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3258 |
25 |
2015-12
1763258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7557 |
0 |
2014-05
5237557
1 정은준1
|
71032 |
pcie 16x슬롯이 글픽카드 전용의 16배속 전용말고 8배속과 공유한다는건 16배속기기… (6) |
김건우 |
2016-11 |
6012 |
0 |
2016-11
6012
1 김건우
|
71031 |
pcie 16x슬롯이 글픽카드 전용의 16배속 전용말고 8배속과 공유한다는건 16배속기기… (2) |
박문형 |
2016-11 |
4494 |
0 |
2016-11
4494
1 박문형
|
71030 |
z420에 윈도우와 맥OS를 설치하고자 합니다... (12) |
김도형 |
2016-11 |
6210 |
0 |
2016-11
6210
1 김도형
|
71029 |
PCI-E SSD 구입하는데 조언 좀 (6) |
밤기차 |
2016-11 |
5637 |
0 |
2016-11
5637
1 밤기차
|
71028 |
VM 에 설치한 Windows 10 인증은 어떻게 처리되는 걸까요? (8) |
무아 |
2016-11 |
9529 |
0 |
2016-11
9529
1 무아
|
71027 |
Dell R710 질문 (2) |
Sunrise |
2016-11 |
4375 |
0 |
2016-11
4375
1 Sunrise
|
71026 |
하드 인식문제인데... 실제로 이런게 가능한가요? (17) |
알약통 |
2016-11 |
5464 |
0 |
2016-11
5464
1 알약통
|
71025 |
web 기반 virtual machine 이 있다는걸 이 사이트에서 본적이 있는데... (7) |
Jjun |
2016-11 |
4807 |
0 |
2016-11
4807
1 Jjun
|
71024 |
산부인과, 태아기형검사 결과에 대해서.. (8) |
편한세상 |
2016-11 |
5226 |
0 |
2016-11
5226
1 편한세상
|
71023 |
동네 떠돌이 개는 어디다 신고해야 하나요? (5) |
무아 |
2016-11 |
7879 |
0 |
2016-11
7879
1 무아
|
71022 |
rx480 제조사 어디가 좋을까요? 4gb $169.99 / 4gb $199.99 (19) |
faeqpd |
2016-11 |
6614 |
0 |
2016-11
6614
1 faeqpd
|
71021 |
블프 핫딜 이런것은 어디 가면 볼수 있나요? (5) |
미수맨 |
2016-11 |
5187 |
0 |
2016-11
5187
1 미수맨
|
71020 |
600W 파워의 서버에는 UPS 용량 어느정도가 필요할까요? (8) |
이니이니 |
2016-11 |
6031 |
0 |
2016-11
6031
1 이니이니
|
71019 |
GA-H61M-S2PV (rev. 2.2) 에 제온 E3가능할까요 (2) |
알파고 |
2016-11 |
4744 |
0 |
2016-11
4744
1 알파고
|
71018 |
DL380 G9 v4서버에 삼성 메모리 PC4-2400메모리 장착시 alert이 뜰지 궁금합니다. (3) |
Dominozlol |
2016-11 |
4768 |
0 |
2016-11
4768
1 Dominozlol
|
71017 |
DL380 G9 v4서버에 삼성 메모리 PC4-2400메모리 장착시 alert이 뜰지 궁금합니다. (1) |
김황중 |
2016-11 |
3970 |
2 |
2016-11
3970
1 김황중
|
71016 |
Asus 공유기 WOL 질문 입니다. (3) |
밧슈 |
2016-11 |
6886 |
0 |
2016-11
6886
1 밧슈
|
71015 |
CentOS 7 & Microserver N36L (1) |
byeworld |
2016-11 |
5223 |
0 |
2016-11
5223
1 byeworld
|
71014 |
이놈 뭐하는 놈인가요? (6) |
김윤술 |
2016-11 |
4315 |
0 |
2016-11
4315
1 김윤술
|
71013 |
NAS서버, ARM과 i3급 성능차이가 클까요? (23) |
그파 |
2016-11 |
5348 |
0 |
2016-11
5348
1 그파
|
저렇게 3디 모델링 되어
빙글빙글 돌려 볼 수도 있고 그렇던데
남들과 다르게 그런 서비스를 제공하면 어떨런지...
대신 시간이 좀 걸립니다.
돈받고 하실 예정이시라면 저것보다 훨씬 퀄리티 있어야 하지 싶고요..
스케치업이든 캐드든 저런식으로 디자인 해주는곳 찾아보시면 많을겁니다..
시공 업자들이 자기들은 공사를 하는 과정에서 어떻게는 수익을 낼 수 있으니 그냥 거의 날림 설계 가져다가 시공을 하죠
면적이 작은 건물은 신고건이기 때문에 도면이 덜들어 갑니다.
글쓰신분 생각보다 건물디자인에 관심 없는분들이 많습니다. 건축주 대부분이 뭐가 디자인이 좋은건지 몰라요
올려주신 이미지의 디자인이 좋다고 생각 하시나요?
안좋으면 뭐가 안좋고 좋으면 뭐가 좋은가요?
그냥 내마음에 들면 좋은거지뭐~ 이러는 분들도 있을겁니다.
돈 앞에서는 다 의미가 없어지죠
이러나 저러나 건축을 허가 받으려면 건축사가 필요한데 건축주와 건축사 사이에 비집고 들어갈 틈이 없습니다.
건축주를 잡아서 디자인을 중간에하고 건축사를 소개해주는 브로커가 되어야 가능 하겠죠
아니면 건축사가 일을 줘야 하는데 시골주택 어르신들이 설계비 300~500이면 되는지 알고 있는데
기계 전기 설계비, 위생배관 설계비, 사무실 인건비, 부대비용 등등하면 50만원에 3D를 맡기겠습니까.
주택은 최소 1000만원은 받아야 좋은 설계가 나옵니다. 2000만원도 받고요 주택 설계비 4000만원짜리도 수행 해봤습니다.
유명작가들은 기본 5000~6000입니다.
30평주택 설계비 1000만원 이상 받는 사무실은 저게 예전부터 기본으로 나가고 있습니다. 모형도 만들어서 주고요 5~6000씩 받아서 수행하는 작가들은
건축주가 감동할 정도의 디자인 서비스가 있고요
** 모든 건축사 사무소가 1000만원만 주면 잘해준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현실적으로 보면 상당수는 디자인에 관심이 대부분 없는거 같습니다.
근데 1000만원씩 주고 하시는 분들은 돈있는 분들이고 요즘은 100-200만원에도 기본설계도만 만들어 준다고 하드군요.
그리고,,,,,
돈이 되지 않으면 좋은 품질의 결과물이 나오지 않습니다.
(어떤 일이든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나오는 결과물은 신뢰도가 떨어질수 있기에...)
제가 이런 분야의 가격은 모르지만,,, 작게 보았을 때 200선 정도는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추후,,, AS는 보너스로 해 주더라도요 ^^
지금 올린결과물정도라면.. 무료라도 다른곳에 돈주고다시 의뢰할것같습니다.
위의 결과물은 이미지컷 했을때 저런 형식으로 나온단 의미이고요..
3d로 동영상도 구현이 가능합니다.
문제는 수요가 없으면 취미로 하든가 포기하든가 해야겠지요..
뭐 하긴 대한민국에서 공짜만 다들 좋아하니 좋은 퀄리티 나오긴 힘들고 전문적인 곳 몇군데 아니면 거의 힘들것으로 생각 되어집니다,.
집사람이 재미로 저 비슷한걸 합니다... 하시는 일과는 분명 다릅니다.. 순수 본인의 재미로 해서 갖고 노는 용도 니까요...
남의 집 그려주고 그런게 아닙니다.. ^^:;; 순수 재미 입니다..
그것도 디자인 앱이 아니라.. 게임으로요...
심즈2를 저렇게 갖고 놉니다.. 심 키우는것은 취미가 없고..
부지 선택해서 집 짓는 놀이 합니다.. 외부는 물론이고.. 내부 배열 기구 배치 모든걸 제법 디테일 하게 할수 있습니다.. 복층 , 2층 모두 가능하고...
뭐 아주 디테일한 굴곡을 제외 하곤...그럴싸 하게 됩니다...
솔직히 말씀 드리면.. 그 게임에서 나오는.. 외관 디자인이.. 올려주신 이미지 보다 훨씬 디테일 합니다...
심즈 커뮤니티에 가면.. 개인들이 직접 만든 소품들이나 벽지 디자인.. 외벽 디자인 패턴들이 많이 있어서.. 그것까지 삽입해서 제대로 만들면...
ㅎㅎ...진짜 멋집니다...
당연히 3D뷰로.. 다 봐집니다...
https://youtu.be/eyQhGNYbz_M
함 봐 보세요...ㅎ
치트를 좀 써가며 하면... 원래 안되는 좀 더 디테일함도 가능하다고 하더라고요..
좀 더 큰 컷은 300~500만원이지만 많이 고쳐요....상업적으로는 힘들어요.
요즘은 기본이 3D 지원이고, Floorplanner나 Mysketchers 등과 같이 무료에다가 시간도 별로 안걸리는 것들도 많이 나와있어서 기본적인 부분은 크게 메리트가 없지 않을까 합니다.
제대로 된 건축사 사무소 수준이 아니라면 쉽지 않을듯합니다.
저도 취미삼아 집안 인테리어, 가구정리 할때 평면도 + 실측값 floorplanner에 입력시켜놓고 작업합니다.
능력있으면 직접 집도 지으면 되고 기본 평면정도는 해도 됩니다.
관련 사이트에서 어느정도 능숙한 사람이라면 내부 평면도까지 20분정도면 저 이상의 퀄리티가 나오기에 말씀을 드린것입니다.
Autodesk나 전문성이 필요한 부분이나 조감도, 비싼 건물들은 논외로 하고, 일반적인 주택들은 심즈정도 할줄 아는 분이라면 충분히 접근 가능해진 상황입니다.
공구리 치는것이나 몰탈 까는거랑은 완전히 다른 문제입니다...
영상 참고 한번 해보세요 :) https://youtu.be/ML-eAZWuHow
아예 디자이너처럼 정말 실력있고, 수상경력 있으면서, 업계 순위권인 회사라면 모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시작하는 분들이, 건축사들과 커넥션도 없는 상황에서 저 퀄리티로는 경쟁력이 부족할듯 하여 솔직히 말씀드리는것입니다.
정말로 솔직한 의견을 듣고싶어하시는거 같아서 말씀드리자면
저라면 위와같은 디자인과 퀄리티라면
그냥 설계해주는곳에 맡길거같네요..
사실 온라인에서 타인을 비판이나 충고하면 대부분 싫어하거든요..
참고로 설계도나 평면도를 바탕으로 하는 외관디자인 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골조는 설계사쪽에서 하면서(내부구조 역시 같이) 외부만 하신다고 하면 내부, 외부를 따로 디자인 한다는 개념이 맞다면
1. 정말 특이하거나 디자인부분이 강조된 건물
2. 기본골조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선에서의 소소한 외부영역에 대한 작업..
으로 나뉘게 되지 않을까 합니다.
그러나 한국 설계 풍토상... 1번은 상당한 네임밸류가 있어야 하는것이며 퀄리티 역시 엄청 좋아야지 가능하리라 봅니다.
아니면 2번인데.... 그렇게 된다면 그 작업 영역이나 포션이.. 매우 작아지게 됩니다....아니시면 설계사 사무소와 협업을 하시거나(이건 파이 나누기에 가깝죠)
그렇게 되면 사실상 설계나 건축의 개념이 아닌 이미지 제공에 가깝게 되기 때문에 ... 제대로된 비용을 청구하기가 힘들어집니다.
왜냐하면 메인파트가 아니며 언제든지 변경될 소지도 많고, 그 중요도 역시 낮아지기 때문에....
적다보니까 매우 부정적인 글이 되었는데... 한국에서 디자인의 개념이라는게.. 그렇게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 않습니다. 메이져 설계껀이 아니라는 선에서..
일반 적인 건물들은 기존의 있던 주택들의 설계도를 조금씩 변형하면서 사용하는것이 대부분이라.. 설계비 역시 크지 않은데.. 그부분에서 또다시
외부에 대한 영역을 파고 들어가신가도 하면... 안되는것은 아닌데 현실적인 면에서 많은 벽이 있으리라 생각되어집니다.
또한 중요한것은 외부설계를 하신다고 해도 골조나 내부 구조를 전혀 배재하신다고 하는것은 힘들지 않을까 합니다....
어자피 예술작품을 만드시는것이 아니라 고객(?)에게 팔아야 한다는 조건이라면....네.. 힘든 부분이 많을것이라고 생각되어집니다.
이게 좀 이상하네요
보통 설계사에 따로 요청하거나 하면 조감도도 같이 주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