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모바일 워크스테이션 - 제온이 나올까요 i7 이 나을까요?

   조회 7381   추천 0    

안녕하세요. 

선배님들께 질문이 있어서 드립니다.


모바일 워크스테이션에서 같은주파수대의 i7, xeon이 차이가 큰가요??

뭘로 구매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내년에 프리랜서로 독립 하려고 하다보니 .. 아무래도 일반적인 워크스테이션 보다는 모바일 워크스테이션으로 가야 할거 같습니다.

여러회사제품을 놓고 비교해보니 cpu 가 i7 인 제품이랑,  xeon 인 제품으로 나뉘는군요.

사양을 어느정도 충족 시키려는걸 알아보다보니 i7 6700HQ,  i7 6820HQ, i7 6920HQ,  xeon E3 1505M ~ 1575M v5  가 cpu로 나와 있고 외장그래픽은 quadro M1000M ~ M5000M 의 사양을 가진 것들이 있더군요..     

그런데 i7 모바일이랑 xeon 모바일의 성능차이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i7 으로 갈지 비슷한 사양의 xeon으로 갈지 정하지를 못했습니다.

예를 들자면 스펙상은 i7 6920HQ 랑 xeon E3 - M1575 v5 랑 동일한거 같은데..

나머지 사양 (메모리, 외장 그래픽등) 을 동일하게 했을때 i7과 xeon cpu로 인한 가격차이는  노트북 제조사에 따라 30-100만원 정도로 xeon이 좀더 비싸네요.

이런 경우 i7 과 제온 중에 .. 뭐가 더 나을지요..?????


부연설명을 드리자면....

제가 그래픽 쪽을 하는데... 직장 다니다 내년초에 제가 독립해서 프리렌서로 일하게 됩니다.

문제는 제가 컴알못(이런 용어를 써서 죄종합니다만.. 정말 컴퓨터기기자체는 잘 모릅니다)에 가까운 수준으로 장비자체는 잘 알지 못하는 편인데다가

지금 다니는 사무실도 이전 실무자들이 전부 나가버리셔서 정작 장비에 대해서 물어볼 사람은 별로 없어요.

지금 사용하는 장비(워크스테이션) 는 HP z240 이고... xeon E3 1280v5, 32G ecc memory, quadro M2000 입니다. 

지금 주로 하는 일은 일반적인 사진,동영상은 전부 다루구요.

내년에 독립해서는 의료용영상 편집 및 관리를 주로 하게 되는데.. 

의료용 영상프로그램이나 의료용 3D 프로그램을 돌리려니 사양이 상당한 고사양이 필요하더군요.

프로그램사에 문의하니 그분들도 정확하게는 잘 모르시는데 ...위에 언급한 z240 의 제온 이면 잘 돌아갈거라고 하구요. 스펙 차이가 크지만 않으면  i7 6920HQ 정도도 무리없이 돌아갈 거라고 하는 상당히 애매한 답별을 하시네요.


차라리 i7 이랑 xeon이 어디가 낫다 .라고 말해주면 바로 그렇게 살텐데.. 둘다 돌아갈 거라고 하니 더 어렵습니다.

passmark상으로는  모바일 xeon E3 1575M > 데스크탑 E3 1280v5 > 모바일 i7 6920 HQ 순서 인데... 

(https://www.cpubenchmark.net/cpu_lookup.php?cpu=Intel+Xeon+E3-1280+v3+%40+3.60GHz&id=1964


선배님들이라면 뭘로 가시겠습니까?


지금 계획하고 있는 모바일 웍스는 Thinkpad p70 ,Dell precison 7000 시리즈 , HP zbook studio 17인치 모델들이고

그중에서 그래픽은 동일하게 구성하고 i7 으로 갈지 xeon으로 갈지 고민중에 있습니다. 


선배님들의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이규섭 2016-12
모바일 워크스테이션과 일반 i7 랩탑과의 차이는 일반적으로 모바일 제온 계열 CPU 뿐 아니라 ECC 메모리 채택은 기본이지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쿼드로 계열 그래픽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진 및 영상 작업 시 10bit 컬러 및 쿼드로가 필요하다면 필요불가결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무실에서는 필시 모니터도 별도로 사용할텐데, DP포트 및 10bit 지원여부는 나름 용도에 따라 중요할 수 있다고 봅니다.

즉 CPU보다는 GPU쪽을 초점으로 맞추시고, 이후 작업시의 효율 및 가치에 대해서 판단해보면 답이 나올 것입니다.
     
큰고양이 2016-12
답변 감사드립니다.
일반 영상이나 사진이라면 큰 필요는 없었을 터인데...의료영상기준이 좀 까다롭더군요. 아마도 10bit 컬러및 grayscale모두를 필요로 해서 쿼드로를 써야 한다고 하네요.
전에 다른 프로그램회사에서는 K2200이상을 쓰라고 하더군요...모바일로는 M3000M 이상인듯 합니다.

혹시 쿼드로라면 i7보다 제온이 더 유리한가요? 또는 제온 + ecc메모리를 쓰면 더 유리하다던가 하는건 없는지요??
딸기대장 2016-12
메모리 슬럿이 4개란 것 말고는 단순 속도는 별 차이가 없을껍니다.
순수하게 가성비만 생각하면 한성 데탑CPU쓴 17인치 노트북들이 제일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큰고양이 2016-12
답변감사드립니다.
한성도 가능한지 프로그램 회사에다가
EX76XS BossMonster ONE x29 로 가능할지 확인하고 있습니다.
나비 2016-12
다른 이야기지만

모바일버전 CPU가 현세대 E3-1280 보다 점수가 높은게... 아리송하네요..

1280 - 10,502점
http://www.cpubenchmark.net/cpu.php?cpu=Intel+Xeon+E3-1280+v5+%40+3.70GHz

1575 - 10,993점
http://www.cpubenchmark.net/cpu.php?cpu=Intel+Xeon+E3-1575M+v5+%40+3.00GHz
     
이규섭 2016-12
표본수가 적어서 그런듯 합니다.. 패스마크는 표본수 적은 CPU들 점수는 신뢰할 수가 없더라구요.
물론 1575M의 성능이 워낙 좋아서 솔직히 1280v5급은 아니지만 1230v5급 정도는 나오는 걸로 알고있습니다.(일단 $1200....)
          
큰고양이 2016-12
100프로 믿을수는 없는 순위였군요..
감사합니다.
song05 2016-12
저라면 i7 6920 HQ 이것으로 구입하겠습니다.
xeon E3 1575M 이것은 가장큰 차이는 ECC 지원여부 내장그래픽성능 그리고 0.1클럭 높다는것 입니다.
그런데 가격은 2배 차이납니다.
i7 6920 HQ 하시고 NVME SSD 좋은것 으로 하세요
요즘 삼성960프로 나왔는데 성능이 상당히 좋아요
     
큰고양이 2016-12
답변 감사드립니다.
정말 고민되네요. i7+NVME SSD도 좋은 조합이네요.
ZSNET5 2016-12
그 웍스테이션을 정말 들고다녀야 되는지 부터 먼저 생각해 보시는게 나을껍니다.
개인적으로는 모바일은 모바일일 뿐이라서...
사무실에는 적당한 웍스에 모니터 3개 달아놓고 쓰고 있고...
들고다니는 용도로 10.1인치 윈도 탭북 하나, 차에 싣고 다니는 용도로 15인치 노트북 하나를 사용합니다.
정작 차에 실려있는 노트북은 사용빈도가 0에 수렴한다는게 함정...
     
큰고양이 2016-12
답변 감사드립니다.
일반 사무직이라면 범용 노트북으로 프로그램이 돌아가겠지만.
상당히 무거운 프로그램이라 워크스테이션이 필요하구요.
사무실이 따로 없이, 의료용 워크스테이션을 구매하지 않은 의료기관이나 의료기업체를 방문해서 의료영상를 처리해주는 거라서요. 의료영상은 개인정보이므로 직접 가서 하는 조건으로 일합니다. 저도 그게 아니면 z240 보다 더 좋은거 사무실 마련해서 설치해놓고 웹하드에 파일 올려서 일하고 싶습니다.
오홍식 2016-12
의료용 SW도 어떤 모달리티용에 무얼로 개발되었느냐 따라 다를겁니다..
진단을 위해 영상을 바로 봐야하는 경우라면 모를까.. 의료영상 편집이나 관리용으로 쿼드로가 굳이 필요할지는 조금 의문입니다.
(프리랜서로 가진다면 어떤 요청을 받을지 모르니 대비하셔야 하겠지만..)
저의 경우 US는 어차피 8BIt에 기본 데이터가 워낙 노이즈가 많아 10BPP를 안쓰고..
CT는 윈도우 범위 바꿔가며 확인하는 정도로 불편함 없이 쓰고 있어서 더 그런 생각이 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오히려 병원의 모니터와 작업PC의 모니터가 서로 다른 설정이라 보이고 안보이고 하는 문제를 막기 위해 사용한 캘리브레이션 장비의 덕을 더 본듯 합니다..
담당하실 일이 처리도중 문제 발생시 껐다 켠 후 이어서 하면 된다고 판단되실 경우 xeon은 보험용이라기에는 너무 비용이 큰게 아닐까 합니다..
     
큰고양이 2016-12
답변 감사드립니다.

프래그램 기본 사양자체가 워낙 고사양을 요구하길래 모바일 웍스로 가려고 합니다만 사실 저두 비용적인 면에서 i7쪽이 더 구미가 당기네요.
 i7에 GTX 9, 10 번대로 외장그랙픽으로 충분히 프로그램이 돌아간다면 고사양 게이밍 노트북이 더 구미가 당깁니다. 물론 그 가격도 싸지는 않으나  모바일웍스에 비하면 반값이네요 .
프로그램 업체에 문의해 놓았는데...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그쪽도 잘 모르는것 같습니다.

캘리브레이션이라고 하면 혹시 모니터 캘리브레이션을 말씀하시는 건지요?
아니면 캘리브레이션 장비는 어떤걸 써야 하는지요?
          
오홍식 2016-12
어떤 프로그램인지 밝히신 적이 없어서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말씀드릴수 없겠지만..
캘리브레이션이라면 간혹 병원에서는 보이는데/안보이는데 엔지니어한테 안보이는/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병원도 10BPP는 Xray정도에서나 쓰지 그리 널리 쓰이는것은 아니기에 결국 GPU문제는 아닙니다.
10BPP를 제대로,그대로 보여주는 모니터는 병원에서도 흔치 않습니다..
가장 속 편한건 모니터의 특성을 맞추는 것이니.. 스파이더 같은 캘리로 병원의 모니터 프리셋을 뜨고
가진 모니터를 병원의 것과 가급적 같도록 맞추는 정도면 10BPP보다 환영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결국 알아보지 못하는 것이지만요,..
저는 8BPP를 쓰지만 업무용 모니터는 캘리 맞추기 쉽게 에이조 2xx급을 쓰면서 먼저 캘리로 프리셋을 맞추고 들어갑니다..
               
큰고양이 2016-12
*비밀글입니다
                    
오홍식 2016-12
회사 보안때문에 이제야 답글을 드립니다.. (눈팅족이라 자주 로그인을 하지 않아 댓글 확인을 안하기도 합니다..)
현 시점에서 저는 초음파 영상 기반 진단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업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비교대상이나, 인허가등의 이유로 (상관성 분석) CT와 MR도 함께 다루고 있습니다..
개인적 및 경험상, rendering과 mpr은 사실상 그게 그 이야기이라 생각 합니다.
8bpp와 10bpp의 단면영상 표현력이 아니라, 렌더링 출력  결과물의 차이가 진단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기에 필요하다는 (대학)병원은..
개인적인 경험으로.. 여태 없었습니다..
3D 렌더링이나, 그 결과물을 이래저래 잘라서 MPR로 보여준다는 자체가 원 영상을 증강(=왜곡)하는 행위입니다..
현재 10bpp의 3D렌더링이나 MPR해서 보여주는 영상클립이 유의미한 오차가 있으니 진단때 병행해 판단하라는 가이드라인이 있는 학회는 없는것으로 알 고 있습니다. 해외 학회도 가능성은 아주 많아 보이는데 갈 길이 멀다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프리렌서로 업계에 뛰어드실 생각이시라면, 가성비로 적절한 쿼드로를 포함한 워크를 추천드립니다.. 갑이 어떤 생각을 갖는지 모르니까요..


QnA
제목Page 2156/5728
2014-05   5256500   정은준1
2015-12   1781434   백메가
2021-11   7045   무아
2016-01   6011   김장우
2016-01   6998   죠슈아
2018-02   5715   쿨쿨쿨
2023-06   2595   겨울나무
2019-04   14669   봉래
2023-07   6849   witbox
2020-07   3106   파리대왕
2023-07   2790   rockwitya
2010-03   7140   미녀와확고…
2013-04   12857   2CPU최주희
2010-03   28692   가빠로구나
2016-01   4499   jack33
2010-03   11651   박동섭
2021-12   2094   대전김형운
2018-03   4505   블랙펄
2014-10   9232   지옥성녀은비
2013-05   7716   김황중
2017-01   6735   두cpu
2019-05   4868   송진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