 설명해놓은 것이었군요.....
가격 = 성능이란 불변의 공식이 생각나네요.
감사드립니다!!!!
박문형 2016-10
더미허브는 거의 20여년 전 물건으로 보시면 됩니다.
(5포트 더미허브 하나 있음)

스윗치허브중에 메니지먼트가 되는 것들은 보통 프로세서와 캐쉬 메모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패킷을 전송할 때 얼마만큼의 내부 대역폭으로 전송이 가능한지 적혀 있습니다.

이게 그 스위칭허브가 감당할 수 있는 스위칭 용량입니다.

집에서 개인적으로 사용하시려면 넷기어 정도가 무난하리라 봅니다..

좋은 장비급으로 가려면 시스코,HP.DELL 정도입니다..
     
이문영 2016-10
스위칭용량이 일단 큰걸 사야 쓸만하겠네요.
이론상의 스위치와 실사용의 스위치가
다르다는걸 잘 알게 되었습니다.
비싸더라도 대기업 스위치를 알아봐야겠네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박문형 2016-10
http://www.edge-core.com/

https://www.arista.com/ko/

개인 장비는 아니지만

돈이 문제죠..
     
ZSNET5 2016-10
원 글을 읽어보니 가정이나 소규모 사업장인데요...
너무 과한걸 제시하셨습니다. ^.^;;


QnA
제목Page 2209/5725
2014-05   5244342   정은준1
2015-12   1769779   백메가
2016-10   6186   Sunrise
2016-10   5093   땅콩껍데기
2016-10   4081   나라뜨
2016-10   4830   쿰척쿰척
2016-10   4851   u012u4011
2016-10   4376   장동건2014
2016-10   5527   뮤라
2016-10   5670   김하성
2016-10   5363   눈팅돌이
2016-10   5343   방o효o문
2016-10   4953   슬루프
2016-10   5758   하쿠나마타…
2016-10   5801   큐님
2016-10   5392   jpross
2016-10   4417   밤기차
2016-10   8557   슬러그
2016-10   27611   yeondoo
2016-10   6754   암브로시아
2016-10   4231   임시현
2016-10   3751   임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