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7585 |
0 |
2014-05
5267585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2567 |
25 |
2015-12
1792567
1 백메가
|
72002 |
wol에 관여 하는 것들은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9) |
isaiah |
2015-03 |
4727 |
0 |
2015-03
4727
1 isaiah
|
72001 |
나무 책상에 멀티탭을 글루건으로 붙일수있을까요? (12) |
일론머스크 |
2018-08 |
7641 |
0 |
2018-08
7641
1 일론머스크
|
72000 |
USB 메모리스틱을 대량으로 테스트해야합니다. (7) |
화란 |
2022-07 |
2720 |
0 |
2022-07
2720
1 화란
|
71999 |
줄자 어플 뭐 쓰시나요 ? (7) |
화란 |
2024-03 |
1539 |
0 |
2024-03
1539
1 화란
|
71998 |
CPU와 RAM어느쪽이 중요하나요 (5) |
yummy |
2011-06 |
6901 |
0 |
2011-06
6901
1 yummy
|
71997 |
바이오스 켜지기 전 전원 On/Off 반복 (5) |
백만스물하나 |
2018-08 |
5016 |
0 |
2018-08
5016
1 백만스물하나
|
71996 |
컴퓨터 파워를 일반 SMPS 로 사용가능 여부 (7) |
시나브로 |
2011-06 |
9832 |
0 |
2011-06
9832
1 시나브로
|
71995 |
케이스에 달린 하드 도킹베이의 불안정성이 하드의 배드섹터 발생에 영향을 줄까요? (9) |
LSSAH |
2019-10 |
4528 |
0 |
2019-10
4528
1 LSSAH
|
71994 |
콘덴서 테스트 방법 (13) |
AMD빌런 |
2021-01 |
6211 |
0 |
2021-01
6211
1 AMD빌런
|
71993 |
ddr4 램 판별 좀 부탁합니다 (5) |
포카 |
2024-03 |
1725 |
0 |
2024-03
1725
1 포카
|
71992 |
강화유리문 힌지에 대해 좀 아는 분이 있나요? (13) |
하늘하늘 |
2016-06 |
15739 |
0 |
2016-06
15739
1 하늘하늘
|
71991 |
윈도우10에서 사용자휴대폰앱을사용하고있는데... (4) |
hyeonlove |
2019-10 |
4132 |
0 |
2019-10
4132
1 hyeonlove
|
71990 |
Arista 2중화 구성 질문 (3) |
LosAngeles |
2024-03 |
2138 |
0 |
2024-03
2138
1 LosAngeles
|
71989 |
usb 사운드 카드 (3) |
여주이상돈 |
2013-12 |
4265 |
0 |
2013-12
4265
1 여주이상돈
|
71988 |
2011 소켓의 쿨러는 ts13a 밖에 없을까요? (9) |
사회 |
2016-06 |
5306 |
0 |
2016-06
5306
1 사회
|
71987 |
옥수 에서 남춘천 가는데요.... (9) |
정은준1 |
2024-03 |
1417 |
0 |
2024-03
1417
1 정은준1
|
71986 |
ESXi 에서 티밍 구성 질문 (3) |
s김종화z |
2013-12 |
5322 |
0 |
2013-12
5322
1 s김종화z
|
71985 |
x58 시스템 8기가램 사용가능 문의 (11) |
겨울나무 |
2019-10 |
4637 |
0 |
2019-10
4637
1 겨울나무
|
71984 |
이게 왜 사진이 안나오죠?? (7) |
호시링 |
2016-06 |
4069 |
0 |
2016-06
4069
1 호시링
|
71983 |
iSCSI on Windows 프리모캐시 효과 (5) |
컴박 |
2024-04 |
1958 |
0 |
2024-04
1958
1 컴박
|
그리고 같은 하드 오래 사용하면 점점 느려지게 사람이 그렇게 느낍니다..
특별히 해결할수 있는 방법은 없고 데이터정돈(노턴 스피드 디스크/프래그먼트 제거 툴)을 해두면 조금은 낫습니다.
조각모음이라고도 하죠..
처음 샀을 때는데 외곽쪽만(빠른쪽만) 쓰니까 빠르고, 쓰면 쓸수록 데이터가 점점 많아지니까 느려지는 구간도 사용하게 되어서 상대적으로 느려지는 것 아닐까요?
FAT나 NTFS방식 즉 윈도우즈에서는 앞부분부터 쓰기를 합니다.
그에 비해서 리눅스등에서 사용되는 extfs 는 랜덤으로 위치가 정해지기 때문에 처음이나 나중이나 속도가 거의 일정합니다.
어쨌든 여유공간이 조금 남은 상황에서는 두 방식 모두 빈자리를 찾느라 쓰기 속도가 느려지는건 거의 비슷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파티션을 나누는 걸로 자르기를 하곤 하지요.
앞 부분은 VM 등의 파일을 사용하는 FAST 부분
중간이 주로 사용하는 메인영역
나머지 파티션은 제일 느리므로 백업공간. 이렇게 3등분을 해서 사용하곤 하지요...
그런데...
사실 이 속도의 차이는 수치로는 보여도 체감은.. 하기가 쉽지 않은데
속도가 점점 느려진다고 느끼시는게 파일 복사 속도인가요 ?
혹시 디스크에 이상이 있는게 아닌지
CrystalDiskInfo 같은 툴로 smart 부분 확인해 보시고
GMHDDSCAN 같은 툴로 BAD가 자라나고 있는건 검사해 보시고
그리고 Defraggler 같은 조각모음 툴로 단편화 상태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