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400 정도의 금액으로 서버호스팅 or 클라우드

   조회 5734   추천 0    

 파이썬 기반으로 웹서비스를 개발중입니다. 이제 개발이 어느정도 완료되서 

실 서버에 옮기려고 하는데요.

AWS를 예약으로 장기간동안사용하거나 cafe24에서 일시불로 호스팅 서버 구매후 달달이 돈내면서 사용하는 두가지 방안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개발하는 서비스의 주요 기능중 하나는 사용자가 올린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를 내부 DB에서 검색하여 출력해주는 것입니다.

이 경우 어떤 서비스가 더 나을지 고민입니다.

프로젝트 참여 인원이 저 혼자라 모든 것을 감당하긴 힘들기 때문에 AWS를 이용하는게 나을 것 같기도 하고 ... 

비용이 많이 들 것 같기도 해서 고민이 많이 됩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츄네다 2017-02
비용적으로 치면 AWS는 좀 비추입니다. 비싸죠... 편한만큼.
저같은 경우는 x3550 m3 를 구입해서 메모리랑 ssd 네개 정도 추가후 idc에 넣고 쓰고 있습니다.
예산이 400 정도라 치면 장터에서 벤더(ibm , hp , dell)  서버를 구입해 부품 추가후
김황중님께 연락해서 코로케이션을 신청해 IDC에 서버 넣으시면 됩니다.
예산이 많으니 호화롭게 꾸밀수 있겠네요..
     
PAMA머리 2017-02
그렇죠 .. 편하긴 한데 너무 비싸서 문제입니다.
서버로 하자니 혼자 모든 것을 관리할 수 있을까? 란 고민도 드네요.
일단 둘 중에 서버를 구매하는데 우선순위를 두어야 겠습니다.
tkssjr 2017-02
gce가 가입시 300달러 지원하니 써보고 괜찮으시면 상용으로 올려쓰셔도 될거같아요 aws보단 쌀거에요
우형재 2017-02
서비스의 특성을 잘 파악해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서버관리 잘한다고 비즈니스 매출이 늘어나지는 않습니다. 새로운 서비스다보니 갑자기 사람이 몰리지는 않을것이고...(엄청난 이슈를 몰고오지않는 한)
안정적인 상태에서 시작하면서 차차 비즈니스가 올라간다면 전  AWS가 좋다고 봅니다.

절대 싸지는 않지만 서버호스팅의 서버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담당자가 없다면
오히려 AWS가 저렴할 수 있습니다.

저희도 기존 사업을 진행하면서는 100% 물리적인 서버로 운영을 했지만
갑작스레 발생하는 하드웨어 장애애 조금 애를 먹었습니다만..

신규 프로젝트를 진행할떄는 저도 AWS와 상당히 저울질을 했습니다. 저희 회사는 서버를 저밖에 만질 사람이 없다보니..ㅎㅎ
저희는 사업장 고객관리 통합시스템인데... 1년반만에시장에 다행히 잘 안착했는데 그 중에는 AWS의 안정성 과 새로운 기술들을
클라우드를 통해 접목시키다보니 고객들이 많이 좋아했습니다.

현재는 많은 튜닝을 통해서 안정적인 웹 서비스를 진행중이고..

저희는 AWS 인스턴스  T2.Micro (1Core , 1GB RAM) 서비스를 쓰고있는데 RI(장기계약?) 을 15대 잡혀있는 상태입니다 .
3년 계약하니 한국리전 기준으로 약 1대당 3년사용료가 약 23만원 정도인데

1고객당 평균 월 11~44만원 정도인데 서버 1대당 대략 70-100개 사업장 고객들이 세팅되어있습니다.
( 성능구조상으로는 200개도 넘게 세팅할수 있고 더 높은 인스턴스로 더 많은 고객들을 세팅할 수 있지만..계란을 한 바구니에담지 않도록 하기위해 ㅡ.ㅡ;;)


현재 15대의 서버 , RDS(Maria DB) 인스턴스 멀티  AZ 구성으로 1세트 운영 
(RI 3년씩 구성해놔서 3년간 사용료로 약 400만원정도 지출되었고)

부가적으로 사용되는 EBS (DISK), SQS, , SES, 백업(S3) , 트래픽비용 토탈해서

한달 약 150$ 정도 지출하고있습니다. AWS 도 잘쓰면 물리적인 서버보다 더 안정적인 서비스를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일단 워크로드가 얼마나 해비한지는 모르겠지만... 한번 AWS나 GCE(아직 한국리전없음), MS 애저(이번달 한국리전오픈한다고함)

컨설팅 및 무료서비스 기간, 돈을 통해서 테스트해보시면서 작게 시작해보세요
     
PAMA머리 2017-02
고민되네요
김황중 2017-02
일단...
다믐은 모든 인터넷 사업자들의 고민입니다

1.처음부터 제대로 하고 싶은데
장비가 비싸다
2.사용자에 따른 인터넷 계약량은 어떻게?
3.클라우드와 리얼서버... 무엇으로?


결론은 하나죠
다 돈과 결부되어 있죠

하지만 매번 컨설팅 할때마다 말씀드리는 결론은 한가지입니다
큰집에서 시작하기보단
내가 딱 필요로하는 집부터 점차 늘려가는것입니다
그리고 추후 사용자가 늘어나면
돈도 따라올것이기에
그때 그에 맞는 집으로 옮기시는것이 더 최선입니다

이전이 귀찮키는하나
그래도이는 돈으로 해결됩니다

일단 필요로 하시는 케파를 확인하시고
현실을 한번씩은 사업하면서 계속 돌아봐야 합니다

^^
참고로 저는
물리서버, 프라이빗 클라우드, 퍼블릭 클라우드를 컨설팅하지만
퍼블릭의 경우는 특별히 보안문제(소스)만 없다면
3년 이내의 사용은 추천 드립니다

3년 넘어가면 서버값 나와요...^^
     
PAMA머리 2017-02
*비밀글입니다
          
김황중 2017-02
*비밀글입니다
수현삼촌 2017-02
운영중인 서비스 아니면 클라우드 추천합니다
예산이 초기예산인지 운영예산이지 알기힘드네여
클라우드야 초기비용은 작지만 운영비용은 고정비처럼 나가고
서버구매 구축방식은 초기비용은 높지만 운영유지비는 오히려 저렴합니다
제 경험상 2년정도 돌리면 비용동일하게 나옵니다
단 소규모 서비스인경우 대규모인경우는 고려사항이 너무 많죠  방문자수 트래픽 서버사양 백업 이중화 라이센스  등등


QnA
제목Page 3377/5708
2015-12   1674486   백메가
2014-05   5139878   정은준1
2008-09   5715   문병근
2016-02   5715   evoker
2006-05   5715   황인국
2005-10   5715   윤호용
2014-06   5715   미파이브
2013-06   5715   라비
2005-10   5715   함문수
2006-03   5715   김형필
2005-11   5715   조대원
2016-06   5715   김제연
2011-11   5715   김태성
2008-01   5715   곽태영
2006-06   5715   최원식
2016-12   5715   질문학생
2006-02   5716   노하석
2005-07   5716   정힘찬
2021-07   5716   구십평
2016-12   5716   신은왜
2008-04   5716   김승현
2018-12   5716   Jasper