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질문 (http://2cpu.co.kr/QnA/574702) 이후 RAID 게시판과 질문 게시판을 한참 보고있지만
짧은 지식으로는 판단이 잘 안서서 부득이하게 다시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1) RAID 컨트롤러의 가격...
중고장터에서 주로 거래되는 RAID 컨트롤러의 가격을 보면 온라인 판매가보다 현저하게 싸더라구요.
현재 온라인에서 판매되고 있는 ASR-8805을 유심히 보고 있는데요. 이 또한 추후에 ASR-8805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서버군이 퇴역하게되면 중고장터 가격이 폭락하게 되는 셈인가요? 요는 ASR-8805를 추후
재판매까지 고려했을때 현재 가격으로 구매할 메리트가 있는지 판단이 안섭니다...
(2) RAID 컨트롤러 (ASR-8805 + AFM-700) VS NAS (Synology DS1815+)
RAID가 깨지는 원인은 정전, 윈도우의 비정상적인 종료, RAID 컨트롤러의 사망등이 있다고 배웠습니다.
일단 정전에 관해서는 컨트롤러를 사용하건 NAS를 사용하건 가정용 UPS를 기본적으로 이용하려고 합니다.
제가 우려하는 것은 컨트롤러의 사망과 윈도우의 비정상적인 종료인데요.
여기서 고민거리가 하나 생겼습니다.
RAID 컨트롤러 가격에 돈을 조금 더 보태면 RAID 6을 지원하는 8베이 NAS를 구매할 수 있더군요.
나름 머리를 굴려가며 RAID 컨트롤러와 NAS 시스템의 장단점을 정리해봤는데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NAS는 윈도우와는 별도의 운영체제로 가동되며 쿨링 시스템이 튼실해서 상대적으로 2가지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고,
외부 억세스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NAS를 놓을 공간이 필요하다는 것이 단점인 것 같습니다.
RAID 컨트롤러를 이용하면 발열 컨트롤을 못 했을 때 컨트롤러가 사망하며, 윈도우의 비정상적인 종료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8개의 HDD를 컴퓨터 안에 다 집어넣을 수 있다는게 장점 같습니다.
NAS와 RAID 컨트롤러를 간단히 요약해보자면
안정성이 높고 편리하지만 HDD를 밖으로 빼내느냐, 안정성이 낮지만 HDD를 본체에 집어넣느냐로 보면 되는걸까요?..
RAID 란 용어의 정의
NAS , DAS , SAN .이란 용어의 정의
부터 공부하세요.
다만 비슷한 가격대로 NAS를 구입할 수 있다보니 두 제품을 비교하고 있구요...
장터에 판매되고 있는 1220 제품의 경우 Cache Memory가 DDR3가 아닌 DDR1입니다. 나온지도 9년가까이 되었는데도 아직도 팔리고, 사용되고 있지요.
또한 겨우 HDD 8개로는 Adaptec 8시리즈 쓰기에는 아쉬움이 많지요. Adaptec 7시리즈만 해도 R5에서 2.3GBps 이상 지원해주고, LSI 9280 시리즈도 이에 못지 않습니다.
8베이 NAS의 RAID 성능은 HW가 아닌이상 중급형 기준 200MBps 전후를 생각하면 됩니다만, 어차피 10Gb-e를 쓰지 않는 한 크게 부족하지는 않습니다.
NAS나 RAID 구성된 파일서버나 분리해서 구축하는것이 훨씬 좋습니다.
초기에는 '네트워크에 붙이는 스토리지(딱 외장하드 수준의)' 이른 느낌이였지만...
지금은 거의 스토리지 서버라고 부를 만큼 비대한 시스템 부터 soho 까지 몽땅 같은 범주에 넣다보니...
뭐 여튼 퇴역하는 서버 시스템에서 나오는 고성능 저가격 고발열 고전력소비 고소음 PCIE 하드웨어를 사용해서 레이드를 구성한 시스템과
통합된 보드로 raid를 재공하는 완재품 nas를 비교하면 아무래도 후자가 편의성이 높고 절대 소비전력이 낮은 대신 다른 모든 부분에서 밀리겠죠.
다만 그 편의성이란게 그렇게 만만치 않으므로..
잘 고민해봐야겠습니다.
2) H/W 레이드는 윈도우가 비정상적으로 종료한다고해서 깨지거나 하지 않습니다.
정전의 경우도 BBWC 나 FBWC 를 구비하면 일반적으로는 문제가 없으나...100% 안전하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UPS 를 준비해두지요)
레이드 컨트롤러의 사망은 매우 희귀한 경우이고, 통상적으로는 동일제품 (동일펌웨어를 추천) 을 구비해서 장착하면 다시 올라옵니다.
3) NAS 에는 H/W 레이드컨트롤러가 들어가지 않습니다. S/W 레이드입니다.
H/W 구성에 따라 달라지긴 하지만...성능은 H/W 레이드컨트롤러가 일반적인 NAS 대비 월등히 높습니다.
속도가 느리지만...일반적으로 네트웍에 붙여쓰기 때문에 10G 망에 붙이는게 아니라면 느린 속도를 체감할 일은 거의 없습니다.
이번에도 자세한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RAID 라는 말은 약어이고 디스크를 더 크게 아니면 복구가 가능하게 더 빠르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일종의 방법론이며 소프트웨어라고 봐야 합니다.
RAID장비중에서 크게 DAS,NAS,SAN으로 외형적인 모습을 보고 나누는데
DAS장비는 컴퓨터에서 보면 완전 독립된 큰 하드 덩어리 한개입니다..
OS독립적이며 보통 퍼포먼스가 안정적입니다.
문제는 가격이 비쌉니다.
이것을 좀 싸게 만들수 없나라고 생각되어 만들어진 것이 스토리지 서버이며 여기에서 RAID펑션을 구현하는 것이 RAID CARD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때에 따라 데이터 오류나 오염이 많이 생깁니다..
백업 받데리를 사용하는 이유는 레이드 카드 내 캐쉬 메모리에 들어가 있는 데이터가 날라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함인데
받데리(충방전지)다 보니 3년 정도 쓰면 누액이 되어 기판이 썩거나 합니다..
그래서 대안으로 요근래 개발된 것이 슈퍼 케페시터를 사용한 백업받데리 모듈입니다..
절반가 이하로 나오는 것들은 거의다 이베이에서 나온 것이고 A/S나 기술지원이 안되며 고장난 거 수입되도 책임지지 않습니다..
아래카 1220이 옛날에 중고시장에 꽤 풀렸는데요..
2007년쯤 KT웹하드 프로잭트에 사용된 것으로 다른 웹하드에 사용된것을 치면 2-3000개 정도 수입된 듯합니다..
그때 100개 단위 수입원가는 대략 50만원이 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게 3-5년 넘어서 프로잭트 없어지고 책임자인 KT상무 날라가고 다른 웹하드회사도 망해가면서 중고시장에 대량으로 풀렸는데..
본래는 비싸게 팔아야 하는데 무지 싸게 던지신분(??)이 계셔서 개인 소비자들도 싼 맛에 마니 만지게 되었죠..
RAID 카드들은 저물어가는 해와 같습니다.
서버풀이라는 개념이 나오기도 했고,
고용량 HDD 가 나오기도 했으며,
RAID 5 /6 등에서 지적되는
데이터 손실 문제 등도 있기 때문입니다.
당장 LSI / Adaptec 에서 나오는 최신 카드들도
죄다 HBA 타잎 입니다. - RAID 지원이 안되는 단순 포트 확장용...
이것을 잘 보시면 답이 나옵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쪽지 드렸습니다.
개인 스토리지는 RAID 1 이상이 별로라 봅니다...
제가 아는 분인 것 같아서 ... 흐흐흐
아 참고로 스토리지 구성은 최대한 단순하게 꾸미는 것이 좋고,
단순 스토리지 라면 제가 쪽지 드린 대로...
아니면 여러 앱을 지원해서 편하게 쓰려면
차라리 완제품 시놀로지 NAS , 8베이 정도 제품을 구입해 쓰는 것이
가장 시간 낭비 없이 편하게 쓰는 지름길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