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기 패킷 캡쳐 관련 질문드립니다.

   조회 21554   추천 0    

안녕하세요.


공유기에 무선 연결된 기기들의 패킷은 캡쳐하려고합니다.
이유는 IoT기기등을 연결할 때 기기와 서버에서 오가는 내용을 보려고 하는 것인데요.
방법을 크게 4개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1. 네트워크 TAB장비 사용
2. Proxy
3. 라즈베리파이에 무선랜 달아서 AP Mode

4. MITM.......


그런데 2번은 기기마다 설정이 어려워서 Pass, 3번은 뭔가 마음에 들지않아서(무선 안정성, 속도 등)으로 Pass, 4번은 할때마다 귀찮을 것같아서 Pass하고 1번 선택지만 남았습니다.

그런데 제가 TAB 장비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지라 이러한 상황에서 TAB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맞는지, 또 어떤 모델, 혹은 제조사가 좋은지 잘 모르겠습니다


부디 조언 부탁드립니다.

2, 3, 4번 방법과도 관련된 조언도 상관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ZSNET5 2016-11
서버가 내부(우리집)에 있다면, 서버에 와이어샤크 깔아서 보시면 되지 않나요?
그리고, 공유기의 WAN측에서 데이터를 보고 싶다면, PC에 랜카드 2개 끼우고(저는 노트북을 씁니다만..) 브리지로 그 랜카드들을 묶은 다음에 와이어샤크로 모니터링 하면 됩니다. 탭은 필요 없어요..
     
Christopher 2016-11
1. 서버는 내부에 없습니다...ㅠㅠ (IoT보일러같은 경우예요.)
2. 공유기는 망 분리가 되어있어서요...아예 외부IP가 다르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ZSNET5 2016-11
그러니까요....
다른거 하려면 머리도 복잡해지고, 비용도 많이 들어가니까..
그냥 PC에 랜카드 2개 끼운 다음에(기본적으로 하나는 있을테니 하나만 더 끼우면 되지요) ...
이 두개의 랜카드를 브리지로 묶어줍니다.
그런다음 와이어샥으로 모니터링 하면 되죠..
저는 노트북+USB랜카드로 구성해서 가지고 다니면서 패킷 모니터링 하는데 잘 사용합니다.
브리지된 랜카드에는 IP를 줄 필요도 없이 그냥 흘러가는 패킷을 말 그대로 구경할 수 있습니다.
더미허브나 탭 쓰는것과 완전히 동일하며, 스위치의 포트미러링을 설정할 필요도 없습니다.
               
Christopher 2016-11
아....무슨 말씀인지 알겠습니다.
윈도우 자리에 라즈베리파이 꽂아서 tcpdump뜨게해도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김황중 2016-11
패킷이 내외부에서 움직일수 있기에
공유기를 기준으로 두군데다 패킷 캡처장치를 넣으시면.....^^;;;


빨간 벽돌 지점입니다.

사용하시는 공유기가 IDS기능이 있으면 참 좋을텐데 말이죠.....ㅋ
     
Christopher 2016-11
그런 공유기가 있을리가요...ㅎ
패킷 캡쳐 장비는 어떤게 있을까요?
          
김황중 2016-11
네 있긴 있어요......^^;
단지 공유기라고 않부르고 방화벽이라고 불러서 그렇지.........


패킷 캡처는
서버 양쪽에 거시고 pfSense 거쳐 흐르게 하거나 (pfSense에 IDS기능이 있습니다)
양쪽 서버에서 패킷만 passthru 스키면서 와이어샤크로 패킷 뜨시면 되지 않을까 싶네요.
               
Christopher 2016-11
답변 감사합니다.
참고하겠습니다.
ASR9K 2016-11
L2스위치 중에서 미러링(SPAN) 기능 되는 장비가 있음 좋구요.없으면 스위칭기능 없는 더미허브 쓰시면됩니다.
작성하고 보니 무선 트래픽이네요...
무선 ap의 기능중에서 미러링 되는 ap를 본것 같은데...
     
Christopher 2016-11
답변 감사합니다.
더미허브....이제는 구하기도 힘들지 않나요?
미러링되는 ap는 무지 비쌀 듯하네요.
송진홍 2016-11
ipTime 공유기 일부 모델의 경우 포트미러링을 지원합니다... 참고하세요...^^
http://iptime.com/iptime/?page_id=67&pageid=1&mod=document&keyword=미러링&uid=7427
     
Christopher 2016-11
넵, 답변 감사합니다.


QnA
제목Page 2193/5730
2014-05   5265631   정은준1
2015-12   1790632   백메가
2020-12   6056   류승완
2018-07   3598   Nikon
2022-06   3148   융합
2020-12   4583   song05
2019-09   4159   heck
2015-03   6017   하히휘헤
2017-04   3917   나파이강승훈
2022-06   2278   미스티
2016-05   4593   마징가
2017-04   4257   페르세우스
2015-03   6756   김효수
2013-11   10217   유재명
2015-03   12338   백남억
2011-05   7738   스마일1
2015-03   5310   송주환
2015-03   4515   오성기
2016-05   6020   94hs
2020-12   3465   영산회상
2022-07   1918   화정큐삼
2024-02   2280   ky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