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운 내용인데 사람들마다 말하는게 달라 질문해봐요.

orustd   
   조회 6552   추천 0    

 좀 다르게 설명하시는 분도 많아서 적어봅니다.


코어는 톨게이트의 입구의 개수, 스레드는 톨게이트를 넘어가게 승인해주는 사람의 명수.클릭은 승인해주는 사람들의 능력값 (?).
이게 맞는지요?


그리고 쿨링만 잘된다면 제조공정이 어떻든 따로 속도의 문제는 없지요?

리소그래피가 뭔지도 궁금합니다. (_ _)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황중 2017-01
음...
코어는 식당수
스레드는 각 식당별 점원수
클럭은 주방장 등 인력의 능력치

밥을 몰 먹든
개인의 능력도 좋아야 하겠지만
준비해주는 서포터들의 능력도 중요한것이겠죠

약간 퀴즈 성이라 재밋네요.. ^^
이문영 2017-01
음.....
코어는 공장의 생산 라인수 (예 : 4코어)
쓰레드는 생산라인당 1명이 일하느냐 2명이 일하느냐 (예 : 4코어 4쓰레드, 4코어 8쓰레드)
클럭은 생산라인에서 물건을 얼마나 빨리 뽑아내느냐
정도로 생각하면 좋겠네요.
     
(여기에 댓글을 적는 이유는 아이디어에 더했기때문입니다... 이문영님을 지적하는것이 아님)

코어 생산 라인수 좋은것 같습니다. 근데 쓰레드를 설명할때 딱 하고 맞아 떨어지지 않아요 (제 의견)

코어 = 공장라인
쓰레드 = 작업
클럭 = 공장라인에서 작업하는 속도

이렇게 해도 무관은 하겠지만 완전 빡하고 와닿지가 않는것 같아서... 아래와 같이 다시 고쳤습니다...

코어 = 사람
쓰레드 =  작업
클럭 = 사람이 작업할 수 있는 속도

여기서 사람과 작업은 서로 독립적입니다.

쓰레드가 만약 인텔의 하이퍼쓰레딩기술을 가르키는것이라면 하이퍼쓰레딩이란건 두개의 작업대를 가진 한사람이라고 생각하면 될것 같습니다...
무아 2017-01
리소그래피 라는 것이
저는 중학굔가 고등학교때 처음 들었습니다. 미술 시간에.
석판화를 리소그래피라고 불렀는데 아마 Litho 라는 것이 돌에 무언 가를 세기는 것을 말할 겁니다.
반도체 쪽에서 리소그래피는 실리콘위에 어떠한 패턴을 세기는 것을 말하는 것이겠죠.

p.s. 구글신에게 물어보니 이런 답을 하네요.
[ Lithography는 라틴어의
lithos(돌)+graphy(그림, 글자)의 합성어인 석판화 기술로서 인
쇄기술로 쓰이다가 현재는 반도체 노광공정 기술을 통칭하는
이름으로 쓰이고 있으며 반도체 미세화의 선도 기술이다.]
     
orustd 2017-01
아하, 모 쇼핑몰 광고에서 코어와 함꺼 리소그래피 기술을 홍보하기에 클럭같은 성능값? 인줄 알았는데 제조할때 사용되는 기술이군요.
          
뜻이 너무 많아요...  Lithography 라는 말은 뭘로 찍어낸다라는 뜻이기도 하지만 인텔에서 말하는것은 또 다른 뜻입니다...

요즘 컴퓨터 CPU (물리적인 칩)에서 CORE 라고 하면 개별의 Processing Unit (즉 CPU 한개) 입니다.
그러니까 물리적인 CPU 칩 안에 여러개의 CORE 가 있을 수 있고 그것은 여러개의 CPU 가 하나의 물리적인 CPU 칩 안에 들어 있는것이지요.

인텔 하이퍼쓰레딩 기술이란것은 하나의 코어안에서 꼭 두개의 코어가 있는것 처럼 가상으로 만들어준 인텔에서 만든 기술입니다. 그래서 위에 R이라고 붙어있지요... 이걸 쓰레기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돌리느냐에 따라서 이게 도움이 될때도 있고 아닐때도 있고 그렇습니다... 1개의 코어가 진정 2개의 코어가되는건 아니지만 그렇게 보이게 만들어주죠....

그래서 i7 4 코어 CPU 에서 하이퍼쓰레딩을 켜놓으면 8개의 코어가 있는것 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성능이 4코어의 두배가 되는건 아니기때문에 그점을 감안해야 합니다...

인텔의 14나노 리쏘그래피 기술 이라고 선전하는것은 그만큼 칩을 만들때 꽉꽉채워넣어서 만들었다 이거죠...  전력은 빛의 속도에 가깝게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이동하지만 이동해야하는 거리가 멀고 그거리를 수천억번 왔다갔다 하는 연산을 마구할때에는 얼마안되는 거리가 커지게 마련이죠... 그러니까 칩속에 있는 로직게이트들을 연결해주는 길의 거리가 짧으면 짧을 수록 더 빠르겠지요...  그 거리가 14나노미터밖에 안된다고 선전하는거죠... 14나노미터가 되면서 소비전력이 확줄었고 또한 속도도 더 좋아졌으니까요...

클럭은 하나의 신호 (0이나1) 또는 명령어 (이것또한 0과1로된조합)가 하나의 로직게이트를 통과하는 속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니까 줄다리기할때 깃발을 흔들고 있는것처럼 한번의 신호가 있을때마다 로직게이트는 신호를 다음으로 넘겨주는거죠. 2기가허르쯔라고 하면 그신호가 1초에 2,000,000,000 번 있는것입니다. 정말 무지 막지 하게 빠른거죠...  근데 이건 그 특정 CPU의 명령어 셋트가 어떤거냐에 따라서 컴퓨터 속도에 연결됩니다... 간단하진 않은 이론입니다...
사과는 사과랑 비교를 해야하고... 또 부사는 같은 부사끼리 비교를 해야 맛을 비교할 수 있는거라고... 같은것 끼리 비교하지 않으면 낭패볼수 있습니다...
엠브리오 2017-01
리소그래피는 반도체를 회로설계할때 회로의 선폭을 의미합니다.

값이 작을수록 회로를 많이 그려 넣을수 있습니다.
현재 인텔 CPU는 14나노미터(14nm) 공정의 리소그래피를 사용합니다.
     
인텔의 리쏘그래피값이란것은 칩안의 Logic Gate 과 Logic Gate 의 거리 (그러니까 반도체에서 그다음 반도체까지의 거리)를 뜻하는 숫자입니다. 14나노미터라고하면 그특정 CPU 안에있는 회로에서 하나의 로직게이트와 다음 로직게이트의 거리가 14나노미터인거죠. 그니까 짧으면 짧을 수록 전기도 덜먹고 빠르기도 더 빨라지니까 숫자가 적은것이 좋은것이겠죠.

http://www.intel.com/content/www/us/en/silicon-innovations/intel-14nm-technology.html
anti2cpu 2017-01
코어는 엔진 기통수
스레드는 마후라수
노스브리지는 기화기?
     
이런...

스레드는 마후라수 <- 이게 "스트레스는 마누라수"
노스브리즈는 기화기 <- 이건 "노브라자 지화자"

이렇게 잠시 착시를 일으켰습니다...

ㅠㅠ
오홍식 2017-01
코어는 은행 창구의 수
스레드는 창구에 실제 앉아 있는 직원의 수
클럭은 직원들의 처리속도로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더해서 대출같이 이것저것 확인해야 하는 행동은 main memory 접근으로,
옆 직원에게 봉투나 현찰을 건네 받는건 shared/L2/L3 cache memory 접근으로,
본인 자리에서 처리해서 건네주는건 L1 cache memory 접근으로,
정산은 join이나 sync로 보시면 됩니다.

리소그래피는 양각 판화를 그릴때 양각으로 남아 있어야 하는 부분을 마스킹하는것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근데... 가입하신지 9일 되셨는데요... 무엇땜에 질문하신건지 궁금하네요...
     
orustd 2017-01
그냥 인터넷하다보니 지식인에서 답변하시는 분들마다 알고계신게 달라서 전문적이신? 회윈님들께 확실한 답변을 얻을수 있을까 해서요.
          
컴퓨터 속도나 스펙을 비교하기 위함인가요?

이게 물어보는 취지에 따라서 답이 조금다를 수 있는거라서요... 그리고 그냥 단순하게 코어, 하이퍼쓰레딩, 리쏘그래피값 이렇게 세가지의 뜻이 뭔지를 알고 싶으신건지 아니면 좀더 그것이 뭔지 이해를 원하시는건지 그런거에 따라서도 답이 조금 다를 수 있거든요...
               
orustd 2017-01
주요한 스레드 하나를 사용하고 다른 작은 작업들을 나머지 스레드에 맡겨 작업하는 조금 이상한 프로그램만 24시간 돌리기 위해 IDC에 입주할 서버 견적을 간간이 짜보고 있는데 성능비교를 하려니 제가 아는게 맞는지 궁금해서요..
                    
어떤 프로그램인지는 모르지만... 우선 가장 큰 병목이 어디서 오는지 부터 보시고...
                         
orustd 2017-02
외국 게임 서버 프로그램입니다. 흐흐. 간간이 지인분과 운영하던 서버가 상상이상으로 커버려서 호스팅과 IDC 입주와 비교해보니 장비를 전부 대여하고 제공하는 오류해결 서비스도 포함해도 입주비용이 저렴하더라구요.. 말씀드린 방식 ( "주요한 스레드 하나를 사용하고 다른 작은 작업들을 나머지 스레드에 맡겨 작업" ) 대로 운용되는 프로그램은 어떤것을 중점에 두고 순위를 비교해야할까요? 단일코어성능? 물리연산성능? 뭐 이렇게 비교할께 많던데 잘 모르겠어서요 ㅜㅜ
     
무아 2017-01
궁금증에 대한 질문이 가입기간과 무슨 상관이 있을까요? 가입 기간이 무슨 벼슬도 아니고.
          
전혀 상관 없음이 정답이지요~ ㅎㅎ

제가 숙제를 대신해준적이 몇번있어서... 그것을 필터하기위한 밑밥? 이였어요... 사실 저도 새내기잖아요...

제가 숙제를 해줬으니... 그 학생은 걱정이되죠... 뽜앙쩜..
               
무아 2017-02
아 기억납니다 그때 으흐흐
                    
ㅎㅎㅎ


QnA
제목Page 2094/5725
2014-05   5245079   정은준1
2015-12   1770510   백메가
2017-02   10393   라이스타일
2017-02   6071   나파이강승훈
2017-02   8010   정상백
2017-02   4835   Dominozlol
2017-02   6595   리카라바
2017-02   6935   3001N6
2017-02   8087   3001N6
2017-02   5926   편한세상
2017-02   5781   엠브리오
2017-02   9546   호퍼
2017-02   5172   질문학생
2017-02   6003   맑은여름
2017-02   5827   마나아
2017-02   5307   진곤김
2017-02   6232   오준호5
2017-02   5441   메이
2017-02   5907   나파이강승훈
2017-02   5089   타이거키이익
2017-02   5423   gusanaki
2017-02   5666   노가리강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