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컴인데 컴터와 관계 있읍니다.

Win31   
   조회 6464   추천 0    

 옛날 구입한 KEF BBC LS3/5a Class 2 Monitor 가 한 조 있읍니다, 그 동안 사용을 얼마 안하고 다른 스피커를 썼는데, 이 스피커를 컴퓨터와 연결 할려면 어떤 앰프가 좋은지... 트란스 또는 진공관앰프 중에 어느게 좋은지요? 


고맙습니다.



Windows 3.1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Christopher 2016-11
간단히 알리에서 TPA3116을 구매하여 사용하실 수도 있지않을까요?
     
Win31 2016-11
TPA3116 이 앰프는 스피커에 비해 조금 약한듯 한데요...
          
이규섭 2016-11
해당 앰프면 넘칠 듯 한데요.
안현상 2016-11
본인이 좋아하는 소리성향이 아날로그타입인지 디지탈타입인지 먼저 결정하셔야 할듯합니다.
앰프 종류별  소리의 차이는 글로 설명하기 조금 애매하군요..
디지털 음색과..아날로그 음색..
디지털음색이라면 그냥 TR앰프를 쓰시면 될테고 아날로그음색을 좋아하신다면 진공관이 나을테지요..
그런데 TR이라하더래도 기기별 소리의 퀄리티(?)차이가 엄청많구요..  아날로그는 더 심하다고 보시면 될것같아요.
     
안현상 2016-11
질문이 조금 막연해요...^^;  스피커도 탐나는군요...^^;
          
Win31 2016-11
집에 있는 스피커 중에 제일 작은 겁니다, TR 앰프에 Dac 연결 하는 거와 진공관 앰프에만 연결하는거와 차이를 모르겠네요, 진공관 앰프는 많이 사용해 봤는데 그 때는 컴터와 연결 안했었고 TR 앰프에 Dac은 안써봐서요, 아, 더 작은 스피커도 있긴 한데 야구공 만한 스피커라기 보다는...
               
안현상 2016-11
보스큐브 같은것 인가보네요.작으면서 쨍하죠.. ^^
               
이규섭 2016-11
PC에서 아날로그 앰프로 출력을 뽑으려면 DAC이 있어야죠.
박문형 2016-11
우선 TR앰프가 맞아 보입니다..

컴퓨터 입출력이랑 임피던스가 맞을려면 진공관 보다는 TR앰프로 판단됩니다.
     
Win31 2016-11
TR 앰프면 마란츠 2330BD 를 Linn LP 12, 토렌스 등을 달아 들어 왔는데 이 앰프가 너무 무겁고 큽니다 전기도 많이 먹어요, 이 외 여러 TR 앰프가 있는데 일일이 달아 본다는게 귀찮네요...
안현상 2016-11
DAC는 보다 원음에 충실하게 접근하려는 노력이구요. 어떤 앰프종류이든 DAC를 통해 앰프로 입력하시는 좋죠..
제 경우는 컴퓨터 사운드카드+DAC+진공관 프리+진공관파워(300B)로 듣고 있어요..
음원에 따라 CDP 혹은 다른소스기기 입니다.
     
Win31 2016-11
다른 소스 보다는 컴터나 하드에 들어있는 소리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들어보려고요.
박문형 2016-11
배선을 만들수 있다면 컴퓨터 아웃풋 단자에서 스피커로 직결해서 들을 수 있을 듯합니다..

컴퓨터 스피커 아웃단자도 세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스피커를 구동 가능할 것입니다..
     
Win31 2016-11
오디오를 조금 만져서 배선은 만들 수 있는데 바로 연결하면 소리 증폭은 안될 것 같은데요 그리고 아날로그 소리가 아니라 디지털 음원 이잖습니까...
          
박문형 2016-11
보드나 사운드 카드가 무엇인데요??

컴퓨터 오디오 아웃풋은 보통 스테레오 단자를 이용하면 아날로그 RCA나 광단자를 이용하면 디지탈(SPDIF)입니다.

지금 나오는 컴퓨터들도 아웃풋은 거의 아날로그로 보시면 맞습니다.
이규섭 2016-11
앰프야 만원짜리부터 1억짜리까지 아무거나 연결해도 되죠. 다만, 11옴 임피던스 매칭은 요새 제품으론 좀 힘들지 않을까 하네요.
허나 소리 성향이야 개인차이가 크니 직접 끼워보시기 전엔 누구도 답변을 못드릴듯 합니다.

그리고 컴터에 들어있는 소리를 아날로그로 듣는 도구가 DAC이죠. 디지털로 저장되어 있는 음원을 아날로그로 재생하는겁니다.(Digital to Analog Converter)
흔하게는 내장사운드, 사블 등의 사운드카드는, 요새 많이 사용하는 USB DAC은 물론, 광입력을 패스스루로 받는 인티앰프/리시버 모두 DAC 기능을 하는 것입니다.

참고로 요새 싸구려 앰프들 무시하시면 안됩니다.
음색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출력이나 기본적인 앰프로서의 기능은 저 스피커가 나올 당시 몇천만원짜리 앰프나 차이는 없습니다.
진공관이나 고가의 빈티지 앰프를 쓰는 것은 음색때문인지 성능때문은 아니죠.
     
Win31 2016-11
설명 고맙습니다 먼저 Dac 부터 구해야 겠읍니다 만 종류가 너무 많아요...
          
저렴이  2만원짜리 usb  es 9018이  가성비  좋습니다..  저도  이것에 3116사용합니다..  물론 더좋은것  써도  좋겠지만..  그정도  귀라면 pc fi가 아닌 hi fi로  가셔야합니다
               
Win31 2016-11
Fiio D03K 는 괜찮은 제품인가요? 비싼 제품은 구입할 여유가 없어요.
                    
안현상 2016-11
제 경험으로는... DAT가 근래 가격이 싼지라 dac대용으로 쓰고 있어요.
DAT의 DAC 기능이  탁월하니깐요.
적당한 소니,혹은 타스캄으로해도 20만원 정도면 아주 좋더군요.
                    
그제품도 좋아 보입니다만 만일  광 관련 포트가 필요치 않드시다면
http://item2.gmarket.co.kr/Item/detailview/Item.aspx?goodscode=846466589&GoodsSale=Y&jaehuid=200002657
http://shopping.interpark.com/product/productInfo.do?prdNo=3931592385&dispNo=016001
 전 브리츠 9018 usb dac+ 브리츠 tpa3116 조합으로 사용합니다.
전 중고딩 나라에서 지금도 그분이 팔기는 하는군요 각각 3만원 해서 6만원에 구입했습니다.
브리츠 tpa3116이 약하시다면 그상급도 있습니다...
중고딩나라에 검색해보시면 파는 분 있죠.... 그분이 이두개 도 팔고 3116 이상급도 파시더라고요..
앰프는 아답터 별도 인듯 합니다. 저는 노트북 아답터 사용했습니다...
아 그리고 제가 소개시켜는 드리지만 보장을 못합니다... 이유는 사실 사람마다 듣는것이 달르고 만족도가 다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하지만 지금 pc-fi 관련 하신분들은 대부분 9018dac이 좋은 소리를 내준다  50만원 이상 어떤분은 200만원짜리 진공관보다 좋다... 라고 하네요..
제가 들어본 입장에선 저에게는 맞는 소리이다... 입니다.... usb dac 이 저렴이다보니 ddc를 통하지 않아다 리얼 dsd까지는 플레이 안되는것 같습니다만 해보지는 않아서 확실하지 않습니다.  네이x 좌xx돌오디오 까페에 관련 정보 많으니 보시는것도 좋을듯 합니다.
                         
Win31 2016-11
설명 고맙습니다, 알아보니 TPA 5613 이나 Bitway A3 등도 있네요...
                         
Win31 2016-11
중고딩 나라 3년전에 제 아이디 비번 해킹 당해서 평생 재 가입 할 수 없다고 합니다 몇번 시도 해 보고 아이디 바꿔 해 봐도 재 가입이 안 되네요 ...
HL2MLB 2016-11
금속저항을 추가해서 8오옴으로 하거나 ? 글쎄요 뭐 좋은 방법이 ... ???
제온프로 2016-11
스피커가 예뻐서 컴퓨터로 개조 해도 될 것 같습니다..
내부 들어내고.. 그 안에 다소곳이 itx 시스템으로 넣어주면 이쁘겠군요..
2cpu 인의 정채성


QnA
제목Page 1792/5722
2015-12   1753788   백메가
2014-05   5226350   정은준1
2020-03   6468   머리감자
2010-10   6468   김건우
2005-05   6468   나강문
2011-08   6468   분당김동수
2005-07   6468   오원택
2005-03   6467   안창준
2016-07   6467   도브샴푸씀
2008-08   6467   노하석
2016-05   6467   아스란
2022-12   6467   스쿱
2005-03   6467   한동훈
2005-05   6467   장승식
2005-05   6466   이승현
2015-03   6466   안형곤
2005-06   6466   예병기
2009-06   6466   문양호
2005-03   6466   전재민
2014-08   6466   잇힝잇힝
2015-08   6466   hayoung
2005-05   6465   전재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