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d Card, SATA 확장카드 선택 관련 질문드립니다.

   조회 5927   추천 0    

 안녕하세요.

SATA HDD 6TB 4개를 SW Raid 5로 묶으려고 합니다.

HDD를 메인보드에 붙이지 않고 PCI-E카드를 사용하려고 하여

1. SATA 확장카드 (주로 Marvell 칩셋 사용)

2. Raid Card IT 펌웨어

이 둘 중에 선택하려고 합니다.


1번과 2번 선택지가 SW Raid를 묶었을 때 성능, 안정성에서 차이가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황중 2016-11
http://2cpu.co.kr/bbs/board.php?bo_table=4raid&wr_id=2061&cwin=1

즉 sata 확장카드는 sata포트 확장용이고
IT 카드 또한 포트 확장 카드입니다

그러므로 확장카드로 레이드 사용은 os내 레이드인 소프트웨어 레이드만 가능하고
안정성 면에서
확장 카드를 이용한 레이드 5사용은
잘 사용하지 않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레이드 5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레이드 사용을 권장 드립니다

근데 굳이 포트가 모자란게 아니라면
확장카드를 사용할 이유가 있을까 싶네요
     
Christopher 2016-11
ESXi에 카드를 Passthrough하려고 합니다.
S/W RAID는 어떤 카드를 사용하느냐에 상관없이 OS에서 단일 디스크로 인식되면 됩니다. 따라서 단순 확장카드와 RAID카드에서 차이가 나는 건 없습니다.
     
잔다르크 2016-11
성능과 백업을 위한 RAID가 아니라 단일디스크로 인식하는게 목적이라면 관련 프로그램을 사용하는게 더 간편하고 비용도 들지 않습니다.
izegtob 2016-11
HDD용이라면
LSI SAS2008 칩셋 달려있는거 쓰시면됩니다
ex) LSI 9211-8i

안전성 생각하신다면
ECC램 꼭쓰세요
UPS도 다시구요
전 일단 ECC에 UPS까지 있으니깐 SW레이드 씁니다
데이터 무결성이 보장이 안되면 소프트레이드 쓰면 찝찝합니다

둘다 조건이 안된다면 BBU달린 하드웨어 레이드 쓰셔야됩니다

참고로 내장SATA쓰셔도 됩니다 꼭 확장카드일필요는 없어요
     
잔다르크 2016-11
혹시 UPS는 용량 얼마짜리 사용하고 계신가요?
          
izegtob 2016-11
BE 700KR
405W
짜리씁니다
               
잔다르크 2016-11
정보 감사합니다^^
     
Christopher 2016-11
ESXi에서 passthrough하려고해서요...
카드쓰면 거기 연결되어있는 HDD가 한번에 올라오는 장점이...ㅎㅎ
AKA지니 2016-11
레이드5  하시는데... 캐쉬없는 상태면... 쓰기 대역이 거지같이 나옵니다
그래서 1번 2번 둘다 선택사항이 아닌걸로......
다른 카드 알아보셔요
     
izegtob 2016-11
소프트레이드는 시스템 램 일부분을 캐쉬로 씁니다
1번이나 2번 둘다 해도 상관없어요

http://2cpu.co.kr/bmt/2022
5개로 레이드6 했는데도
쓰기 150나옵니다
램캐쉬는 50MB이하로 둔상태입니다
     
Christopher 2016-11
그래서 램을 많이 주려구요.^^
박문형 2016-11
묶는데 일주일 이상 하드 하나 리빌드하는데 일주일 이상 걸립니다..

계속 켜둬야 하지요..
     
Christopher 2016-11
사실 그게 고민이기는한데요...
일단 램많이 주고 써보려구요...
답변 감사합니다.
izegtob 2016-11
어레이 생성 4테라 5개 레이드6시
25시간정도 걸렸습니다

램 캐쉬 많이주는건 좋은 생각이 아닐겁니다
그말은 강종시 그만큼 자료가 날라간다는의미 이기 때문에..
     
Christopher 2016-11
어.... 생각해보니 그렇네요....
읽기 캐시로만 쓰기는 싫은데...
방법이 있을까요?
PC용 BBU같은게 있나요?....UPS가 있어도 갑자기 죽을 수도 있는데 고민이 생기네요.....ㅠㅠ
          
izegtob 2016-11
전그래서 램캐쉬는
그냥 디폴트값 씁니다=50MB미만
그리고 성능은 걱정 안하셔도될거 같에요
E3 1220V2만 되도 씹어먹던지라...
박문형 2016-11
보드 메모리를 캐쉬로 사용하는 레이드 프로그램은 넥센터 같은 것 밖에 없을 것입니다.

온보드 바이오스로 묶는 것은 캐쉬 메모리를 할당하지 못합니다.

윈도우즈 안에도 소프트레이드가 있긴 한데 그것이 캐슁을 하는지는 모르겠네요..
김윤술 2016-11
소프트레이드 쓰는거에 따라 달라질수 있는데 UPS 가 있으면 메모리를 캐쉬로 쓰긴합니다. ZFS도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메모리 캐쉬상태를 디스크와 동기식으로 저장하느냐 비동기식으로 저장하느냐에 있습니다. 다른 소프트레이드도 마찬가지입니다. BBU가 있는 하드웨어 레이드라고 한들 안깨지라는법 없습니다. 깨질놈은 깨집니다. 강제종료를 하든 정전을 하든 앞단에서 작업하는 서버나 어플단에서 미리 종료가 되었다면 다 커밋되는 타이밍만 살아 있고 강제종료되도 데이터는 깨지지가 않습니다. 즉 소프트레이드를 사용하는 스토리지단만 몇초 늦게 꺼져도 데이터는 안깨진다는거죠. 쓰기램을 많이 주고 싶으면 UPS를 달아두는게 좋고 UPS 없으면 쓰기램을 적게 주는게 좋습니다. 메모리 캐쉬의 휘발성 문제때문에 SSD 같은걸로 쓰기캐쉬를 활용하는게 요즘 추세입니다. 아무리 고가 스토리지여도 정전되면 DB같은건 안봐주고 다 깨집니다. 서버실이나 IDC 같은데서는 정전될일이 없으니까 깨지는걸 모르는거지 실제 준비되지 않고 꺼지면 데이터 깨졌다고 난리칠 업체 많습니다. 즉 스토리지가 행증상이 있었거나 뭔가 락이 걸려서 강제 종료를 해야한다면 그 스토리지에 물린 서버들을 전부 종료하고 내리는게 순서인데 스토리지에 락이 걸려서 서비스가 안돌아간다고 커맨드로 죽였다가 데이터 날려먹는 케이스도 종종 봤습니다. 서비스가 장애가 있더라도 스토리지는 무조건 후순위로 내려야만 최종 데이터를 보호할수 있습니다.
     
Christopher 2016-11
답변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QnA
제목Page 2185/5725
2014-05   5240447   정은준1
2015-12   1765902   백메가
2016-11   8469   하늘마루
2016-11   4875   주태형
2016-11   4762   똘배
2016-11   4942   짱짱맨
2016-11   8634   황성진
2016-11   4982   Won낙연
2016-11   17463   공돌이에요
2016-11   5342   컴박
2016-11   5446   꿈돌이친구
2016-11   4866   늘파란
2016-11   4930   Sunrise
2016-11   5185   쌍cpu
2016-11   6362   장동건2014
2016-11   9520   Christopher
2016-11   6694   SkyBase
2016-11   18115   NGC
2016-11   10718   1CPU지창훈
2016-11   5440   김하성
2016-11   5705   악마라네
2016-11   4579   j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