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0414 |
0 |
2014-05
5240414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5845 |
25 |
2015-12
1765845
1 백메가
|
72784 |
다 됐고 전원도 들어옵니다.. 이젠또 cpu가 말썽이네요. 에러코드 59. (23) |
메이 |
2017-02 |
9128 |
1 |
2017-02
9128
1 메이
|
72783 |
PCI Express Lanes의 끝을 보기 위해 한번 더 질문합니다. (15) |
신우섭 |
2017-02 |
6389 |
1 |
2017-02
6389
1 신우섭
|
72782 |
PCI Express Lanes의 끝을 보기 위해 한번 더 질문합니다. (4) |
박문형 |
2017-02 |
5648 |
1 |
2017-02
5648
1 박문형
|
72781 |
무분을 했는데요...ㅠㅠ (4) |
두cpu |
2017-02 |
4638 |
1 |
2017-02
4638
1 두cpu
|
72780 |
Power SW 어따 꽂나요.. (8) |
메이 |
2017-02 |
6791 |
0 |
2017-02
6791
1 메이
|
72779 |
iodd 라고 하나요? (14) |
나파이강승훈 |
2017-02 |
5908 |
0 |
2017-02
5908
1 나파이강승훈
|
72778 |
타 통신사 셋탑박스를 단순 Hd수신용으로 이용가능할까요? (3) |
소심이 |
2017-02 |
6640 |
0 |
2017-02
6640
1 소심이
|
72777 |
4k 영상 재생을 위한 현단계에서 가장 좋은 솔루션은 어떤 것일까요? (7) |
audacity |
2017-02 |
5329 |
1 |
2017-02
5329
1 audacity
|
72776 |
개인 스토리지 구성을 위한 적합한 케이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1) |
라면먹고갈래 |
2017-02 |
4016 |
2 |
2017-02
4016
1 라면먹고갈래
|
72775 |
정보처리기능사 유효기간이 얼마나 되나요? (4) |
컴박 |
2017-02 |
38033 |
0 |
2017-02
38033
1 컴박
|
72774 |
Sas expander 인식 질문요. (4) |
임진욱 |
2017-02 |
4551 |
0 |
2017-02
4551
1 임진욱
|
72773 |
데이터 복구 프로그램 뭐쓰시나요??? (5) |
초보IT |
2017-02 |
5767 |
0 |
2017-02
5767
1 초보IT
|
72772 |
개인 사업자용 DB 서버 컴퓨터 견적 문의합니다. (4) |
이하나 |
2017-02 |
5616 |
0 |
2017-02
5616
1 이하나
|
72771 |
[질문] 보급형 스마트폰 질문 (6) |
일반유저 |
2017-02 |
6188 |
0 |
2017-02
6188
1 일반유저
|
72770 |
집에서 사용할 컬러레이저 복합기 하나 추천해주세요 (1) |
조재형3 |
2017-02 |
4267 |
0 |
2017-02
4267
1 조재형3
|
72769 |
이 CPU의 정보를 알고 싶습니다. (10) |
블루영상 |
2017-02 |
5219 |
0 |
2017-02
5219
1 블루영상
|
72768 |
owncloud 데이터 저장공유질문 (1) |
LINKINPARK |
2017-02 |
4447 |
0 |
2017-02
4447
1 LINKINPARK
|
72767 |
파이썬3.6 subprocess 질문 (1) |
네이쳐 |
2017-02 |
4942 |
0 |
2017-02
4942
1 네이쳐
|
72766 |
[ 썬더볼트 2 or 3 ] PC에 장착가능한 PCIe 카드 있는지요 ? (6) |
전설속의미… |
2017-02 |
5758 |
0 |
2017-02
5758
1 전설속의미…
|
72765 |
램디스크 에서 설정할수 있는 용량이,,? (6) |
남경림 |
2017-02 |
5819 |
0 |
2017-02
5819
1 남경림
|
데이터 센터는 연결된 장비도 많고, 서비스 신뢰도가 기술 도입보다 중요한 경우가 많아.
장비나 기술이 나온다고 바로 적용 하지 않고, 보수적으로 접근 할 듯 합니다.
서비스 풀안에서는 트렌드에 따른 속도겠지만,
백본망에 연결되는 부분과, 네트웍간 연결되는 구간은
아직 1기가가 대부분일 듯합니다.
백본 스위치 다루시는 회원님... 필드 상황은 어떤가요??
따라서 옛날에 100매가 허브가 있었을때는 서버에서 랙에 달린 허브 사이에는 100매가 허브나 기가허브를 사용하였고
(물리적으로 100매가를 만들어 버리는 것이죠)
요즘은 기가허브장비밖에 없기에 랙에 붙어있는 허브들은 기가비트 매니지먼트 허브라고 봐야겠죠.
(허브에서 각 포트의 속도를 콘트롤하는 것이죠)
서버에서 랙에 붙어 있는 허브들은 거의 90% 이상은 UTP 선으로 봐야 하고
랙에서 랙으로 아니면 랙에서 백본 스윗치로 가는 선은 광으로 쓴다고 봐야 하는데 이것도 기가비트 이상 잘 사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10G를 직접 서버에 내리는 경우에는 다 광으로 10G를 구성하고요.
40G나 100G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만
IDC 트래픽 가격이 10G만 해도 1달에 돈 천이 넘는 것으로 알고 있기에
한 IDC에서 10G 선이나 그 이상의 고속선을 사용하는 경우는 상당히 드물다라고 봐야 합니다..
10G이상은 주로 스위치간 또는 스위치-라우터간에 사용되고
그마저도 규모가 큰 데이터센터에서 수요가 많겠네요.
일반적으로 서버-스위치 구간의 ToR 스위치는 대부분 1Gbps ethernet 이며,
가상화 플랫폼으로 구성된 데이터센터는 요즘 10Gbps ToR 스위치를 선택하기도 합니다.
ToR 스위치와 라우터 구간은 하단에서 올라올 트래픽을 예상해서 6:4, 7:3 비율로 분기하여 구성합니다.
고로 10Gbps 이상 40Gbps 미만 정도로 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