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서버 레이드1의 효용성 질문드립니다

   조회 5017   추천 0    


안녕하십니까??

벌써 한해가 갔네요. 여러분들 새해복 많이받으세요.


그냥 간단하게 데스크탑용 사양으로 웹서버 돌리려는데요. 트래픽 많이 없을꺼라 부하도 별로 없을것 같을꺼라 예상되구요.

레이드1 (미러링)을 할지 말지 생각을 해봤습니다.


물론 레이드1이 백업의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백업은 따로 하겠지만

웹서버에서 레이드1을 하는게 많이 있는 일인지 (추천할만한지) 궁금하게 문의 드립니다. 좋은게 좋은건가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황중 2017-01
뭔일 생길땐 좋은것이고
뭔일 않생기면 않좋은 것입니다.
보험이랑 비슷하죠

대부분의 서버들은 레이드 구성을 하고 있고
레이드를 사용하는 이유는 안정성입니다.
isaiah 2017-01
스스로의 환경에서 문제가 생겼을때를 상상 해 보시는게 어떨까요..

 HDD 하나 터졌을때 그냥 리빌드 하고 재부팅 하는것
 완전히 밀고 백업 찾아서 재배치 하는 것

 양쪽의 귀찮음 편함 격차는 개인과 그가 처한 상황에 따라서 다르니까요...
이지영 2017-01
레이드1은 트래픽과는 사실 크게 상관없이 보험성이죠.
서비스 무중단을 위해서입니다.
파닥파닥 2017-01
앞에 두분이 말씀 주셧지만
RAID 는 보험 입니다. (물론, 컨트롤러 Fault 라던가 하는 측면이 있어서, 완벽한 보험은 아니지만요)

IDC 에 서버 집어넣었는데, 디스크 깨져서 서비스 안되고 그러면 관리자만 피곤해집니다.
박문형 2017-01
캐쉬 없는 레이드 시스템에서 RAID 1은 1개의 하드디스크의 속도와 똑같고 복구시에도 상당히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캐쉬가 달린 레이드 시스템(돈 많이 들어감)은 캐쉬 메모리 때문에 하드의 부하가 그나마 줄어들고 복구 시간도 캐쉬 없는 레이드 시스템보다는

짧습니다..
김윤술 2017-01
디스크 떨어졌을때 새로 구성하고 정기적으로 백업받은걸로 빨리 재구성할수 있다면야 레이드1 안해도 뭐...
프러덕 서비스는 안정성이지만 개인용이면 편할데로 해도 되죠.
캔위드 2017-01
개인용이면 그냥 쓰시고
상용 서비스라면 RAID 1이든 5든 6이든 걸어두시는걸 추천합니다.
백업을 걸어두었다고 해도 실시간 백업이 아닌이상 디스크 나가면 데이터 유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죠

SSD든 HDD든 의외로 잘 나가고
나가는걸 직접 경험하고 나시면 확고한 규칙이 생기실 껍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개인용은 아니고 연구실용인데 그래도 RAID는 걸어놔야겠네요.
돈 차이도 많이 안 나는데 보험은 걸어놔야 일 터질때 후회 안할것 같습니다.

혹시나 캐쉬 달린 레이드 시스템 말씀하신거는 따로 레이드 카드 말씀하시는것 같은데요, 그냥 기가바이트 H보드 사서
내장 레이드 기능으로 사용하려는데 복구 속도는 그렇게 중요 인자로 생각 안하는데 사용해도 괜찮겠죠??
박문형 2017-01
2테라 복구하는데 2일 걸린다면 하시겠어요?  예이긴 합니다만
1테라 정도면 하루면 되겠네요. 하루동안 다시 세팅할 생각 하면 그냥 컴퓨터가 자동으로 해주는게 훨씬 편하겠네요. 감사합니다.
     
박문형 2017-01
리빌딩하는데 하드 배드있으면 에러나던지 시스템 스탑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장비 셋팅하신후 리빌딩 테스트 꼭 해야 합니다.
레이드1의 경우 한번에 여러 READ가 있을때에는 속도가 더 빠릅니다. multi user 세팅에서 동시 읽기가 있는경우 레이드1이더빠른거죠.

그래서 HIT이 많은 웹써버의 경우 레이드10같은것이 도움이 될때가 있습니다.

만약 디스크가 하나 망가져서 리실버링이 되고 있는 동안에는 속도가 좀 느려질 수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정상작동을 하고 있으니까 이틀이걸려 2테라가 리실버링된다해도 그닥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만 박문형님께서 말씀하신대로 리실버링도중에 에러나면 좀 곤란한 상황옵니다.

그래서!!!! 레이드를 떠나서 씽글노드 클러스터(어레이 엘리먼트에는 레이드가 없이 싱글 하드)로 가버린것이 벌써 10년정도 된거 같은데요...
anti2cpu 2017-01
레이드1+백업하드는 필수입니다


QnA
제목Page 2697/5699
2014-05   5102360   정은준1
2015-12   1638912   백메가
2014-11   5016   미놀사랑
2007-05   5016   박찬혁
2007-08   5016   이창준
2006-06   5016   권혁일
2009-03   5016   마성현
2018-05   5016   김웅정
2015-10   5016   김건우
2019-01   5016   song05
2008-09   5016   강연진
2006-04   5016   오상훈
2008-06   5016   정영철
2006-05   5016   진동현
2015-02   5017   전설속의미…
2008-08   5017   정힘찬
2014-12   5017   니포
2005-12   5017   이상현
2015-03   5017   Nikon
2009-04   5017   달리는아이
2018-11   5017   안개속영원
2007-02   5017   정도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