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센터의 서버 NIC의 광모듈의 속도는 보통 어떻게 되는지요?

victor   
   조회 4933   추천 0    

요즘 광모듈 전망을 보면 25G / 50G등 말이 많던데 실제 데이터센터의

장비간링크 속도는 어떻게 되는지요?


1. 서   버 <--> 스위치

2. 스위치 <--> 스위치/라우터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monan 2017-02
어려운 질문 일 수 있습니다.
데이터 센터는 연결된 장비도 많고, 서비스 신뢰도가 기술 도입보다 중요한 경우가 많아.
장비나 기술이 나온다고 바로 적용 하지 않고, 보수적으로 접근 할 듯 합니다.
서비스 풀안에서는 트렌드에 따른 속도겠지만,
백본망에 연결되는 부분과, 네트웍간 연결되는 구간은
아직 1기가가 대부분일 듯합니다.
백본 스위치 다루시는 회원님... 필드 상황은 어떤가요??
     
victor 2017-02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 역시 기술의 발전과 현실하고는 거리가 있군요.
박문형 2017-02
IDC의 100매가의 가격과 1G의 가격은 집에 들어오는 인터넷보다 마니 비싸죠..

따라서 옛날에 100매가 허브가 있었을때는 서버에서 랙에 달린 허브 사이에는 100매가 허브나 기가허브를 사용하였고
(물리적으로 100매가를 만들어 버리는 것이죠)

요즘은 기가허브장비밖에 없기에 랙에 붙어있는 허브들은 기가비트 매니지먼트 허브라고 봐야겠죠.
(허브에서  각 포트의 속도를 콘트롤하는 것이죠)

서버에서 랙에 붙어 있는 허브들은 거의 90% 이상은 UTP 선으로 봐야 하고

랙에서 랙으로 아니면 랙에서 백본 스윗치로 가는 선은 광으로 쓴다고 봐야 하는데  이것도 기가비트 이상 잘 사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10G를 직접 서버에 내리는 경우에는 다 광으로 10G를 구성하고요.

40G나 100G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만 

IDC 트래픽 가격이 10G만 해도 1달에 돈 천이 넘는 것으로 알고 있기에

한 IDC에서 10G 선이나 그 이상의 고속선을 사용하는 경우는 상당히 드물다라고 봐야 합니다..
     
victor 2017-02
감사합니다.  서버의 트래픽가격은 생각을 못했습니다.
10G이상은 주로 스위치간 또는 스위치-라우터간에 사용되고
그마저도 규모가 큰 데이터센터에서 수요가 많겠네요.
이병영 2017-02
데이터센터내에서 운영중인 서비스,  또는 위탁운영되는 장비에 따라 다르다고 보시면 될 것 같네요.
일반적으로 서버-스위치 구간의 ToR 스위치는 대부분 1Gbps ethernet 이며,
가상화 플랫폼으로 구성된 데이터센터는 요즘 10Gbps ToR 스위치를 선택하기도 합니다.

ToR 스위치와 라우터 구간은 하단에서 올라올 트래픽을 예상해서 6:4, 7:3 비율로 분기하여 구성합니다.
고로 10Gbps 이상 40Gbps 미만 정도로 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슝~


QnA
제목Page 2086/5725
2014-05   5240414   정은준1
2015-12   1765845   백메가
2017-02   9128   메이
2017-02   6389   신우섭
2017-02   5648   박문형
2017-02   4638   두cpu
2017-02   6791   메이
2017-02   5908   나파이강승훈
2017-02   6640   소심이
2017-02   5329   audacity
2017-02   4016   라면먹고갈래
2017-02   38033   컴박
2017-02   4551   임진욱
2017-02   5767   초보IT
2017-02   5616   이하나
2017-02   6188   일반유저
2017-02   4267   조재형3
2017-02   5219   블루영상
2017-02   4447   LINKINPARK
2017-02   4942   네이쳐
2017-02   5758   전설속의미…
2017-02   5819   남경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