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전력 pc 구성시 dc-to-dc 파워와 plus80 인증 일반 파워중 어느쪽이 유리할까요

audacity   
   조회 10367   추천 0    

http://prod.danawa.com/info/?pcode=1922343&cate=1131564 (458)
http://prod.danawa.com/info/?pcode=2716389&cate=1131498 (473)

Asrock Q1900-itx 으로 자작 NAS를 구성해보려고 하는데, 저전력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결국 PSU 선택이 중요한 것 같은데요.. 지금 두가지 옵션중 하나를 고려중입니다.

하나는 dc-to-dc 파워이고요. 마이리플사의 제품을 고려중입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1922343&cate=1131564

다른 하나는 케이스 사이즈상 m-atx 파워를 골라야 하는데, 마이크로닉스의 300w 80plus bronze 제품입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2716389&cate=1131498

마이리플사의 어댑터까지 합치면, 두 제품이 가격도 엇비슷하고 해서 고민중입니다.

전기소모량, 저전력에 중점을 둔다면 둘 중 어느쪽이 더 나을까요?

Q1900에는 2.5 인치 WD Blue 1TB 하드 하나만 장착할 예정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drachen 2017-02
제대로된 DC-to-DC 파워에 고효율의 어댑터를 사용한다면, 일반적인 파워보다는 저전력 구간에서 효율이 더 높기는 합니다.
단 그 저전력 구간에서의 효율차가 있다고 해서 실제로 소비 전력의 큰 차이가 있는가...는 미묘한 문제 입니다.

80 PLUS Bronze라면 20%부하에서 81% 이상 효율이 나오는게 기준인데, 본문의 마닉 제품은 리뷰에서 10%부하시 80%정도 20%부하시 85%정도의 효율을 보여줬습니다. 만약 DC-to-DC + 어댑터가 합계 90% 효율이라고 가정하면, 30W 부하시에 무려 10%나 차이가 난다고 얘기할 수 있지만 실제로 33.3W vs 37.5W로 달랑 4.2W 밖에 차이가 안납니다. 24시간 계속 돌린다고 해도 한 달에 전기요금 차이는 1천원도 안되며, 이것도 부하가 커질수록 차이는 더 줄어듭니다.

거기에 발열 등의 안정성 측면에서 대부분의 DC-to-DC 파워랑 일반 파워랑은 비교의 대상이 아닌걸 생각하면, 부피를 줄일 필요가 있거나 아예 쿨링을 포기하고 무소음을 추구하는게 아니라면 전력 소모만으로 DC-to-DC를 고집할 필요가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일반적으론 비슷합니다. 보통 60W 이하의 저전력 시스템에선 DC파워가 내장되고 어댑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이 가장 저전력이고 간단하긴 합니다만 NAS에서 전력을 가장 많이 먹는 부분은 HDD입니다. 따로 DC/DC보드 달고 어댑터 연결하고 그러면 복잡해지기도 하고 80+파워보다 효율이 더 떨어지지만 효율 자체는 그렇게 크게 달라지지 않습니다.

500W에서 10%는 차이가 크지만 저전력에서 10%는 실질 전력면에선 차이가 거의 없죠. 저전력에서 DC/DC를 사용하는 건 주로 부피를 줄이기 위함입니다. 문제는 대부분 부피를 줄이는데 집중한 나머지 품질에 대해선 그다지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이죠. 어설픈 DC/DC보드를 사용하는 것 보단 차라리 DC파워가 내장된 보드를 사용하는게 더 낫습니다. 물론 HDD확장엔 제한을 받긴 하지만... 어차피 HDD를 4개 이상 사용하면 저전력과는 먼얘기가 됩니다.
ZSNET5 2017-02
DC-DC는 DC를 써야 되는 환경이거나(예를 들어 차량 설치..), 별도의 DC파워서플라이가 원래 존재하는 다른 장치의 구성품이거나 할 때에는 유리하지만
그렇지 않은 일반환경에서는 큰 장점이 없습니다. 유일한(?) 장점이라면 본체의 크기가 작아진다는 정도인데, 어댑터의 크기를 생각하면 그리 큰 장점도 아니지요.
모든 측면에서 고려해 볼 때, 일반환경에서는 그냥 220V 들어가는 파워서플라이를 이용하는게 훨씬 유리합니다.


QnA
제목Page 2090/5730
2015-12   1792227   백메가
2014-05   5267273   정은준1
2023-02   2160   ZeroTrust
2016-09   5504   Win31
2017-10   5271   초코송이
2020-03   2865   Ansyncic
2020-03   4365   여쿠니
2012-07   13033   방o효o문
2014-05   5743  
2012-07   7840   서현석
2024-12   1033   겉절이
2012-07   7216   나너우리
2016-10   4022   yuno
2019-01   3247   진돌슈빈
2014-06   10517   김민철GC
2017-10   6627   서버하거파
2024-12   1059   회원
2009-05   5964   서울l승용
2021-07   2120   김제연
2020-03   3091   리오
2016-10   4436   김준유
01-06   821   홀릭0o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